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금오서원 전경.<구미시 제공> |
|
|
 |
|
↑↑ 상주향교 대성전(가운데 위쪽) 및 동서무(왼쪽 건물이 서무, 오른쪽이 동무) 모습.<상주시 제공> |
| 경북 구미와 상주의 유적이 줄줄이 보물로 지정예고됐다. 먼저 구미시 선산읍 원리에 소재한 금오서원(경상북도 기념물 제60호)의 ‘상현묘(尙賢廟)’와 ‘정학당(正學堂)’이 지난 6일자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예고 됐다. 구미 금오서원은 야은 길재 선생의 충절과 학행을 추모하기 위해 1567년 사림에 의해 서원 건립이 청원돼 1572년 봄에 야은 선생이 노년을 보냈던 금오산에 창건됐으며 1575년에 사액 받은(나라로부터 편액을 내려받은)서원이다. 임진왜란 때 선산지역 의병장들의 지휘소로 사용되다 모두 불에 타고 1602년에 현재의 선산읍 원리 남산자락으로 이건, 1609년 다시 사액 받았다. 상현묘는 성현을 배향하는 공간으로, 지붕의 세부구조에서 17세기의 시대적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특히 출목익공(出目翼工)의 지붕구조는 종묘(사적 제125호)의 정전보다 6년이나 앞선 사례로 매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가지는 등 역사적, 학술적, 건축사적 가치가 매우 뛰어나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 금오서원은 구미지역의 성리학을 상징하는 대표 문화유적으로, 특히 1871년(고종8)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국 47개소 사액서원 중 하나였다. 이어 상주시도 문화재청이 6일 상주향교 대성전 및 동․서무를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상주향교 대성전은 전면을 개방한 전퇴개방형으로, 서울 문묘와 성균관 대성전(보물 제141호) 다음으로 큰 규모다. 상주향교의 동·서무(과거 위패를 모신 건물)는 정면 10칸, 측면 1.5칸으로 기단과 처마도리를 경사지에 맞춰 건물 전체 높이는 같게 하고 양 단부의 가로 방향으로 길고 넓적한 자연석 초석 위에 처마도리를 받치는 보조기둥을 세운 구조다. 상주향교는 고려 때 12목에 학교를 설치하라는 조정의 명에 따라 창건 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서 깊은 문화유산이다. 1486년 목사 강구손(姜龜孫)이 성전, 루, 동재 등을 중수했다. 경주향교와 함께 대설위 향교로서 총 39현을 모시고 있다. 춘추(음력 2월, 8월)에 유교 제사의식의 전범(典範)이자 가장 규모가 큰 제사인 석전대제를 봉행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광해군 때 대대적인 복구로 중수됐으며 일제강점기 때 창호 등에 대한 변형은 있었으나 당시 양식과 배치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 유적은 통상 예고기간 30일을 거친 후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 문화재로 정식 지정된다.
김철억·오재영 기자 |
|
|
사람들
경북남부보훈지청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13일 신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학생들과 함
|
영천시농업기술센터 축산과 직원들은 13일 농번기 일손 부족에 작은 힘을 보태고자, 청통면
|
영천시 영화초등학교 총동창회에서 지난 12일 경북지역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을 위해
|
경주시 성건동 청년회는 지난 9일, 가정의 달을 맞아 지역 내 경로당 9개소를 방문해 어
|
전국한우협회 예천군지부는 13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한우 국거리 130팩을 기부했다.
|
대학/교육
대구공업대 사회복지경영계열대공봉사단, '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어버이날'행사 지원 |
청도교육청, 예술교사 수업 및 평가 역량강화 연수 |
경산 교육지원청, '학교체육진흥지역위원회 1차 협의회' 개최 |
영진전문대 파크골프경영과, ‘재학생 파크골프대회’ 성료 |
계명문화대, ‘서울국제푸드&테이블웨어박람회’서 전원 수상 |
영남이공대, ‘서울국제푸드앤테이블웨어 박람회’서 대상 |
국립경국대 축구동아리 ‘SPEED’, 창단 30년 만 전국대회 첫 우승 |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대학/교육
대구공업대 사회복지경영계열대공봉사단, '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어버이날'행사 지원 |
청도교육청, 예술교사 수업 및 평가 역량강화 연수 |
경산 교육지원청, '학교체육진흥지역위원회 1차 협의회' 개최 |
영진전문대 파크골프경영과, ‘재학생 파크골프대회’ 성료 |
계명문화대, ‘서울국제푸드&테이블웨어박람회’서 전원 수상 |
영남이공대, ‘서울국제푸드앤테이블웨어 박람회’서 대상 |
국립경국대 축구동아리 ‘SPEED’, 창단 30년 만 전국대회 첫 우승 |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