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농업기술원은 경북도의 지역특화작목 발전을 위해 사단법인 경상북도지역특화작목발전협회(회장 한윤열)가 설립 됐다고 밝혔다. (사)경북도지역특화작목발전협회는 2019년도 제정되어 시행 중인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과 2020년에 제정된 경상북도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조례에 따라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과 산업화 사업을 위해 설립됐다. 지난 2월 농업연구와 농촌지도 분야에 역량이 있는 발기인들이 모여 설립협의회를 개최했고 3월에는 설립총회를 통해 비영리법인 허가 조건을 갖춰 4월 7일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의 설립 허가 승인을 받았다. 주요 업무는 중앙 지역특화작목발전협회와 연계해 지역특화작목 조사·연구·발굴과 개선 건의,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제안, 사업자의 공동 홍보·마케팅·품질관리, 통계작성과 실태조사, 지역특화작목 발전을 위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위탁하거나 대행하게 하는 사업, 지역특화작목별 생산·재배기술 지원 등이다. 올해는 경북도 지역에서 재배되는 마, 복숭아, 마늘, 참외 등 9개의 지역특화작목을 선정해 통계작성 및 실태조사·분석을 실시한다. 조사 항목으로는 재배·생산·유통 현황, 가공제품 생산·판매 현황, 지방자치단체의 지역특화작목 관련 정책 방향, 작목 생산지 및 소비지 현지 여론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한윤열 경북도지역특화작목발전협회장은 “경북농업기술원과 협력하여 경북도내 지역특화작목 발전을 위해 의미 있고 보람된 사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최기연 경북농업기술원장은 “지역특화작목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단체라고 생각되기에 앞으로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신용진 기자 |
|
|
사람들
문경시는 지난 13일 한국전력공사 경북본부(본부장 박경수)가 문경시청을 방문해 문경시의
|
예천군은 지난 16일 지보면 수월1리 내동경로당 준공식을 열고, 지역 어르신들의 편안한
|
상주 모동면이 최근 회의실에서 스마트마을방송 시스템 활용에 대해 교육을 면 회의실에서 이
|
봉화읍 예림건업이 지난 13일 봉화읍 사무소를 방문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위해
|
지난 14일 노인회영주지회 전정에서 ㈜에이트렉스에프앤비가 기부한 건강음료 전달식을 개최했
|
대학/교육
칼럼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선출된 권력(Elective Office)이란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