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7-25 00:07:43

北 성장률 3.9% 90년대 이후 최고, 경제규모는 南 1/45

남북한 총인구 7600만, 北 출산율 2명대 무너져남북한 총인구 7600만, 北 출산율 2명대 무너져
뉴스1 기자 / 입력 : 2017년 12월 17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지난해 북한의 경제성장률이 3.9%로 1990년대 이래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국민총소득(GNI)은 남한의 45분의1, 1인당 국민소득은 22분의1 수준이었다. 북한의 경제지표는 모든 면에서 남한과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격차가 컸지만 석탄 생산량은 남한의 18배, 철광석은 12배 많았다. 외부 세계와 차단된 북한이지만 저출산 현상이 심각해지고, 휴대폰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등 사회상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통계청이 15일 발간한 '2017년 북한의 주요통계지표'에 따르면, 2016년 북한의 경제성장률은 3.9%로 1990년대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이전까지 2005년 3.8%가 최고치였고 2008년 3.1%를 달성한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1%대 미만이었다. 이 같은 성장률은 남한의 2.8%보다도 높은 것이지만, 경제규모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성장률 자체에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렵다. 2016년 북한의 국민총소득(GNI, 명목)은 36조3,730억원으로 남한 1,639조665억원 대비 45분의1 수준이다. 북한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 146만원으로 남한 3,198만원 대비 22분의 1 수준이다. 2016년 북한의 무역총액은 65억 달러로 남한 9,016억 달러 대비 138분의1 수준에 그쳤다. 북한의 수출액은 28억 달러, 수입액은 37억 달러에 불과해 남한과 100배 이상 차이가 났다. 북한이 유일하게 남한을 따라잡은 영역은 광공업 일부 분야다. 2016년 북한의 석탄 생산량은 3,106만 톤으로 남한의 18배, 철광석 생산량은 53만 톤으로 남한보다 1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료 수출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 자체 가공설비와 기술을 갖추지 못해 2016년 북한의 조강 생산량은 122만 톤으로 남한 6,858만 톤 대비 56분의 1 수준이었다. 북한이 최근 겪고 있는 사회상의 변화는 다른 나라의 일반적인 추세와 비슷하다. 2015∼2020년 북한의 합계 출산율은 1.94명으로 사상 처음 2명 이하로 떨어졌다. 1970년대 이전 4명에서 1990년 중반 이후 2명대로 급격히 감소한 이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6년 북한의 인구는 2,490만명으로 남한 5,125만명 대비 절반 수준이고, 남북한 총인구는 7,614만명으로 집계됐다. 북한의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361만명으로 남한 6,130만명의 17분의1 수준이다. 그러나 증가세는 만만치 않다. 2009년 7만명에서 꾸준히 늘어 2011년 100만명을 넘었고 2015년 300만명을 돌파했다.북한의 인구 100명당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14.26명으로 남한 122.65명 대비 9분의1 수준이다. 뉴스1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구미 장천면이 지난 23일 종합복지회관에서 ‘복날맞이 삼계탕 나눔행사’를 열고, 재가 독 
성주 종합사회복지관(관장 박용찬)이 지난 23일, 중복맞이 보양키트 나눔 행사를 진행했다 
경주 안강읍 근계2리 주민이 지난 23일, 안강읍 근계2리 마을발전협의회 칠평천 쓰레기  
경주 중부동 행정복지센터와 터미널상가연합회가 지난 22일 도로 적치물 자진 정비 캠페인을 
지난 19일 바르게살기운동 황성동위원회가 용황지구 공터에서 환경정비 활동을 실시했다. 
대학/교육
대구대 게임학과, 일본 최대 인디게임 축제 ‘비트서밋 2025’ 견학  
김정윤 계명문화대 교수, 태권도 품새 국가대표팀 이끌고 하계U대회 종합우승  
대구보건대, 남구청·대명복지관 ‘맞춤형 늘·돌봄’ 복지서비스 협약  
대구한의대, HLB생활건강㈜과 K-MEDI 성장·화장품 산업 공동협력 ‘맞손’  
영남이공대, 졸업특화 로컬링크 프로그램 ‘성료’  
DGIST 이윤희·구교권 연구팀, 딥러닝 기반 폐암 진단 기술 개발  
(재)예천 군민장학회, 글로벌 인재양성 해외 연수  
남성희 대구보건대 총장, 필리핀 CEU로부터 명예박사  
(재)문경 장학회, 올 하반기 서울 문경학사 입사생 모집  
계명대 박물관 대학, 역사문화 아카데미 개설  
칼럼
후궁(後宮)은 왕실의 정실 부인 외의 공식 지위를 가진 여성을 말한다. 제왕의 첩 
자난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울산)반구천의 암각화'( 
7월 5일 오후 포항 구룡포항에 있는 대게 식당에서 초등 동문 팔순 파티가 있었다 
■정성이 담긴 한 접시 음식은 때때로 말보다 깊은 마음을 전하기도 한다. 특히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대학/교육
대구대 게임학과, 일본 최대 인디게임 축제 ‘비트서밋 2025’ 견학  
김정윤 계명문화대 교수, 태권도 품새 국가대표팀 이끌고 하계U대회 종합우승  
대구보건대, 남구청·대명복지관 ‘맞춤형 늘·돌봄’ 복지서비스 협약  
대구한의대, HLB생활건강㈜과 K-MEDI 성장·화장품 산업 공동협력 ‘맞손’  
영남이공대, 졸업특화 로컬링크 프로그램 ‘성료’  
DGIST 이윤희·구교권 연구팀, 딥러닝 기반 폐암 진단 기술 개발  
(재)예천 군민장학회, 글로벌 인재양성 해외 연수  
남성희 대구보건대 총장, 필리핀 CEU로부터 명예박사  
(재)문경 장학회, 올 하반기 서울 문경학사 입사생 모집  
계명대 박물관 대학, 역사문화 아카데미 개설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