대구시가 올해 1단계 공공일자리 사업 참여자로 선발된 3000명의 명단을 발표하고, 이달 7일부터 오는 4월29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3~10일 사이에 시 전역 142개 읍·면·동에서 참여를 신청한 9941명 중 구·군별 자체 심사를 거쳐 선발기준(소득, 재산, 취업 취약계층 해당 여부, 휴·폐업 유무 등)을 통과한 3000명을 선발했다. 이는 당초 2000명 선발 계획에서 1000명을 늘린 규모로 최근 오미크론 변이 증가 등 심각한 코로나19 방역 상황을 고려했다. 선발 통보를 받은 사람들은 사업시작일 전 개별 코로나19 검사를 마치고 최초근무일에 근로계약서 작성과 안전교육을 받은 후 근무를 시작한다. 또 근무분야는 △생활방역 지원(500명) △행정 지원(450명) △공공서비스 지원(450명) △공공환경 개선(1200명) △구·군 특성화사업(400명) 등이다. 특히 대구시는 올해 1회 추경 125억원을 포함해 총 325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대구형 희망플러스(공공근로) 사업에 6000명을 모집하고, 전국 특·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국비 예산을 확보한 지역방역일자리사업에 500명을 모집해 총 6500명 규모로 공공일자리 사업을 우선 시행한다. 향후 코로나19 변이 확산 추이와 상반기 경기변동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2, 3단계 사업은 참여 규모를 탄력적으로 조정해 시행할 계획이며, 2단계 공공일자리 사업 참여자 모집은 4월 초순, 3단계는 8월 초순에 있을 예정이다. 김동우 시 일자리투자국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에게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공공서비스와 방역활동 분야에서 공공기관의 일손이 부족한 곳에 배치돼 공공기관과 공공일자리 참여자 상호 윈윈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특히 앞으로도 참여자들의 민간취업을 위해 지원책을 다각도로 마련하는 데도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