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8-18 13:42:21

태영호·지성호, 비난 뭇매에 차명진·전여옥 “뭘 잘못했나”

두 전직 의원, 의혹 갖지 않는게 오히려 비정상 ‘옹호’
전여옥 “북한 비핵화 전망 청이 오히려 거짓말”

세명일보 기자 / 911호입력 : 2020년 05월 03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변 이상설을 강하게 제기했다가 ‘거짓말’ 주인공이 된 태영호 미래통합당 당선인과 지성호 미래한국당 당선인을 미래통합당 전직 의원들이 감싸고 나섰다.
4·15 총선 당시 ‘세월호 막말’ 논란을 일으켰던 차명진 전 국회의원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무오류, 살아있는 신이라 자처하는 자의 20일 동안 잠적 사건에 대해 의혹을 가지지 않은 자가 오히려 이상한 것”이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유고 의혹을 제기한 사람을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차 전 의원은 “인민민주주의, 주체사상 체제에서는 수령이 직접 개개 인민의 끼니거리까지 챙겨야 한다”며 “그 수령이 무려 20일 동안이나 사라졌다는 건 통치 포기요, 체제 스톱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당연히 국제사회가 의문을 갖게 됐고 급변 사태에 대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며 “아마 북한 사회 내에서도 이상한 소문이 빠르게 돌기 시작했을 거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이놈이 또 어디 숨어서 뭔가 일을 저지르지 않을까’ 불안해하며 행적을 찾는 거, 당연한 일”이라며 “좌빨들과 부역자들은 왜 정부의 발표를 못 믿느냐 비난하지 말고 왜 문재인이가 국민을 못 믿게 만들었나를 따져봐야 한다”고 역설했다.
전여옥 전 한나라당(미래통합당 전신·사진) 의원도 이날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추측도 하지 못하느냐. 분명 정황은 매우 의심스러웠다”며 “태영호, 지성호 당선자는 잘못한 것 없다”고 잘라 말했다.
전 전 의원은 “김정은이 죽지 않고 살아온 것을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 살아온 것 못잖게 좋아하는 민주당 박범계를 비롯해, 청와대도 태영호와 지성호는 경거망동하지 말라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며 “그런데 우리 말은 바로 하자. 태영호가 더 틀렸는가? 문재인 정권이 더 틀렸는가? 딱 산수를 해도 문재인 정권이 더 많이 틀렸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해 하노이회담 때 청와대서 ‘김정은이 핵을 포기하고 미국의 체제 보장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했다”며 “하지만 태영호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일은 절대 없음’이라며 태영호가 완판승을 거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왜 문재인 정권과 박범계, 그리고 대깨문들은 비핵화 절대 불가인 김정은의 행동에 대해서는 왜 입을 다물고 있느냐”며 “원자력 발전도 경기를 일으키며 탈원전으로 나라경제 말아먹은 자들이 왜 북한 핵개발에 대해서는 이렇게 관대하느냐”고 쏘아붙였다.
전 전 의원은 “제아무리 골든타임 걱정 없는 독재자라고 해도 심장마비나 뇌졸증 등 그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는 것”이라며 “김정은의 ‘까꿍’은 성인병종합세트의 김정은 유고에 대한 예고편인 것은 분명하다”고 했다.
전직 국회의원들이 태영호, 지성호 당선인을 옹호하는 주장을 펼치는 반면 통합당에서는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당 관계자는 “2일 대변인 논평을 통해 밝혔던 ‘김 위원장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을 단순한 해프닝으로 치부하지 말고 정부와 정보기관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다잡는 계기로 삼아라’고 한 것 이상으로 표명할 것이 없다”며 “민주당의 공격에 자칫 말릴 수도 있어서 더는 대응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뉴스1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구미 공단동주민자치위 주관으로 2022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해 온 ‘공단 지하도 벽화 그 
임오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4일 임원진과 함께 취약계층 20가구를 대상으로 ‘알토 
국제로타리 3630지구 영양로타리클럽이 경북 장애인종합복지관 영양분관(분관장 이희자)과  
상주 사벌국면의 ‘여름철 농한기 찾아가는 스마트폰 교육’이 지난 14일 마무리됐다. 
청송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4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행복반찬 드리미’ 사업을  
대학/교육
DGIST, QLED 디스플레이 수명·효율 높이는 소재 개발  
국립경국대·안동시, ‘안동형 일자리사업 진단평가 연구용역’ 결과보고회  
대구한의대·칠곡, '반려식물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  
문경교육지원청 2025년 지역교육행정협의회 개최  
2025학년도 특수교육 지원인력 역량 강화 연수  
계명대, '2026년 가정전문간호사 교육기관' 지정  
경산교육청, 특수교육대상학생 가족지원 캠프 운영  
예천, 2025학년도 2학기 원어민 영어교실 수강생 모집  
국립경국대, ‘제1회 경북 식물 엑소좀 심포지엄’성료  
영남이공대-베트남 반랑사이공전문대, 글로벌 인재 양성 협약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대학/교육
DGIST, QLED 디스플레이 수명·효율 높이는 소재 개발  
국립경국대·안동시, ‘안동형 일자리사업 진단평가 연구용역’ 결과보고회  
대구한의대·칠곡, '반려식물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  
문경교육지원청 2025년 지역교육행정협의회 개최  
2025학년도 특수교육 지원인력 역량 강화 연수  
계명대, '2026년 가정전문간호사 교육기관' 지정  
경산교육청, 특수교육대상학생 가족지원 캠프 운영  
예천, 2025학년도 2학기 원어민 영어교실 수강생 모집  
국립경국대, ‘제1회 경북 식물 엑소좀 심포지엄’성료  
영남이공대-베트남 반랑사이공전문대, 글로벌 인재 양성 협약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