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상길 대구상의 상근부회장 |
|
대구지역 기업이 새 정부에 경제 중심의 국정 운영, 경제 리더십을 강력히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구상공회의소가 대구지역 기업 444개사를 대상(250개사 응답)으로 지난 4~5일 실시한 '새 정부에 바란다, 지역기업 의견 조사'에 따르면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해 응답 기업의 96.4%가 '경제·산업'을 최우선 과제로 지목했고, 이어 '외교'(55.2%), '사회복지·보건의료'(41.6%), '안보'(34.0%) 순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이 직면해 있는 중대 경제 현안'에 대해서는 '경제 구조의 불균형(수도권 과밀화, 대기업-중소기업 격차 심화)'이 62.0%로 가장 많았고, 성장 동력 저하로 인한 '저성장 고착화'(49.6%),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인구 구조 변화'(46.0%)도 심각한 현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새 정부가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할 경제 정책'으로 '경기 부양 및 내수 활성화'가 78.8%로 가장 많았고, '물가 안정 정책'(31.2%), '고용 창출 및 일자리 정책'(27.2%) 순으로 답해 지역 기업은 직접적인 수요 기반 경기 부양책을 최우선으로 요구하면서 물가 안정, 일자리 정책도 수반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에는 '지역 특화산업 고도화 및 전략산업 집중 육성'이 62.4%로 가장 많았고, '지방 이전 기업에 대한 세제·금융 등 인센티브 확대'(48.0%), '지역 인재 양성 및 노동시장 활성화'(34.8%) 순으로 나타났다.
'대구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청년 인재 유입 및 정착 지원'이 48.8%로 가장 많았고, '지역 강소기업 육성'(44.4%), '대기업 및 공공기관 유치'(44.0%), '지역 전략산업 집중 지원'(41.6%) 순의 4대 정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외 경제 환경에 대한 체감 경기' 물음에 응답 기업 78.4%가 '나쁘다'(보통이다 19.7%, 좋다 1.6%)로 답하면서 현재 기업의 체감 경기가 상당히 위축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요 경영 리스크'로는 '내수 부진'(67.6%)과 '고금리·고임금·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56.8%)을 주요인으로 꼽으면서, 수요 침체로 인한 매출 감소에 비용 구조 악화가 더해 기업 경영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환경 개선을 위한 우선 추진 과제'로는 '세제 지원 확대 및 세부담 완화'(48.8%)와 '규제 혁신 및 제도 개선'(46.0%) 응답이 과반 가까이 나왔다. 다음으로 '기업 금융 및 자금조달 지원'(34.8%), '노동시장 유연화 및 인력 확보 지원'(31.6%) 순으로 나타나 무엇보다 생존을 위한 직접적 지원이 우선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길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지역 기업이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새 정부에 대한 기대도 크다. 새 정부는 경제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역 균형발전에도 적극 나서주기를 당부드린다”며, “대구상공회의소도 앞으로 지역 기업의 목소리를 면밀히 수렴해 정부에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제안하는 교두보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