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동성로 활성화 포럼. |
| 대구 중구와 중구 도심재생문화재단은 지난 달 27일 대구패션주얼리타운에서 ‘2020 동성로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문화와 상업이 공존하는 중구의 ‘비주얼 마케팅’을 선도하기 위해 ‘사진영상문화 활성화 및 영상 뮤지엄 조성’이란 주제로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자 실시했다. 이날 ‘동성로 사진영상 특성화 구역 활성화 전략’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맡은 경북대 권준엽교수는 외부 관광객의 유입을 위해서는 문화와 상업이 공존하는 동성로만의 특색을 드러낼 수 있는 핵심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대구 사진문화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발표한 계명대 정훈 교수는 대구의 문화생태계속에서 사진문화의 역할과 한국사진의 역사에서 사진문화의 허브로 존재해 온 대구 동성로의 가치와 사진영상문화의 미래 가능성에 대해 주장을 펼쳤다. 류규하 중구청장은 “중구는 오랜 시간 문화예술과 상업이 공존해 온 원도심으로 ‘비주얼 마케팅’을 극대화 해 문화예술콘텐츠 향상 및 원도심 상권 활력을 도모하고 사진영상문화를 중심으로 중구만의 정체성을 담은 문화도시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포럼 내용은 ‘중구 도심재생문화재단’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시 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윤기영 기자 |
|
|
사람들
문경시는 지난 13일 한국전력공사 경북본부(본부장 박경수)가 문경시청을 방문해 문경시의
|
예천군은 지난 16일 지보면 수월1리 내동경로당 준공식을 열고, 지역 어르신들의 편안한
|
상주 모동면이 최근 회의실에서 스마트마을방송 시스템 활용에 대해 교육을 면 회의실에서 이
|
봉화읍 예림건업이 지난 13일 봉화읍 사무소를 방문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위해
|
지난 14일 노인회영주지회 전정에서 ㈜에이트렉스에프앤비가 기부한 건강음료 전달식을 개최했
|
대학/교육
칼럼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선출된 권력(Elective Office)이란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