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연구원 류연수 박사가 17일 '대경 CEO Briefing' 제648호를 통해 '기후위기대응과 지역활성화 위한 대나무환경숲 구상화해야!' 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이슈로 대응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국제사회가 인정한 기후위기 해결책으로서 숲은 중요한 핵심 요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산림의 탄소흡수원 가치는 더욱 중요하게 인정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에 따르면 대나무 한 그루는 연간 이산화탄소 5.4kg을 흡수하는 것으로 분석됐고,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우수한 타 수종(소나무숲 9.7t/1ha, 벚나무 9.5t/1ha, 상수리나무 6.5t/1ha)에 비해 흡수 효과는 상대적으로 월등한 것으로 파악됐다.
기존의 산업적인 측면과 함께 대나무숲의 끈질긴 생명력과 왕성한 번식력을 기반으로 한 하천 범람 시 방재기능, 힐링·치유의 커뮤니티 공간화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기능을 장착한 실현 가능한 모델을 정책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북도 대나무숲 면적은 약 1,916ha 정도이고 낙동강변인 상주, 김천, 구미, 성주지역은 605.5ha 규모, 경주, 포항지역인 형산강변은 724.6ha 규모이다. 경주지역의 대나무숲 면적은 390.5ha로 경북지역 전체 대나무숲의 약 21%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종별로는 솜대가 940ha(49.1%)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했고 죽종혼효림 774ha(40.4%), 왕대 202ha(10.5%)로 분석됐다. 솜대 비율이 높은 것은 솜대가 추위에 강하고 전라남도와 경남도 등에 비해 평균기온이 낮은 경북도의 지형적 특성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교토 아라시야마는 세계유산 자원을 죽림으로 연결해 매력적인 공간을 구성함으로서 역사문화자원과 관광지 가치 향상에 기여했다. 중국 북경 자죽원은 자생지에 지역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공원을 조성해 시민들이 쉽게 자연경관을 체험할 수 있도록 수요에 대응했다.
국내에서는 자생지에 추가 식재를 해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태화강변 십리대숲은 생태자원을 기반으로 국가정원으로 지정됐고 죽녹원은 담양의 정자문화와 더불어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확대됐으며 죽곡 댓잎소리길은 생활 속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경북지역에도 대나무숲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나 활용된 사례가 드물다. 대나무숲의 휴양, 자연체험 등의 효과와 더불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환경적 기능이 부가된 공간으로 재탄생하는데 관심을 가지고 추가 조성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경북도는 대나무숲이 이산화탄소 흡수원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기존 대나무숲 자생지를 기반으로 다기능적 공간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 생태, 역사문화 자산과 연계한 지역 활성화를 모색하고 미래지향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정책 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기후위기대응 환경숲 A형(면형-대규모-복합형), B형(면형+선형-대규모-도심인접형), C형(점형-소규모-농촌인접형) 등의 대표 모델을 통해 기존 대나무 군락지, 유휴부지 및 이용도가 낮은 공원 부지를 주제공원으로 조성하고 역사문화공간과의 연계로 반복적인 방문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전통 마을숲을 모티브로 해서 주민과 함께 공간을 만들어 나가는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유형별 대상지를 발굴 및 확보하고 환경부, 산림청, 국토부 등의 사업과 협업을 고려하면서 기본구상을 수립해야 한다. 단계별로 사업 추진 방안을 마련하여 소규모 시범사업부터 중앙정부 건의사업까지 다각도적인 정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