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4일 발족한 ‘성주참외산업 대전환 혁신운동 추진위원회(이하 혁신위)’가 지난 26일~27일, 서울 가락시장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연말 '성주참외산업 대전환혁신토론회'후 결정된 참외스티커 미부착운동의 조기정착을 위한 적극적 행보의 일환이다.
‘참외스티커 미부착’은 전농가의 적극적인 동참이 있어야 가능한 사항으로, 추진위에서는 빠른 정착을 위해 미동참 농가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계도를 통해 재발방지에 노력하고 있다.
혁신위는 지난 27일 새벽, 서울 가락시장 공판장에 도착해 2시간의 현장점검을 실시했으며, 니 날 오전에는 '전국과실중도매인연합회와 성주참외혁신위'와 현장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전과연 서울지회장, 서울청과를 비롯한 가락시장 중도매인조합장 5명, 참외경매사 5명을 비롯해 혁신위 위원 5명, 군 농정과 4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배선호 성주참외혁신위원장은 “참외스티커는 참외품질과는 상관없이 시각적 효과를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요구를 자극하기 위함으로, 깎을때 불편함, 스티커 인쇄물의 묻어남 등으로 소비자로부터 지속 민원이 들어오고 있는 실정이며, 농가에서도 스티커 부착작업에 많은 비용과 노동력이 소요 되고 있다. 아울러 유통현장에서도 재포장을 위해 스티커를 떼는 이중작업을 하고있는 실정이다. 스티커부착 관행 폐지는 농가와 소비자, 유통업계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조치이므로 중도매인의 적극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정인실 (사)전국과실중도매인조합연합회 서울지회장은 “가락시장 현장에서는 중도매인 60~70%가 스티커를 붙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생산자측에서 단결해 스티커를 안붙여도 되지만, 타 품종과의 경쟁에서 밀리지않도록 스티커를 안붙여도 될만큼의 고품질 참외를 생산·유통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참외박스 포장재경량화'문제도 함께 거론됐다. 이 자리에서 이영신 ㈜중앙청과 부사장은 “전체 소비자들은 소포장을 원한다. 선물용 5kg뿐아니라 개별소비용 3kg, 2.5kg 등 소포장이 필요하다. 하지만 포장재 경량화로 가기전에 박스 규격별 참외갯수, 박스 규격 및 두께, 경매시간 등 정확한 틀을 잡고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배선호 혁신위원장은 “중도매인입장에서 스티커를 붙인 참외를 선호하는 것과 소매상을 대면하며 접하는 현장의 우려는 충분히 이해가 되는 상황이지만, 스티커 미부착은 농민주도로 읍면별 토론회, 설문조사 등 여러 과정을 거친 후 내린 결론으로, 유통현장 어려움이 있더라도 협조를 부탁드린다, 아울러 박스경량화와 관련해서는 산지에서도 의견이 많이 나뉘어 있는 만큼 충분한 의견수렴과 준비로 접근해보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