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대구시장<사진>이 미래 백년 대계를 책임질 신청사를 오는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추진에 본격적으로 박차를 가한다.
시는 도시재생과 연계한 신청사 건립을 검토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철회했던 '신청사 건립사업 타당성 조사'를 지난 달 29일 행정안전부에 재의뢰했다. 대구시가 신청사 건립 부지(옛 두류정수장 터, 15.8만여㎡)에 청사뿐만 아니라 문화 및 생활 인프라 등 다양한 기능이 함께 어우러진 시민을 위한 공간 조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보다 심도 있게 검토하고자 지난해 8월 행정안전부에 의뢰했던 신청사 건립사업 타당성 조사를 10월 철회했다. 이후 권 시장은 내부 검토를 통해 신청사는 남측 두류공원 쪽에 배치하고 도시재생사업은 감삼역 쪽에 위치한 잔여부지에 각각 추진해 '부지의 이용 효율성 증대'와 '인근 지역의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부지 7만8000여㎡, 총사업비 3000억 원, 건축물 연면적 9만 7000㎡ 규모를 목표로 타당성 조사를 받을 계획이며, 도시재생사업으로 추진하게 될 나머지 부지(8만여㎡)는 공원, 광장 등 시민을 위한 다양한 시설입지를 계속 검토할 예정이다. 또 행정안전부에 타당성 조사 의뢰 후 대구시는 타당성 조사 전문기관으로 지정된 한국지방행정연구원과 약정을 체결해 올 8월까지 조사를 마치고 오는 2022년 2월 중앙투자심사를 완료할 예정이며, 이후 국제설계공모, 건축설계를 거쳐 2024년 착공해 2026년 준공할 계획이다. 한편 최근 대구·경북 행정통합의 영향으로 신청사 건립이 지연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일부 우려에 대해 김충한 시 미래공간개발본부장은 “행정통합 여부는 시·도민들의 뜻을 모아가는 과정이고, 설령 행정통합이 되더라도 대구청사, 경북청사는 유지해야 초광역행정을 효율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기 때문에 시 신청사 건립은 행정통합과는 별개로 당초 계획대로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