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당 사무처 직원들을 향한 구조조정을 본격적으로 시행하자 26일 당내에서는 잡음이 지속적으로 새어나오고 있다.당 지도부는 이를 인식한 듯 사무처 직원들 달래기에 나섰지만, 불만의 목소리는 쉽사리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이번 구조조정이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예비한 포석이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홍준표 대표는 취임 이후 당의 인적혁신을 여러 번 강조한 바 있다. 한국당은 이후 '희망퇴직 신청자 모집 공고'를 내는 등 당 규모 줄이기에 나섰다. 지난 13일에는 당 인사위원회를 열어 16명의 직원에게 대기발령을 내렸다.홍 대표는 지난 25일 당 사무처 월례조회에 참석해 당 사무처 인원 감축의 불가피성을 강조하며 직원들에게 양해를 구했다. 그는 "심리적인 동요가 있었을 것."이라며, "남은 사람만이라도 한마음이 돼 내년 지방선거 승리를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그러나 당내 비판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구조조정 기준이 불명확하다는 것과, 공동 책임이 있는 현역 의원들의 반성 및 조직 개선 없이 눈에 보이는 인적쇄신부터 먼저 건드리고 있다는 지적이다.한 당내 관계자는 뉴스1과 만나 "당에서 갑자기 일부 당직자들에게, 이번 달 안으로 사무실을 정리해 달라며 일방적 통보를 했다."며, "일부 시도당직자들은 서울로 상경해 홍문표 사무총장에게 눈물을 보이며 이 같은 지시를 거둬달라고 호소했다."고 전했다.한편 당내 일각에서는 이같은 구조조정이, 바른정당 사무처 직원들과 통합을 위한 빈자리 만들기라는 주장도 제기된다.한국당 사무처는 당초 구조조정 직전 250여명의 직원을 두고 있었으나, 이번 구조조정을 통해 적게는 30명에서 크게는 50명의 직원을 감축할 계획이다.반면 바른정당 사무처 직원은 총 45명으로 한국당이 바른정당과 합당할 경우, 기존 한국당 사무처 당직자 수준을 회복하는 수준에 이른다.당내에서는 이를 두고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한국당 사무처 노동조합 측에서는 바른정당과 합당을 하더라도, 바른정당의 사무처 직원들을 그대로 들여오는 것은 절대 불가라는 입장이다.또 다른 당내 관계자는 "당이 어려운 시기에 당을 이탈한 사람들인데 그 사람들은 복당해도 자리가 있고, 끝까지 버틴 사람들은 자리가 사라진 것."이라며 "불합리하다"고 토로했다.한국당은 우선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일부 직원들에게 대기발령을 내린 상태다. 이를 두고 향후 실질적인 구조조정에 들어가게 되면 당내 잡음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뉴스1 |
|
|
사람들
구미 양포동 새마을부녀회가 지난 21일 취약계층 20가구에 삼계탕과 반찬을 전달하며 초복
|
구미 형곡2동이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주최하고 구미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형곡2동지역사회
|
칠곡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8일 교육문화회관에서 제11기 협의체 위원장 이취임식과
|
고령 개진면 노인회분회가 지난 21일 임원진 및 경로당 회장·총무에게 초복을 맞아 삼계탕
|
상주 청리면이 지난 21일 전 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상호존중 실천다짐의 날을 정해 첫 시
|
대학/교육
국립 경국대, ‘2025년 경북글로벌학당’개강식 |
문경시, 숭실대·문경대와 상호 협력 교류 업무협약 |
대구대 파란사다리 연수단, 영국‧말레이시아‧필리핀 해외 연수 |
청도, 특수교육대상학생 '신나는 여름 계절학교' |
계명문화대, 대구 달서구 ‘치매극복선도대학’ 지정 |
문경교육지원청, 2025 학부모 메이커 발명교실 |
영남이공대,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전공 연계 해외 산업 현장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대구보건대, 치매 커뮤니티케어 융합인재 양성 위해 4개 기관 협약 |
DGIST, 국민권익위와 ‘청렴교육 확대’ 업무협약 |
칼럼
후궁(後宮)은 왕실의 정실 부인 외의 공식 지위를 가진 여성을 말한다. 제왕의 첩
|
자난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울산)반구천의 암각화'(
|
7월 5일 오후 포항 구룡포항에 있는 대게 식당에서 초등 동문 팔순 파티가 있었다
|
■정성이 담긴 한 접시
음식은 때때로 말보다 깊은 마음을 전하기도 한다. 특히
|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
대학/교육
국립 경국대, ‘2025년 경북글로벌학당’개강식 |
문경시, 숭실대·문경대와 상호 협력 교류 업무협약 |
대구대 파란사다리 연수단, 영국‧말레이시아‧필리핀 해외 연수 |
청도, 특수교육대상학생 '신나는 여름 계절학교' |
계명문화대, 대구 달서구 ‘치매극복선도대학’ 지정 |
문경교육지원청, 2025 학부모 메이커 발명교실 |
영남이공대,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전공 연계 해외 산업 현장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대구보건대, 치매 커뮤니티케어 융합인재 양성 위해 4개 기관 협약 |
DGIST, 국민권익위와 ‘청렴교육 확대’ 업무협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