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역특산주 꿀 발효주 개발<상주시 제공> |
| 상주 농업기술센터가 지역농산물을 활용한 특산주개발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28일 농업기술센터 소회의실에서 지역 주류제조업체 대표와 농산물 생산자 단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5월 중간보고회에서 개발 방향을 설정한 꿀과 과일을 활용한 미드(꿀 발효주, Mead) 개발에 이어 8월 초 주류 전문가와 일반소비자가 시음 평가해 선정한 최종 4종의 술(샤인머스캣, 사과, 복숭아, 배)을 선보이고 시음 했다.
개발 용역을 맡은 한국가양주 연구소 관내 주류업체 대표는 신선한 과일과 달콤한 꿀이 들어간 미드는 기존의 쌀로 만든 술과 차별화되고 젊고 새로운 이미지가 있다며, 지역 특산주로 성장 가능성이 켜 향후 기술이전을 받아 제품을 생산해 보고 싶다는 의향을 밝혔다.
조인호 소장은 “이번 용역을 통해 개발된 술은 현재 국내 시장에서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술로 시에서 먼저 상품화해 새로운 주류시장을 개척하고 선점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며 “앞으로 관내 주류업체에 기술을 이전해 지역의 차별화된 특산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
|
사람들
안동 중구동 주민자치회가 지난 13일, 낙동강변 실개천 물속 걷는 길에서 ‘찾아가는 주민
|
안동 서구동이 지난 14일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서구동 안전협의체 발대식’을 개최했다.
|
문경시는 지난 13일 한국전력공사 경북본부(본부장 박경수)가 문경시청을 방문해 문경시의
|
예천군은 지난 16일 지보면 수월1리 내동경로당 준공식을 열고, 지역 어르신들의 편안한
|
상주 모동면이 최근 회의실에서 스마트마을방송 시스템 활용에 대해 교육을 면 회의실에서 이
|
대학/교육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