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8 오후 02:10:4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검색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구인구직
 

뉴스 >"홈페이지담당자" 기자님의 기사 | 총기사 (전체 2,405건)

‘이철우표 외교력’ 세계만방에 꽃 피우다

경북도가 지난해부터 해외 순방 시 문화행사, 기업투자유치와 유학생 초청행사 등을 패키지로 진행했다.
[ 01/01 12:18]

한동훈, 평균 43세 '789 비대위' 출격 '세대교체 신호탄'

평균 나이 43세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가 28일 공개됐다.
[ 12/28 16:45]

‘K-EDU 원년’ 삶의 힘 키우는 따뜻한 경북교육

요즘 교육을 살피면, 학교폭력이 하루가 다르게 증가한다. 또래들끼리의 따돌림으로 고통을 받는 학생이 있다. 게다가 성추행까지, 우리사회가 우려한다. 학교 전체를 두고 볼 땐, 스승은 없고, 제자도 없다. 때문에 교사는 있어도, 학생만 있는 곳이 바로 학교라면, 바른 인성교육조차 없는
[ 12/28 05:11]

경주시, '세계유산 탐방거점센터' 건립한다

한국에선 거리마다 모든 것이, 역사와 문화 그리고 예술이 넘치는 곳이 바로 경주시이다. 경주시는 가히 ‘거리 박물관’으로도 불러도 좋을 정도이다. 때문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이 유독 많다. 세계유산 등재의 요건을 보면, 세계유산은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Outstanding
[ 12/27 07:25]

韓 비대위원장, 비서실장에 김형동 의원 임명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6일 당 노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형동 의원<사진>을 비서실장으로 임명했다.
[ 12/26 17:12]

본사 인사

본사 인사 ▲ 김경태 사회2부 부장 (경주‧포항 담당 겸임)
[ 12/26 10:30]

‘봉사(奉仕)’에 대하여

필자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나름대로 봉사 활동을 한 경험이 많다. 당시 학교 선생님과 한의사 한 분과 그 지인, 그리고 필자의 당시 선후배 몇 명이 주기적으로 양로원을 찾아 의료봉사활동에 하루를 다 보내고도 기쁜 마음이었음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된다. 주기적으로 하는 일이라 사전에 다른
[ 12/25 11:58]

경북도, 세계적 B2B 플랫폼 '알리바바 닷컴'과 업무협약 체결

우리나라는 천연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때문에 자원을 수입하여, 가공하여, 수출한다. 이런 때는 수출의 창구가 보다 다변화로 가야한다. 다변화로 가되, 우리와 가깝다면, 물류비용이 절약된다. 신선이 요구되는 물품인 경우엔, 수출의 비용에선 아주 유리하다. 지난 20일 경북도가 도청
[ 12/25 11:48]

미련은 찬란한 봄을 꿈꾼다

올해 봄. 이웃에 간판은 없으나 탐스런 제철 과일이랑 올망졸망 작은 화분들을 함께 파는 가게가 있다. 동네에선 ‘할머니네’로 그냥 정겹게 부른다. 할머니네서 연보라 나비들이 앉은 듯한, ‘랜디 제라늄’을 샀다.
[ 12/20 07:29]

포항시-대구한의대, 해양산업 발전 협약 체결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이다. 따라서 바다를 청결하게 가꾸는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 이제부턴 바다가 자본 창출의 대상이 아니다. 지난 11월 국립수산과학원 ‘국제 미세플라스틱 심포지엄’에 따르면, 국내 일부 연안 바닷물 속 미세플라스틱 오염도가 해양 생물들에게 위험하지 않을 것으로 간주
[ 12/20 06:48]

권기창 안동시장, '한국을 빛낸 청렴인 대상' 영예

대의민주주의 사회에선, 선출직 공직자는 시민이 준, 권력이나 행정력을 행사함에서, 무엇보다 청렴하게 그 업무를 행사해야만 한다. 하지만 그렇지가 못하다면, 그 사회는 부패의 늪에 빠진다. 그 사회가 딱 한번이라도 부패로 간다면, 걷잡을 수가 없다. 때문에 선출직 공직자의 청렴도는 그
[ 12/19 06:55]

대구, 보건복지부 복지사업 '10관왕' 의 '그늘'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 또한 헌법 제34조에선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사회보장·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 같은 헌법은 하나 휴지로 전락하는 사례가 수두룩
[ 12/18 07:53]

포항, 차세대 친환경 수소 에너지 기반 '도약'

생태라든가, 친환경 등은 현재서부터 미래까지 소중한 가치이다. 우리는 고도성장을 하는 바람에 위 같은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하기는커녕, 되레 거추장스럽게만 생각했다. 지금은 이제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판국으로 돌입했다. 생태와 친환경에선 가장 소중한 것은, 소수경제이다
[ 12/16 12:15]

경북 지방자치·분권의 지방시대

당대는 지방분권·지방자치를 추구한다. 지방이 보다 튼실해야, 수도권이 지탱된다. 지방이 수도권을 지탱하는 버팀목의 역할을 다한다. 따라서 사회의 전 분야에서, 분권이 구현되어야만 한다. 분권은 먼저 에너지이다. 지방분권을 위해선, 에너지 분권이 우선이다.
[ 12/14 07:00]

경북, ‘제60회 무역의 날’ ‘74개 수출탑’ 수상

우리나라는 비교적으로 천연자원이 부족하다. 이를 땐, 가공품이나 우리에겐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다른 나라로 수출해야한다. 수출과 수입은 항상 균형이 잡힌 것에서부터 수출이 보다 많아야한다. 이렇게 쌓인 것이 바로 국부이다. 이를 총칭하여, 무역으로 부른다. 세계는 각각 자연 조건이 다
[ 12/13 07:05]

포항시, ‘촉발지진’ 손해배상 일괄배상 촉구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기 아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부터 2021년까지 한국에서 발생한 규모 2.0이상 지진은 총 2,024회였다. 2012~2021년간 발생한 지진을 살펴보면, 규모 2.0이상 3.0미만의 지진이 88.5%로 가장 많았다. 규모 3
[ 12/12 09:07]

‘청년’

청년이란 단어를 포털에서 검색하면, 그 뜻보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전세대출, 청년주택드림, 청년주택, 청년몽땅정보통 등이 먼저 뜬다. 각각은 청년의 개념을 자기 나름대로 정해놓고 그것에 상응하는 특별한 혜택을 제공한다는 금융상품들이다. 우리 사회의 큰 기
[ 12/11 13:06]

경북, 평생학습·평생교육 성과 새틀 짠다

요즘 추세에 따르면,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말들이 생긴다. 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첨단산업의 말들에 기인한 것이다.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일상생활에서 뒤지게 된다. 지금은 신조어이나, 곧 우리의 일상어가 되는 현실이다. 이에 필요한 것이 평생학습·평생교육이다. 우리나라 헌법 31
[ 12/11 03:37]

경북, ‘K-U시티 프로젝트’ 대한민국 최우수 선정

좀 전만 해도, 한국이 늙어간다. 이젠 한국의 인구가 소멸단계에 들어섰다. 지난 3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경북지역 평균 연령은 2008년 1월 39.3세였다. 2018년은 1월 44.4세이다. 2020년 1월 45.6세, 2023년 2월 47.7세로 15년 사이
[ 12/09 10:34]

경북도, 농식품 해외 상설매장 운영

우리 농촌은 현재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농업에 종사할수록 손해라는 말이 돌 정도이다. 소위 억대 수입을 올리는 농가가 있다할망정, 이는 일부에 그친다. 이판에 농식품 수출의 증가는 농업의 종사에 하나의 희망을 준다. 지난 11월 농림축산식품부의
[ 12/07 05:27]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실시간 많이본 뉴스  
계명문화대, 충성교회와 외국인 유학생·청년 선교 연계 ‘맞손
장미 대선 '장바구니 물가 좀…'
남면 직원, 농촌 일손 돕기 봉사
㈜서한 “보훈 대상자 위한 주거개선 사회공헌 이어간다”
남구, 목공체험형 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
영남이공대, ‘펫산업과 반려동물훈련사’ 특강 성료
예천서, 25년 1분기 경북청 베스트 여청수사팀 선정
대구지식재산센터, ‘2025년 글로벌IP스타기업’ 13개사
부동산원, 전국 아파트값 하락서 보합 전환 ‘대구 0.08%
소천면, 봄철 농촌 일손 돕기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34,855
오늘 방문자 수 : 23,782
총 방문자 수 : 143,121,234
본사 : 상호: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mail: smnews123@hanmail.net / Tel: 054-901-2000 / Fax : 054-901-3535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지사 지사대구본부: 053-794-3100 / 북부본부 : 054-859-8558 / 동부본부 : 054-284-4300 / 중부본부 : 053-444-2996~7 / 포항본사 : 054-275-7488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함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