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만학도 신현문씨(74·앞줄 가운데)가 대구 달서구 계명대학교 영암관에서 손주뻘 동기, 선배들과 함께 활짝 웃으며 졸업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 70대 중반의 만학도가 대학원 시험에 합격하면서 받은 ‘면학장학금’을 다른 학생을 위한 장학금으로 기부해 화제다.
감동의 주인공은 신현문씨(74·칠곡군 북삼읍)로 지난 18일 계명대학교 학위 수여식에서 자신이 받은 장학금 100만원을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해 사용해 달라며 칠곡군 관계자에게 ‘호이장학금’으로 전달했다.
특히 신 씨는 “늦은 나이에 공부하려니 힘들었습니다. 수업에 시험 치는 일, 과제와 실습도 그렇고, 컴퓨터 사용도 제겐 보통 힘든 일이 아니었죠, 특히 나이가 들어서인지 수업을 듣고 돌아서면 까먹고 또 돌아서면 까먹는 등 암기가 참 힘들었다”고 소회했다.
신 씨는 학사모를 쓰고 활짝 웃으며 “배고픔 보다 배우지 못한 한이 더욱 큰 고통”이라며, “특히 가난으로 배우지 못해 평생의 한을 갖는 분들이 없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신 씨는 5년 전만 하더라도 초등학교 졸업이 학력의 전부였다.
경북 칠곡군 기산면에서 가난한 농부의 장남으로 태어나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간신히 초등학교만 졸업하고 부모님의 농사일을 도왔다.
중학교 진학을 하지 못했지만 가난이 배움에 대한 의지를 꺾을 수는 없었다.
그는 또 친구들의 교과서와 노트를 빌려 독학을 하며 학업에 대한 열망을 채워 나갔다.
30대에 접어들자 농촌 생활을 청산하고 대도시에서 사업에 도전해 성공한 사업가로 명성을 얻었으나 중국산 저가제품과 IMF로 인해 부도를 맞게 됐다.
예순을 넘기면서 상가임대사업으로 매월 고정수입이 발생하며 생활이 안정이 되자 그동안 못했던 공부에 대한 열정이 다시 솟아났다.
신 씨는 “처음에는 이 나이에 공부를 시작해도 될까 망설였지만 가족들의 격려와 평생토록 간직해온 배움의 한을 풀기 위해 공부를 시작했다”며, “하고 싶은 일을 열심히 실천하며 도전하는 것이 노년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지난 2016년 7개월간 고시원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69세 나이로 중학교·고등학교 졸업 검정고시에 합격한 데 이어 대학수학능력시험에까지 도전 이듬해 계명대 역사학과에 입학했다.
신 씨의 대학생활은 꼬불꼬불한 영어보다 반백년 나이 차이가 나는 동기들과 친목을 다지지 못해 한동안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열린 마음으로 학생들과 함께 어울리며, 한 달에 백만 원 이상 사비를 들여 밥을 사주기 시작하자 학생들도 점차 마음을 열기 시작했다.
학생들 사이에서 말이 잘 통하는 밥 잘 사주는 착한 형, 오빠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또 학위 수여식에서도 학생들이 신 씨를 보자 “형 축하해요”라고 인사를 건네며 손을 맞잡았다.
평점 4.5점 만점에 3.8이라는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그는 오는 3월 계명대 일반대학원 역사학과에 진학한다.
신현문 씨는 “특히 다른 학생들처럼 결혼 걱정과 이력서 쓸 일도 없으니 점수 욕심을 버렸지만 동기들의 도움으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게 됐다”며, “마지막 숨을 다하는 순간까지 손에서 책을 놓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다짐했다. 황보문옥 기자 |
|
|
사람들
영천시 서부동에 위치한 법왕사에서 지난 7일 백미(10kg, 30포)를 지역의 어려운 이
|
영천 북안면 이장협의회는 지난 7일 최근 발생한 경북 지역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써달라
|
청도라이온스클럽 김병곤 회장과 회원들이 지난 7일 경북지역 산불피해의 신속한 복구와 복귀
|
문경소방서(서장 민병관)는 지난 7일 안동시 일직면에 위치한 한 농가에서 고추심기 농촌
|
영양 청기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7일 면 복지회관에서 어버이날 카네이션 나눔 행사를
|
대학/교육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