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지난 28일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서마트홀에서 정세균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 발대식'을 개최하고, 국내 로봇 대기업 4개사와 이동식 협동로봇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발대식은 18개 특구사업자와 4개 협력기업이 오는 12월부터 시작되는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의 성공적 실증을 결의하고, 로봇 융·복합 신산업 시장 창출과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개최됐다.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는 올해 7월 특구로 지정됐으며, 오는 2024년까지 협동로봇의 활용범위 확대를 위한 실증과 국내외 표준 제안을 통해 이동식 협동로봇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해외에서도 이동식 협동로봇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으로, 협동로봇의 이동 중 작동·작업 실증이 국내 최초로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허용됨에 따라 실증을 통해 국내는 물론 세계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구시와 국내 로봇 대기업인 현대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LG전자㈜, ㈜한화기계의 이동식 협동로봇의 시장 창출과 확산을 위한 협약이 진행됐다. 특히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 사업의 성공적 실증 지원을 위해 LG전자㈜는 대구사무소를 11월에 개설했으며, 두산로보틱스㈜는 오는 12월 중에 대구사무소를 개설할 예정이다. 특구 사업자로 참여가 확정된 역외기업 ㈜휴온스 메디케어와 ㈜언맨드솔루션은 12월1일부터 대구 연구소를 개설해 운영할 예정이다. 이번 발대식과 업무협약을 통해 대·중·소 기업이 상생 협력하는 가치사슬 시스템을 조성함으로 국내 및 지역 로봇산업의 발전을 견인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로봇 핵심 선도기업 유치를 추진함으로써 힘들고 어려운 작업은 로봇이 대신하고 근로자는 로봇을 활용하는 고급 일자리가 창출되는 스마트 산업도시,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면서 상호 조화돼 발전해 나가는 글로벌 로봇산업 선도 도시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홍의락 시 경제부시장은 “특히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글로벌 표준을 선점함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많은 글로벌 로봇 기업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황보문옥·윤기영 기자 |
|
|
사람들
문경시는 지난 13일 한국전력공사 경북본부(본부장 박경수)가 문경시청을 방문해 문경시의
|
예천군은 지난 16일 지보면 수월1리 내동경로당 준공식을 열고, 지역 어르신들의 편안한
|
상주 모동면이 최근 회의실에서 스마트마을방송 시스템 활용에 대해 교육을 면 회의실에서 이
|
봉화읍 예림건업이 지난 13일 봉화읍 사무소를 방문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위해
|
지난 14일 노인회영주지회 전정에서 ㈜에이트렉스에프앤비가 기부한 건강음료 전달식을 개최했
|
대학/교육
칼럼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선출된 권력(Elective Office)이란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