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7-08 02:21:10
오피니언
  최종편집 :
출력 :
겨울철 교통사고예방, 안전운전이 필수
해가 짧은 겨울철에는 야간운전 시간이 길어져 운전자 시야저하로 인해 차량이나 보행자와 충돌하는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운전자의 방어운전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다. 겨울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7일
[욜로은퇴] 눈 오는 날 당신은
89세 할머니가 세상을 떠난 98세 할아버지를 막 언 땅에 묻고 산소 앞에서 옷을 태우며 이런 저런 얘기를 합니다. 작별 인사를 하고 대 여섯 걸음 발걸음을 옮기나 싶더니 그만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7일
구룡포과메기문화관 과메기 푸드 존, 입맛·자본 창출의 개발 계기되길
과메기는 포항시가 원조이다. 이게 포항시가 그만큼 유명세를 타기 때문이다. 전국의 어느 시장이나 점포에도 과메기하면, 포항시의 ‘구룡포산’이라고 표시하고 있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6일
소중한 정치후원금
보통 정치인에게 ‘정치후원금’을 ‘기부’하는 것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긍정적이지 않다. 오히려 부정적이거나 무관심하다. 이러한 부정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6일
환경운동과 소녀의 힘
지난 9월 유엔총회 기후변화행동 정상회의에서 세계 지도자들을 향해 “생태계가 죽어가고 있다. 당장 행동하라”고 일갈했던 스웨덴의 16세 소녀 환경운동가 그레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6일
경북 건설인 화합한마당 행사, 안전사고 없는 건설 현장이 되는 계기되길
안전사고는 우리의 일상이 되다시피, 걸핏하면 건설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심지어 근로자가 목숨을 잃는다. 이 같은 일은 건축현장의 안전 불감증의 현상으로 치부하기엔, 사고가 너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5일
아동학대 예방, 지금부터 다시 시작
아동학대는 아동을 신체적, 성적, 심리적으로 학대하거나 돌보지 않고 방임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접적인 학대뿐만 아니라 부부 간 갈등이나 가정폭력에 오랫동안 노출하는 행위 역시 학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5일
[漢字로 보는 世上] 정중지와(井中之蛙)
우물 井. 가운데 中. 갈 之. 개구리 蛙.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유사어로는 촉견폐일(蜀犬吠日), 월견폐설(越犬吠雪)이 있다. 중국에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5일
2020년 경북도 아이행복 결혼·출산·돌봄 생애주기별 정책 담는다
지난 11월 국제 구호개발 비정부기구(NGO)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의 ‘국제비교 맥락에서의 한국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 연구결과에 따르면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2일
기해년의 마무리는 음주운전 없는 송년모임으로
다사다난했던 기해년 한해가 서서히 저물고 있다. 보름 남짓 남은 시간동안 반가운 사람을 만나 소주 한잔을 기울이며 지나간 일 년을 돌아보는 송년 모임이 크게 늘어나게 될 것이다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2일
모과(木瓜)
필자(나)는 가을날에 외출했다가 집에 돌아올 때 가을꽃이나 고운 단풍을 꺾어 오는 일은 거의 없다. 예외적(例外的)이지만, 향기 짙고 노랗게 빛깔이 고운 모과(木瓜)는 몇 개씩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2일
일제강점기 유출 우리문화재 환수, 강탈 문화재 목록부터
일제강점기에 우리가 일본으로부터 겪은 수탈·강탈의 역사는 이루 다 말할 수가 없다. 일제의 문화재 강탈의 역사에서, 도저히 참을 수가 없는 일이 있다. 소위 오구라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1일
‘부패없는 청렴한 공직사회’를 희망하며…
‘청렴한 사회’란 과연 어떠한 사회를 말하는 것일까? 공직자에게 있어 ‘청렴(淸廉)’이란 단어는 언제나 바늘과 실처럼 따라다니는 수식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1일
번지는 ‘헥시트’ 공포, 싱가포르는 웃는다
싱가포르, 중국 인도 모두 커버 할 수 있는 지정학적 위치 점유 홍콩의 시위가 장기화되면서 ‘헥시트(Hexit)’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고 있다. 헥시트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1일
제7회 독도평화대상 시상식, 대한민국 자존심이며 역사이다
일본을 생각하면,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지금까지 하루도 평화로운 날이 없었다고 느낀다. 독도를 두고 자기의 땅이라고 주장하는 종이의 근거를 보면, ‘시마네현 고시 제4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0일
당신의 신고와 관심이 안전한 세상을 만듭니다
지난 2017년 제천스포츠센터 화재, 2018년 밀양세종병원화재, 그리고 올해도 지난 9월 24일 김포 요양병원 화재로 21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일이 매년 반복되고 있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0일
경영권 승계에 ‘작업’은 필요 없다
대기업의 지배구조는 국가공동체의 재산적 역량이 구성원들간에 분배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즉, 정치권력의 향배가 변수가 된다. 그러다 보니 대기업의 소유구조도 정치의 영향을 받는다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10일
포항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올해 복지패러다임 바꿔 역량 강화했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지역사회의 복지향상을 보다 추구하기 위해서 구성·운영하는 공공과 민간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이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협의구조를 구성·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09일
축사시설 화재예방! 작은 관심과 실천에서 시작!
겨울철에는 어느 누구나 따뜻함이 필요하고 원할 것이다. 우리가 곁에서 키우는 가축도 따뜻함이 필요한 것은 마찬가지이며, 가축을 키우는 축사 농민들은 더 춥기 전에 가축 겨울나기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09일
[漢字로 보는 世上] 철면피(鐵面皮)
쇠 鐵. 낯 面. 가죽 皮 얼굴에 철판을 깐 듯 수치를 수치로 여기지 않는 사람이다.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르고 낯가죽이 두꺼워 부끄러움이 없다는 말이다. 후안무치(厚顔無
세명일보 기자 : 2019년 12월 09일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사람들
영덕 강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4일 70세 이상 어르신 15명을 대상으로 무병장수를 
군위 불자봉사회가 지난 6일 군위읍 찾아가는보건복지팀 요청으로 군위읍 거주 홀몸 어르신  
한마음 상주사랑장학회가 장학금 2680만 원을 상주교육지원청에 기탁, 이를 오는 14일  
상주시 북문동이 지난 3일 부원 8통 마을쉼터에서 찾아가는 마을평생교육강좌 종강식을 가졌 
한국주택금융공사 울산지사는 지난 4일 경주시청을 방문하여 경주시 지역 내 어려운 이웃을  
대학/교육
대구시-영진전문대, 포항 찾아 외식 창업 현장 교육  
경북대병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 선정 ‘연구비 96억 확보’  
영남대병원, 경북-캄보디아 핵심의료인력 연수 참여  
강은희 대구 교육감,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우수’  
iM금융그룹 황병우 회장, 인구문제 캠페인 동참  
대구 보건대 직업이음센터, ‘중장년 다시이음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계명문화대, 올 상반기 해외파견 프로그램 통합 발대식  
국립경국대·삼호개발㈜, ‘건설산업 발전과 실무형 인재 양성’ 맞손  
대구 한의대, 일반인 대상 ‘비비크림 제조 실습 교육’ 성료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칼럼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대학/교육
대구시-영진전문대, 포항 찾아 외식 창업 현장 교육  
경북대병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 선정 ‘연구비 96억 확보’  
영남대병원, 경북-캄보디아 핵심의료인력 연수 참여  
강은희 대구 교육감,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우수’  
iM금융그룹 황병우 회장, 인구문제 캠페인 동참  
대구 보건대 직업이음센터, ‘중장년 다시이음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계명문화대, 올 상반기 해외파견 프로그램 통합 발대식  
국립경국대·삼호개발㈜, ‘건설산업 발전과 실무형 인재 양성’ 맞손  
대구 한의대, 일반인 대상 ‘비비크림 제조 실습 교육’ 성료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