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산샛강 생태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고니가 물을 박차고 있다.<구미시 제공> |
| 구미시(시장 장세용)는 낙동강 물길의 변화와 퇴적작용으로 형성된 지산샛강 생태공원을 방문하고, 구미를 찾아오는 희귀 겨울철새 큰고니와 두루미 등의 겨울철새 자연서식지 보호를 위해 환경청, 조류전문가 등의 협력을 통한 서식지 보존과 보호대책을 바탕으로 한 관광자원화를 추진하고 있다. 월동하는 숫자는 2004년 10여 마리, 2012년 264여 마리, 2018년 806여 마리, 2021년 1000여 마리로 그 수 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생태환경을 저해하는 낚시 바늘과 폐기물 수거 등의 정화활동, 먹이주기, 전염병 예방을 위한 폐사체의 조류독감 검사와 소각처리, 생태환경 보존과 안전한 월동을 위해 인력을 투입, 예찰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지산샛강에서 서식하는 철새 중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큰고니(백조, Swan)는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한 새이며, 온몸이 순백색이여서 백조(白鳥)로 불리기도 한다. 날개를 폈을 때 너비 2.4m, 몸무게가 3~8kg, 북부유럽과 시베리아에 주로 서식하며, 10월경 우리나라 및 일본 등으로 남하해 3월초 북상하는 겨울 철새다. 특히 고니(백조)의 주요 도래지는 낙동강하구, 주남저수지, 창녕우포늪 등이며, 매년 5000 마리 가량이 월동하고 있다. 문화재청 천연기념물(제201-1호), 환경부 멸종위기종 2급으로 보호되고 있는 철새다. 어원은 하도 고와서 고운사람(고은이-고니)의미가 있으며, 서양 덴마크 동화 ‘안데르센 미운오리 새끼’와 러시아 발레 ‘차이코프스키 백조의 호수’로 매우 친숙한 철새다. 개체수가 많이 감소했지만, 해평습지를 찾아오는 천연기념물 제202호 두루미(학)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겨울철새 중의 하나로 생태환경의 보존이 절실하다. 경북대 조류생태연구소장 박희천 명예교수는 지산샛강은 근대 물길의 변화와 퇴적작용, 인위적인 낙동강 정비사업 등으로 생겨난 우각호(소뿔모양의 호수)로 생태가 잘 보존된 우수한 습지 환경을 간직하고 있으며, 기후 등의 자연환경 변화로 고니 주요서식지가 낙동강 하구에서 낙동강 중류인 구미의 지산샛강과 낙동강 해평습지로 변화하고 있다. 이를 잘 유지관리 및 보호 한다면 우리나라 최대 고니 월동지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미시에서는 지산샛강 등의 습지 보존계획을 수립하고 생태환경을 개선, 겨울철새 큰고니(백조)와 두루미(학) 등 생태자원을 활용한 관광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갈 예정이며, 구미를 생태자연환경 문화와 첨단산업이 조화롭게 발전하는 도시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김철억 기자 |
|
|
사람들
지난 13일 부구감리교회가 성금 1,800만 원을 울진군에 기탁했다.
|
지난 8일, 청송 부남 새마을회가 산불 피해 이재민을 돕기 위한 성금 모금활동과 ‘사랑의
|
군위 의흥면사무소가 14일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관내 농가를 방문하여 농촌 일손돕기 지
|
군위 의흥 지호3리는 지난 13일, 마을입구에서 전통 장승 제막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
경주 구황동 소재 명운사 주지 덕화 스님이 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본 영덕군민을 돕기 위
|
대학/교육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파워풀대구페스티벌서 스타일링 봉사 |
청도 금천초, 교실로 찾아오는 맞춤형 학폭예방교육' |
대구대 DU난임대응센터, '난임 원인 규명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
계명 문화대, 제2기 외국인 홍보대사 임명식 |
호산대 간호대학, ‘미국 간호사 되기’ 글로벌 특강 성료 |
DGIST, 반도체 산업 개방형 혁신 관한 연구 세계적 권위 학술지 게재 |
정홍문 대구보건대 교수,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우수회원 공로상 |
대구한의대, 호치민기술대에 화장품 전공 운영 지원·협력 강화 |
대구공업대 사회복지경영계열대공봉사단, '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어버이날'행사 지원 |
청도교육청, 예술교사 수업 및 평가 역량강화 연수 |
칼럼
레밍(Lemming)은 아무런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심리를
|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대학/교육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파워풀대구페스티벌서 스타일링 봉사 |
청도 금천초, 교실로 찾아오는 맞춤형 학폭예방교육' |
대구대 DU난임대응센터, '난임 원인 규명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
계명 문화대, 제2기 외국인 홍보대사 임명식 |
호산대 간호대학, ‘미국 간호사 되기’ 글로벌 특강 성료 |
DGIST, 반도체 산업 개방형 혁신 관한 연구 세계적 권위 학술지 게재 |
정홍문 대구보건대 교수,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우수회원 공로상 |
대구한의대, 호치민기술대에 화장품 전공 운영 지원·협력 강화 |
대구공업대 사회복지경영계열대공봉사단, '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어버이날'행사 지원 |
청도교육청, 예술교사 수업 및 평가 역량강화 연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