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명일보 대구경북본부장 황보문옥
정월대보름의 추억이 가끔씩 기억의 뇌리를 스칠 때마다 정감어린 추억이 안개처럼 흐느적 거린다. 정월대보름에는 뭐니뭐니해도 오곡밥을 지어 먹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오곡밥을 먹으면서 한 해의 안녕을 빌면서 부럼을 깨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달집을 태우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히나리와 청솔가지를 묶어서 섶으로 올려놓고 달집을 태운다. 허연 뱃고동처럼 뿜어서 나오는 연기 속에서 살이 찢긴 나무들 뼈마디 내려앉는 소리가 무르익으면 온 마을 사람들이 치솟는 불길 주위를 맴돌면서 환희에찬 저마다 춤사위를 펼친다. 신명난 잔치가 무르익으면 설레는 마음마다 불기둥처럼 넘실거리는 소원을 쓴 부도난 어음쪽지같은 종이들이 불티로 튕겨 잠자는 하늘을 깨운다. 달맞이꽃처럼 다소곳이 고개 숙이고 둥근달을 보면서 저마다 소원을 비는 마음마다 보름달처럼 차오르는 희망의 빛이 출렁인다. 특히 동네마다 연싸움으로 얼레를 풀렀다 당겼다하면서 제각기 솜씨자랑으로 하루해가 지는 줄도 모른다. 또한 액운을 날려 보낸다고 해서 연의 줄을 끊고 멀리 날려 보내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연줄을 끊은 연을 하늘에서 흐느적거리면서 멀리 날아가는 연을 보면서 한 해의 안녕을 빌곤 하였다. 마을마다 풍물패를 조직하여 농사는 천하지대본이란 큰 깃발을 펄럭이면서 각 가정마다 지신밟기로 한 해의 행운을 빌었다. 신나는 풍물패의 장단에 어깨가 으쓱거렸다. “올 해도 건강하고 행복하게 하소서! 어허야 어허야 지신이나 밟아주소!” 풍물패의 구성진 함성이 온 마을에 메아리 쳤다. 이렇게 즐겁고 풍요로운 명절인데 여기저기서 안타까운 목소리가 들려온다. 지난해 추석에 이어 이번 설역시 고향의 친지 방문이 어렵게 되었다. 수도권은 2단계 거리두기의 핵심 방역조치로 5명이상 사적 모임은 금지 되었다. 이를 어기면 과태료까지 물린다고 하니 어이가 없다. 일년 여동안 지속된 코로나 여파로 자영업자는 물론 모든 사람들이 위기에 처해 있다. 코로나 상황이 악화 될 때마다 계속된 영업의 제한으로 생존한계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전국민이 코로나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과 취약계층이 겪는 피해는 날로 눈덩이처럼 늘어가고 있다. 우리의 고유한 풍습이 코로나로 전해질 수 없음이 안타까운 마음뿐이다. 이러한 미풍양속이 코로나로 명맥을 유지하지 못 하는 마음이야 오죽하리오. 머지않아 희망찬 봄은 온 대지를 연둣빛으로 물들 날을 상상하면서 내일의 꿈을 향해 달려보자. |
|
|
사람들
군위 우보 적십자봉사회가 지난 24일 삼국유사 청춘대학 수업 종료 후 어르신 150여 명
|
군위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25일 취약계층 10가구에게 반찬 봉사 활동을 실시했다.
|
의성군에 지난 23일 김종호 재대구의성향우회장이 고향사랑기부금 500만 원을 기탁했다.
|
의성군에 지난 24일 유창포장(주) 오치현 대표이사가 고향사랑기부금 2,000만 원을 기
|
(사)토종명품화사업단이 지난 25일, 성금 200만 원을 영양군에 기탁했다.
|
대학/교육
신일희 계명대 총장, 우즈벡 국립체육대서 명예박사 받아 |
예천 도서관, 읽고 쓰기 주제 2025년 특색사업 운영 |
한국폴리텍대학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메타바이오메드와 ‘맞손’ |
영남대병원·한국혈액암협회, 폐암 바로알기 공개강좌 시행 |
대구대-대한배아전문가협, ‘난임의료 전문인재 양성’ 맞손 |
대구공업대 골프레저과, 한국스포츠과학지도자협회 ‘맞손’ |
김용찬 국립경국대 교수, 세계적 권위 학술지에 ‘프리온 치료 후보물질 발굴’논문 게재 |
대구한의대, 밝은해한의원과 상호협력 협약·장학금 전달식 |
대구보건대 교수학습지원센터, 생성형 AI 활용한 교수법 특강 ‘성료’ |
DGIST 인수일 교수팀, 세계 최초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베타전지 개발 |
칼럼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엔트로피(Entropy)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정보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
만리장성(萬里長城)은 2000년 전 진시황부터 북방의 흉노족이나 몽골족 유목민의
|
벗(friend)이란 비슷한 나이에 친하게 사귀는 사람이다. 우도(友道)는 벗을
|
대학/교육
신일희 계명대 총장, 우즈벡 국립체육대서 명예박사 받아 |
예천 도서관, 읽고 쓰기 주제 2025년 특색사업 운영 |
한국폴리텍대학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메타바이오메드와 ‘맞손’ |
영남대병원·한국혈액암협회, 폐암 바로알기 공개강좌 시행 |
대구대-대한배아전문가협, ‘난임의료 전문인재 양성’ 맞손 |
대구공업대 골프레저과, 한국스포츠과학지도자협회 ‘맞손’ |
김용찬 국립경국대 교수, 세계적 권위 학술지에 ‘프리온 치료 후보물질 발굴’논문 게재 |
대구한의대, 밝은해한의원과 상호협력 협약·장학금 전달식 |
대구보건대 교수학습지원센터, 생성형 AI 활용한 교수법 특강 ‘성료’ |
DGIST 인수일 교수팀, 세계 최초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베타전지 개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