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달 27일 수성구청 대강당에서 ‘지역상징을 활용한 상징물 콘텐츠 구상과 캐릭터 활성화를 위한 수미창조 포럼’을 진행하며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
| 대구 수성구는 지난 달 27일 구청 대강당에서 지역상징을 활용한 상징물 콘텐츠 구상과 캐릭터 활성화를 위한 수미창조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전문가, 관계 기관·단체 및 구청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수성구의 차별화된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고 도시의 정체성을 각인하기 위해 도시브랜드 진단하고 대응전략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홍창기 영남대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는 ‘지역 상징을 활용한 도시브랜드 경쟁력 강화 상징물의 다양성을 살린 콘텐츠 구상’이란 주제로 포럼의 문을 열었다. 김숭현 경희대 예술디자인학과 교수는 ‘캐릭터 활성화에 관한 문제와 대응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마지막 순서로 수성구에서 새로운 상징 중 하나로 활용될 ‘수성구 아이덴티티 디자인 프로젝트’이라는 주제로 영문 브랜드 개발 중간보고회도 함께 진행됐다.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인구감소시대에 지속가능하며 차별화된 도시이미지와 도시유일성을 가지기 위해 조례 제정과 문화, 예술, 사회, 경제, 시설물 등 다양한 부분에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있다”며 “도시를 사랑하고 기억할 수 있는 수성구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기영 기자 |
|
|
사람들
문경시는 지난 13일 한국전력공사 경북본부(본부장 박경수)가 문경시청을 방문해 문경시의
|
예천군은 지난 16일 지보면 수월1리 내동경로당 준공식을 열고, 지역 어르신들의 편안한
|
상주 모동면이 최근 회의실에서 스마트마을방송 시스템 활용에 대해 교육을 면 회의실에서 이
|
봉화읍 예림건업이 지난 13일 봉화읍 사무소를 방문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위해
|
지난 14일 노인회영주지회 전정에서 ㈜에이트렉스에프앤비가 기부한 건강음료 전달식을 개최했
|
대학/교육
칼럼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선출된 권력(Elective Office)이란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