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4-27 05:44:11

첫 시집 <오뉘>의 추억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18년 04월 09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첫 시집 를 펴낸 것은, 1967년 9월의 일로, 내 나이 만 25세 때였다.
시집을 멋도 모르고 2천부나 펴냈는데, 시집 출간비가 6만5천원이나 됐다.
당시 6만5천원을 한 마디로 말해, 적은 돈이 아니다. 교육대학을 갓 졸업한 초등교사의 월급이 7천원이었다.
시집대금 6만5천원은 초임 초등교사 10개월의 봉급이다. 1967년엔 당시 시단의 중진시인 미당 서정주 시인도 시집을 5백부 밖에 내지 않던 어렵던 시절이다.
내 첫 시집 보급을 위해, 안동교육대학 국어과 유증선 교수님?안동교대 2대 학보편집국장 김동억님?문경종합고등학교 미술교사 황병훈 선생님이 자기 일 이상으로 적극적으로 도와주셔서, 3년만에 시집대금을 청산할 수 있었다. 
51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유증선 교수님?김동억 학보편집국장님?황병훈 선생님은 영원히 잊을 수 없는 내 인생의 확고부동한 은인이 되셨다.
첫 시집을 내고 천신만고를 겪었지만, 지금까지 시집을 40권을 펴냈으니, 김시종의 시집발간에 대한 집념은 못 말릴 경지다.
지금까지도 내가 잊지 못하는 첫 시집 에 실린 주옥편(?)을 애독자들과 함께 문학기행(시편력)을 떠나볼까나.

①고가(古家)
삶의 밀물따라 / 오고가는 후조(候鳥)들아
대(代)를 이어 살던 고가(古家)
누구네가 솥을 건고?
오늘도 뒤뜰 감나무만 / 푸른 꿈이 여무리.
(1964년 여원 5월호 입선작)
②꽃신
한데선 흙 묻을라 / 벗어들고 다니고
방에선 그냥 신고 / 좋아라 아장거리고
잘 때는 꼬옥 껴안고 자는 /
세 살난 아기의 신.
(1965년 여원 6월호 입선작)
③뚝배기
화사한 자개상이사 / 본시 원하잖는 것
부뚜막 한 구석에 / 쪼그리고 앉았어도
한 평생 투박한 얼굴 / 찡긴 적이 없어라.
(1966년 7월 중앙일보 입선작)
④밤
뚝! 감꽃지는 소리 / 들릴 듯 괴괴한 밤
그무는 등잔 밑으로 / 기어드는 작은 거미
바르르 줄에서 떠는 / 추억에 젖은 벌레여!
(1966년 6월 중앙일보 입선작)
⑤비(碑)
어엿이 그젯날엔 / 임을 기리던 자세.
바람 비 깍인 이제 / 부질없는 점자판을
차라리 고운 석화(石花)여 /
너를 읽고 싶구나.
(1964년 여원 5월호 입선작)
⑥사바
살구꽃 화사히 펴도 / 흙바람 부는 사바.
무심한 애 팔매가 / 아뿔사, /
 어른을 맞춰…
그렇게 찡그릴 거야 / 어처구니없는 북망.
길가다 소나길 만나
오두막에도 잠깐 쉬듯
연(인연)이 없는 곳에 / 더러는 맘을 두고
웃으며 / 때론 흐느껴도
살아가는 사바다.
(1966년 11월 시조문학 14집 입선작)
⑦삶
소경 지팽이로 / 더음어 가는 외다리
기슭을 출렁이는 / 인고의 세월 위로
오늘도 하루를 사뤄 / 곱디 고운 저녁놀!
(1966년 여원 5월호 입선작)
⑦삼베댕기
눈물 꽤 좋이 흘려 / 눈이 발그레해진
순이 눈은 붉은 눈 / 구구구 비둘기눈!
치렁한 / 머릿단 위에 / 노랑나비,  /
감베댕기.
어멜 홀로 뫼에 떨궈 /
몇 때를 울어 쌓는지…
동네방네 사람이 들은 /
구성진 뻐꾸기 소리…
결고운 / 머리에 삼베댕기 /
서울 가도 못 풀 댕기!
(1966년 7월 일요신문 입선작)
⑨어머니
딸네집 오셨다가 / 바람부는 날 가시네.
눈 앞이 가리는 걸 / 바람에 탓하시나
제 눈에 괴는 눈물도 / 그런 줄을 아실까?
(1966년 5월 중앙일보 입선작)
⑩오뉘
보릿고개 아래 / 아카시아 꽃 하얀 5월!
언제나 소녀의 노랜 /
현실보다 한 「옥타브」 위…

허름한 작업복의 꾀죄죄한 오라비는
새빨간 「타이」 대신 / 올가밀 걸고 싶어도
누이의 꿈이 깰까 봐 / 몸을 바로 가눈다.
(1966년 7월 중앙일보 입선작)
⑪옥수수
옥수수 익어가면 / 그리움도 여뭅니다.
임 오실 그날이면 / 가마에 불 지피고
오롯이 등심(?心)타는 밤 / 깊은 사연 사뢰오리.
(1962년 10월 동아일보 입선작)
⑫후레아들
동무의 종아리엔 / 아빠가 때린 맷자국!
내려다뵈는 내 종아리엔 /
때릴이도… / 쓸어줄 이도…
펑하고  쏟아지는  눈물 / 매 안  닿은  후레아들!
(1966년 6월 중앙일보 입선작)

문학기행(시편력) 재밌습니까? 감사합니다. (2018년 4월 7일 16시 40분)

▲ 김 시 종 시인 / 국제PEN클럽 한국본부 자문위원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영천시 사랑의열매 나눔봉사단은 지난 21일 단원 및 내빈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4월 정 
영천시는 지난 23일, 남부동 통장협의회에서 영남지역 산불 피해 성금 480만원을 기탁했 
지난 22일 정나눔봉사단체가 청송 파천면 지경리경로당에서 산불 피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양군청 공무직으로 구성된 공공연대노동조합영양지부와 영양환경미화원노동조합<사진>이 산불  
4050 수도권 산악회가 지난 23일 영양군청을 방문해 산불피해 성금 550만 원을 기부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래직업교육센터’ 개관  
청도Wee센터, 동산초 '집단상담 프로그램'  
영남이공대, 아산스마트팩토리마이스터고와 '일학습병행' 맞손  
대구보건대, 중장년층 대상 ‘직업이음과 함께하는 나만의 경력 설계’ 성료  
계명문화대, KOICA·우즈벡 고용빈곤퇴치부와 MOU  
영진전문대 반려동물과, 전국 반려견 대회 우수 성과  
서구, 건강마을만들기 건강리더 양성교육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현대그린푸드 취업설명회’  
호산대–주택관리공단, 공공임대주택 입주민 지원 ‘맞손’  
계명문화대, 식품제조업소 역량강화 지원사업 2년 연속 선정  
칼럼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엔트로피(Entropy)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정보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만리장성(萬里長城)은 2000년 전 진시황부터 북방의 흉노족이나 몽골족 유목민의  
벗(friend)이란 비슷한 나이에 친하게 사귀는 사람이다. 우도(友道)는 벗을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래직업교육센터’ 개관  
청도Wee센터, 동산초 '집단상담 프로그램'  
영남이공대, 아산스마트팩토리마이스터고와 '일학습병행' 맞손  
대구보건대, 중장년층 대상 ‘직업이음과 함께하는 나만의 경력 설계’ 성료  
계명문화대, KOICA·우즈벡 고용빈곤퇴치부와 MOU  
영진전문대 반려동물과, 전국 반려견 대회 우수 성과  
서구, 건강마을만들기 건강리더 양성교육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현대그린푸드 취업설명회’  
호산대–주택관리공단, 공공임대주택 입주민 지원 ‘맞손’  
계명문화대, 식품제조업소 역량강화 지원사업 2년 연속 선정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