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4-05-18 21:39:58

유월을 보내면서 ‘보릿고개’란 옛말이 생각난다.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16년 07월 04일
지금까지 살아오는 동안 옛 삶은 늘 힘들고 어려웠던 시절을 보냈다고 생각한다. 역동의 세월에 도전이 없다면 새롭게 밝아오는 미래를 향해 희망을 빌 수는 없었을 것이다. 어렵고 힘든 도전은 아픔과 시련을 통해 더욱 견고해지는 법이다. 고난과 상처가 없는 영혼은 속이 텅 빈 알갱이처럼 나약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어렵지만 이런 고난과 아픔을 딛고 변화에 도전하는 정신이야말로 우리가 지금 가져야 할 정신인 것이다. 아픔만큼 성장하고 매래행복이 있는 법이다. 거센 폭풍우, 거센 파도가 훌륭한 선장을 만드는 이치와 같다. 우리에게 지금 있는 고통과 시련, 그것은 우리를 좌절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을 보다 견고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연(燕)은 바람이 거셀수록 더욱 하늘 높은 곳으로 날아오를 수 있는 것처럼 시련이 거셀수록 우리 인생의 실타래는 더욱 탄탄해 질 것이다. 우리는 지난 세월 모진 배고픔도 견디었고, 6.25동란이란 동족상잔(同族相殘)의 엄청난 전쟁도 견디며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어 왔다. 초여름 보리가 수확될 때까지 견디기에는 식량이 절대 부족했다. 이 때 초근목피(草根木皮) 등으로 끼니를 잇거나 걸식이나 빚 등으로 연명함으로써 수많은 유랑민(流浪民)이 생겨나고 굶어 죽는 사람도 속출했다. 이때를 가리켜 우리는 ‘보릿고개’라는 말이 생겨나게 되었던 것이다. 보릿고개의 심각성은 나 혼자만의 일이 아니고 가족전체의 문제라는 데서 오는 좌절감과 영구히 해결할 수 없다는 절망감이 우리를 억눌렀던 것이다. 그래서 보릿고개를 당하는 농가에서는 식구를 줄이려고 열 살도 못된 어린 자식을 양자로 보낸다던가. 아니면 남의 집 아기 돌보기나 식모살이를 했으니 어쩌면 종살이나 다름이 없었다. 보릿고개를 참다못해 도시로 나와도 일감이 없었다. 남의 짐을 나르는 지게를 지거나 잡부로 일을 해도 먹을 것을 구하기 힘든 것은 마찬가지다. 날씨라도 나빠서 일감이 없으면 며칠을 굶기도 했다. 이런 보릿고개는 1977년에 가서야 겨우 해결이 되었다. 기아선상(飢餓線上)에 허덕이는 절망적인 민생고라고 표현했는데, 당시의 국민들에게는 무척 공감이 가는 표현이었다. 이런 상태에서 우리나라는 역사상 처음으로 자립경제라는 것을 실현했다. 자립경제란 미국의 원조 없이 나라 살림을 꾸려가겠다는 극히 소박한 욕망이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혁명을 단행한 이듬해(1962년)부터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착수하여 조상 전래의 춘궁기(春窮期)에 오는 보릿고개를 없애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당시 한국의 경제여건을 보면 세계 125개 국가 중에서 국토면적은 약 10만㎢(남한)로 순위가 101위, 인구수는 2천500만 명으로 27위, 인구밀도는 3위, 1인당 국민소득은 83달러로 순위 98위로 후진성을 면하지 못했다. 거기다 국토구조를 보면 산지가 68%, 도로 및 하천이 11%, 농경지가 22%에 불과했다. 전통적인 농업 국가이면서도 국민들이 먹고 사는 식량까지 1년에 약 2~300만 톤씩 수입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또 부족한 자원과 기술, 자본 등 어느 것 하나 가진 것이 없는 상태였다. 게다가 6·25전쟁의 잿더미 위에서 북한의 끊임없는 도발과 전쟁위험까지 느끼면서 경제건설을 해야 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정치적 신념은 확고부동했다. 국가와 민족을 살리는 길은 무엇인가. 먼저 가난에서부터 벗어나야 한다.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경제건설부터 해야 한다. 자립경제의 달성만이 민족을 구하는 유일한 길이다. 국민을 배불리 먹여 살려놓은 다음에 문화가 있고, 복지가 있는 것이 아닌가. 그러므로 인간생활의 물질적인 기초가 되는 경제를 확고히 다져 놓지 않고 무턱대고 정치적 민주주의 운운하는 것은 하나의 구두선(口頭禪)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망은 무엇인가? 경제적으로 궁색하지 않으면서 정신적으로 평온한가운데 오래 살고 싶다는 욕망이다. 그러므로 박정희 전 대통령은 경제개발을 통하여 한국인의 가장 배고픔 욕망을 충족시켜 준 것이며, 그 바탕 위에서 민주화 운동의 진전으로 오늘의 대한민국을 건설했던 것이다. 미래젊은이들은 우리 부모님들의 배가 고팠던 ‘보릿고개’의 유월의 고통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사람들
예천군 용문면 가족봉사단과 용문면 자원봉사거점센터는 지난 20일 용문면 어르신들과 함께  
예천군 지속가능발전협의원들이 지난 12일 봄을 맞아 개포면 행정복지센터 일대 가로변 자투 
예천군 호명읍 담암리에 거주하는 105세 임차녀 할머니가 지난 10일 호명읍 제1투표소를 
경북도청 공무원 봉사동아리 \"행복을 바르는 사람들\"가 지난 6일 예천군 감천면 소재  
예천군 보건소는 지난 4일 2023년도 부서업무 종합평가 최우수 부서 선정으로 받은 시상 
대학/교육
DGIST, ‘THE 신흥대학평가 2024’에서 국내 3위·세계 33위 달성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코코에이치와 ‘맞손’  
계명문화대, ‘개교 62주년 기념식’ 가져  
호산대, 대학 자체개발 해외봉사 프로그램 공모 선정  
영남이공대, 공동훈련센터 지원단 신기술체험 캠프 ‘성료’  
계명대, 창립 125주년 기념 ‘성경의 역사’ 동천포럼  
청도교육청, 제28회 교육장기 육상경기대회 개최  
영진전문대 파크골프경영과, 재학생 240명 돌파 ‘인기’  
대구가톨릭대, 개교 110주년 기념 행사  
영남이공대, 2024서울월드푸드올림픽서 장관상 등 전원 수상  
칼럼
리즈시절(Leeds 時節)이란 특정 인물이나 단체의 전성기나 황금기를 일컷는 말 
중앙암등록본부 자료(2023)에 따르면 2021년 국내에서 새롭게 발생한 27만  
며칠 전이 어버이날이었다. 매년 오는 날이지만 올해는 평소와는 다른 감정을 느꼈다 
국외자(局外者)란 일어난 일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그 일에 관계가 없는 사람을 말한 
‘폼페이 최후의 날’같은 종말적 대재앙이 언제 어디서 다시 일어날지 알 수 없지만 
대학/교육
DGIST, ‘THE 신흥대학평가 2024’에서 국내 3위·세계 33위 달성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코코에이치와 ‘맞손’  
계명문화대, ‘개교 62주년 기념식’ 가져  
호산대, 대학 자체개발 해외봉사 프로그램 공모 선정  
영남이공대, 공동훈련센터 지원단 신기술체험 캠프 ‘성료’  
계명대, 창립 125주년 기념 ‘성경의 역사’ 동천포럼  
청도교육청, 제28회 교육장기 육상경기대회 개최  
영진전문대 파크골프경영과, 재학생 240명 돌파 ‘인기’  
대구가톨릭대, 개교 110주년 기념 행사  
영남이공대, 2024서울월드푸드올림픽서 장관상 등 전원 수상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