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대구 달성군)은 2019년도 국정감사 후속조치로 관세청 퇴직 공무원의 관세법인 취업 관련 심사를 강화하고 관세청 전관을 영업의 주요수단으로 하는 관세법인 업무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하는 내용의 '공직자윤리법 일부개정법률안'과 '관세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29일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추경호 의원은 관세청 국정감사를 통해 수출대행 업체가 관세청의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업체 정보, 수사 관련 내용 등이 유출되어 관세청 퇴직 공무원 등이 근무하고 있는 관세법인이 해당 업체에 사건 해결을 제안하고, 협업관계에 있는 법무법인을 통해 고액의 수임료를 요구하는 등의 문제가 만연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현직 관세청 직원은 실적을 올리고, 관세법인과 법무법인은 수임료 수입을 올리는 상부상조의 관계, 이른바 '관피아 카르텔'이 이번 사례를 통해 드러나게 된 것이다.
추 의원은 국정감사 후속조치의 하나로 관세청 퇴직 공무원이 관세법인에 취직하여 전관예우를 이용해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원천 차단키 위해 다른 법무업인, 회계법인, 세무법인과 같이 연간 외형거래액이 일정규모 이상이면 취업제한을 하는 한편 직업선택의 자유에 대한 과도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재산공개대상자가 아닌 취업심사대상자 중 관세사 자격을 소지한 경우에는 심사를 받지 않고 취업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직자윤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또 퇴직 공무원 출신에 대한 전관예우, 전현직 공무원 간 관세 카르텔 형성 등 비위문제가 해매다 반복되는 만큼 관세사 등록 시 공직퇴임관세사인지 여부를 등록하도록 하고, 수임한 업무에 대한 업무실적 내역서를 작성 제출해 전현직 공무원 간 유착 등의 비위를 예방하고 그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뿐만아니라 관세사가 통관업의 수임을 위해 세관공무원과의 연고 관계를 선전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관세사의 업무 수행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관세사법 개정안을 함께 발의했다.
추경호 의원은 “관세사는 공공성을 지닌 관세 전문가로서 납세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건전한 통관질서의 확립에 기여하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고 관세사법을 통해 명확히 밝히고 있다"며 "특히 관세행정은 우리 국민경제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수출입 관련 업무를 주관하기 때문에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돼야 함에도 해마다 수차례 관세청 퇴직 공무원의 전관예우, 전현직 공무원 간 유착 관계 등이 문제되고 있는 만큼 관련 법 개정 및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