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는 지난 7일 시청 회의실에서 ‘훈민정음(訓民正音)’ 언해본 제작을 위한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경상북도의 지원으로 이뤄지는 이 사업은 (사)유교문화보존회의 주관으로 올해 9월 착수해 내년 2월 마무리된다.훈민정음은 우리 민족 최대의 발명이자 언어사 및 기록문화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기록유산이다. 새로운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에 대한 한문 해설서인 해례본과 그 해례본을 한글로 번역한 언해본이 전한다. 우리말의 창제원리와 누가 만들었는지를 밝혀주는 해례본은 안동에서 발견됐다. 1443년(세종 25) 12월에 세종이 친제한 ‘언문 28자’에 대한 어제 서문 및 예의편, 이를 해설한 해례편 및 정인지 서문으로 구성돼 있다. 1962년에 국보 제70호로 지정됐고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다.그러나 책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목판이 전하지 않아 아쉬움이 많았는데, 해례본의 원소장처인 시에서는 지난해 해례본 복각사업을 추진해 안동이 갈무리한 지방 기록문화의 우수성을 대내외에 자랑한 바 있다.이번에 추진할 언해본 복각 사업은 지난해 해례본 복각사업의 후속작업이다. 훈민정음 언해본 정본 1세트(20면, 양면 11장)와 희방사본 2세트(20면, 단면 20장)를 복각할 계획이다. 이번 복각에는 본문 15면 이외에도, 간기, 후서, 발문, 후지와 제책용 능화판(표지) 1장이 추가되어 각각 총 20장으로 구성되며 총 3세트가 제작된다. 복각 작업은 현존 인출본 및 영인본들에 대한 조사와 검토를 거친 뒤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정본의 판하본 및 목판의 형태를 확정하며 이후 대한민국 최고의 각자장(刻字匠)을 선정해 제작이 진행된다. 내년 2월 언해본 복각 사업이 마무리되면 전시를 통해 안동지방이 인쇄문화의 고장임을 대내외에 홍보할 계획이며, 전문 연구자를 초청해 훈민정음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학술행사도 진행할 계획이다. 김태진 기자 Ktj1857@hanmail.net |
|
|
사람들
문경 동로면이 지난 21일 명전2리 마을회관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경주 안강읍이 지난 16일 우리동네 환경 지킴이와 행정복지센터 직원 등 약 50여 명이
|
경주 건천읍이 지난 16일부터 이틀간 초복을 맞아 지역 내 경로당 51곳 순차 방문해 어
|
울진 근남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7일 취약계층 60가구를 대상으로 7월 ‘마음담은
|
울진 매화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7일 독거노인 등 어려운 이웃을 대상으로 ‘초복 맞
|
대학/교육
대구대 파란사다리 연수단, 영국‧말레이시아‧필리핀 해외 연수 |
청도, 특수교육대상학생 '신나는 여름 계절학교' |
계명문화대, 대구 달서구 ‘치매극복선도대학’ 지정 |
문경교육지원청, 2025 학부모 메이커 발명교실 |
영남이공대,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전공 연계 해외 산업 현장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대구보건대, 치매 커뮤니티케어 융합인재 양성 위해 4개 기관 협약 |
DGIST, 국민권익위와 ‘청렴교육 확대’ 업무협약 |
문경시, 해외명문대학견학 사전 설명회 |
호산대, 혁신지원사업 교직원 AI 역량강화 워크숍 |
칼럼
후궁(後宮)은 왕실의 정실 부인 외의 공식 지위를 가진 여성을 말한다. 제왕의 첩
|
자난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울산)반구천의 암각화'(
|
7월 5일 오후 포항 구룡포항에 있는 대게 식당에서 초등 동문 팔순 파티가 있었다
|
■정성이 담긴 한 접시
음식은 때때로 말보다 깊은 마음을 전하기도 한다. 특히
|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
대학/교육
대구대 파란사다리 연수단, 영국‧말레이시아‧필리핀 해외 연수 |
청도, 특수교육대상학생 '신나는 여름 계절학교' |
계명문화대, 대구 달서구 ‘치매극복선도대학’ 지정 |
문경교육지원청, 2025 학부모 메이커 발명교실 |
영남이공대,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전공 연계 해외 산업 현장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대구보건대, 치매 커뮤니티케어 융합인재 양성 위해 4개 기관 협약 |
DGIST, 국민권익위와 ‘청렴교육 확대’ 업무협약 |
문경시, 해외명문대학견학 사전 설명회 |
호산대, 혁신지원사업 교직원 AI 역량강화 워크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