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이 안 보이는 대 역질의 대행진을 국민들이 참고 견딜 수 있는 것은, TV조선의 트롯트 대행진과 KBS ‘진품명품’ 쇼가 더 할 수 없는 큰 위안물이 되어 준 것 같다. 평소 KBS TV의 ‘진품명품’ 애청자인 필자는 방송국 사정으로 ‘진품명품’ 방송이 결방이 될 때는 점심을 건너뛰고 싶다. 운 좋게 오늘은(2020.11.8.) ‘진품명품’ 방송이 제대로 방영이 되어, 새로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바이든 대통령이 더욱 멋져 보이고, ‘우리나라 애국가’ 중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가 모처럼 적중할 것 같아 기대가 크다. 오늘 ‘진품명품’ 쇼에 출품된 것은 3건으로, 궁중 화원이 영조 때 그린 ‘청계천 준천(준설)도’와 궁중에서 사용하던 ‘경상’(독경받침대)과 시조집 ‘초적(草笛)’의 3건이었다. ‘청계천준천도’도 대단히 값진 명품 기록화였지만, 필자에겐 ‘초적(草笛)’이 따봉 이었다. 쇼 감정단 위원들은 ‘초적(草笛)’이 무슨 책인지 곧 바로 알지 못하고, MC(진행 아나운서)가 답을 예시해 주자 3명중 1명이 어림짐작으로 가까스로 맞추었다. ‘초적(草笛)’은 ‘풀피리’란 뜻으로, 시조인 김상옥(金相沃) 선생이 1947년에 해방(1945년)후 처음 펴낸(1947년) 시조집으로 ‘봉선화’, ‘백자부’, ‘청자부’, ‘집오리’ 등 명시조가 만원인 값진 시조 작품집으로 해방 후 나온 첫 시조집이다. 그때 김상옥 시인은 경남 삼천포중학교 국어교사였다. 일제의 탄압으로 한글 작품 창작이 금지됐다가 일제가 망하고 나자, 비로소 한글시집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으니, 청록집(박목월·조지훈·박두진의 3인 공동시집)이 1946년에 처음 나왔고, 뒤이어 ‘초적’(김상옥 시집)이 1947년에 얼굴을 내 밀었다. 청록파 세시인과 김상옥은 같은 문예지 ‘문장’이 발굴한 뛰어난 자유시인과 시조시인이었다. 초정 김상옥 시인 선생님은 필자와도 깊은 친분관계가 있었다. 필자의 제2시집 ‘청시(靑枾)’의 머리말을 닦아 주셔서 큰 은혜를 끼치셨다. 초정 김상옥 선생의 ‘초적’은 출판사정이 어렵던 시절에 갱지에 인쇄하여 1천부를 펴내셨다고 했다. 집이 어렵던 삼천포중학교 재학생이던 박재삼은 김상옥 시인 선생님의 ‘초적’을 살 돈이 없어 누른 갱지 공책에 연필로 베꼈다고 한다. 1970년대에 저자인 김상옥 선생도 ‘초적’이 없어, 친한 분에게 차용증을 써 주고 한부 가까스로 빌려, 찾아간 제게도 보여 주지 않을 정도로 특별 관리를 하셨다. 1970년 초 영남지역에는 ‘경북대학교 도서관’에 유일하게 ‘초적’ 1부가 애장되고 있었다. 오늘 ‘진품명품’ 시간에 출품된 김상옥 친필 붓글씨 사본 ‘초적’은 김영복 감정위원이 감정가를 1억원을 매겨, KBS 진품명품 사상 최고 가격의 시집으로 데뷔했다. 초정 김상옥 선생의 시조집 ‘초적(草笛)’ 초판본(1천부)은 6·25사변(1950년) 여파로 많이 소실되고 가뭄에 콩 나오듯 골동품 시장에는 초판 인쇄본이 300~500만 원 사이에 거래되고 있다고 김영복 전문위원이 말씀하셨다. 탄생 백주년이 된 초정 김상옥 선생님이 올바른 평가를 받는 해가 되었으면 더욱 좋겠습니다. |
|
|
사람들
군위 우보 적십자봉사회가 지난 24일 삼국유사 청춘대학 수업 종료 후 어르신 150여 명
|
군위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25일 취약계층 10가구에게 반찬 봉사 활동을 실시했다.
|
의성군에 지난 23일 김종호 재대구의성향우회장이 고향사랑기부금 500만 원을 기탁했다.
|
의성군에 지난 24일 유창포장(주) 오치현 대표이사가 고향사랑기부금 2,000만 원을 기
|
(사)토종명품화사업단이 지난 25일, 성금 200만 원을 영양군에 기탁했다.
|
대학/교육
신일희 계명대 총장, 우즈벡 국립체육대서 명예박사 받아 |
예천 도서관, 읽고 쓰기 주제 2025년 특색사업 운영 |
한국폴리텍대학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메타바이오메드와 ‘맞손’ |
영남대병원·한국혈액암협회, 폐암 바로알기 공개강좌 시행 |
대구대-대한배아전문가협, ‘난임의료 전문인재 양성’ 맞손 |
대구공업대 골프레저과, 한국스포츠과학지도자협회 ‘맞손’ |
김용찬 국립경국대 교수, 세계적 권위 학술지에 ‘프리온 치료 후보물질 발굴’논문 게재 |
대구한의대, 밝은해한의원과 상호협력 협약·장학금 전달식 |
대구보건대 교수학습지원센터, 생성형 AI 활용한 교수법 특강 ‘성료’ |
DGIST 인수일 교수팀, 세계 최초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베타전지 개발 |
칼럼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엔트로피(Entropy)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정보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
만리장성(萬里長城)은 2000년 전 진시황부터 북방의 흉노족이나 몽골족 유목민의
|
벗(friend)이란 비슷한 나이에 친하게 사귀는 사람이다. 우도(友道)는 벗을
|
대학/교육
신일희 계명대 총장, 우즈벡 국립체육대서 명예박사 받아 |
예천 도서관, 읽고 쓰기 주제 2025년 특색사업 운영 |
한국폴리텍대학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메타바이오메드와 ‘맞손’ |
영남대병원·한국혈액암협회, 폐암 바로알기 공개강좌 시행 |
대구대-대한배아전문가협, ‘난임의료 전문인재 양성’ 맞손 |
대구공업대 골프레저과, 한국스포츠과학지도자협회 ‘맞손’ |
김용찬 국립경국대 교수, 세계적 권위 학술지에 ‘프리온 치료 후보물질 발굴’논문 게재 |
대구한의대, 밝은해한의원과 상호협력 협약·장학금 전달식 |
대구보건대 교수학습지원센터, 생성형 AI 활용한 교수법 특강 ‘성료’ |
DGIST 인수일 교수팀, 세계 최초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베타전지 개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