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대구시장<사진>이 15일 내년 3월 실시될 예정인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과 후보들에게 건의할 40조 원 규모의 지역공약 사업을 건의 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3월부터 실·국별 과제 발굴을 시작으로 8개 구·군 및 유관기관 제안과제, 시민사회·경제계 요청사항을 심도 있게 검토해 왔으며, 하반기에는 시민 설문조사도 실시하는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했다.
이날 발표한 대구 대선 지역공약은 '대한민국 남부권의 글로벌 거점으로 도약'을 비전으로 5대 분야 16개 사업이다.
'대경 신공항 건설'(1개 사업, 17조 4184억 원) 분야는 △대구경북을 세계로 선도할 글로벌 경제물류공항 건설(17조 4184억 원), '품격 있는 역사문화도시'(3개 사업, 3조 210억 원) 분야는 역사·문화·환경이 살아있는 명품 금호강 조성(1조 7215억 원) △구 도청 후적지를 문화산업 허브로 조성(7782억 원) △경상감영과 달성토성 복원으로 역사문화 관광벨트 조성(5213억 원) 사업을 건의했다.
또 '미래산업 선도도시'(5개 사업, 6조 6230억 원) 분야는 △서비스로봇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1조 1000억 원) △전기차 혁신산업 클러스터 구축(1조 3730억 원) △디지털 의료산업 중심도시 대구 조성(1조 1000억 원) △동대구 벤처밸리 일원을 미래혁신타운으로 조성(8500억 원) △대구국가 스마트 기술산업단지 건설(2조 2000억 원) 사업이 포함됐다.
'탄소중립 녹색도시'(4개 사업, 6조 86억 원) 분야는 △안전한 먹는 물 공급을 위한 취수원 다변화(7199억 원) △친환경 물 중심도시, 대구(1조 1667억 원) △섬유·염색 산업의 탈(脫)탄소화 추진(1조 2000억 원) △서대구 역세권을 친환경 문화복합신도시로 대개조(2조 9220억 원), '동서화합·균형발전'(3개 사업, 6조 8343억 원) 분야는 △대구경북 글로벌 메가시티 건설(1조 5485억 원) △대구-광주 달빛고속철도 조기 착공(4조 5158억 원) △2038 대구·광주 하계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7700억 원) 사업이 반영됐다.
향후 시는 대선 후보를 비롯 주요 정당을 방문해 지역공약을 전달·설명하는 한편 공약 반영을 위해 정치권 등 관계자와 적극 힘을 모은다는 계획이다.
권영진 시장은 “대선 지역공약은 차기 정부에서 국정운영과제와 연계돼 지역발전을 이끌 핵심 기반이 된다”며, “대구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사업들이 대선공약에 모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방위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황보문옥 기자 |
|
|
사람들
문경소방서(서장 민병관) 현장대응단은 지난달 30일 문경소방서에서 선발한 「2025년 상
|
대한어머니회 문경시지회(회장 오점숙)에서 지난달 30일 문경시장학회에 200만 원의 장학
|
상주 동문동이 올 2월부터 지역민을 대상으로 라인댄스와 일본어 회화강의로 진행해 왔던 배
|
새마을지도자영천시협의회는 1일 금호읍 덕성리 새마을농장에서 회원 50여 명과 최기문 시장
|
영주 가흥2동주민자치위원회가 지난 28일부터 29일까지 서천변 산책로 일대에 장미꽃길을
|
대학/교육
칼럼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
■“전통은 여전히 지금을 위로한다 ”
어머니가 만들어주시던 냉국 한 그릇을 입에
|
\'80세의 벽\'은 와다 히데키 일본의 노인정신의학 및 임상심리학 전문의사의 저
|
하지(夏至)는 1년 중 해가 가장 긴 절기로, 여름이 본격 시작되는 시점이다. 양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