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는 총인구에서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이상인 사회이다. 고령화 사회는 총인구에 대한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에 따라, 고령화 사회(7%)→고령 사회(14%)→초고령 사회(20%)로 나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1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1.4%이었다.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다. 저출산의 확대로 생산 가능 인구는 감소한다. 노년 인구는 증가로 연금, 의료비 등 노년 인구 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이 증가한다. 노인 소외, 빈곤, 질병 등의 노인 문제도 나타난다. 지난해 통계청의 ‘2019년 장래 인구 특별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전망’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체 인구의 16.1%에 불과한 고령인구는 2030년에 25.5%, 2040년에는 34.3%까지 빠르게 증가한다.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는 올해 1.5%에서 2040년이 되면, 4.6%가 된다. 생산연령 인구 100명당 부양 인구(유소년 인구+고령 인구)를 나타내는 총부양비는 올해 39.8명에서 2030년 54.5명, 2040년 79.7명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난다. 이것은 단순한 통계이나, 어른들의 현실은 참담한 이들이 많다. 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의 ‘치매 노인 실종 및 보호 실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치매 노인 실종 신고는 1만 2,479건이었다. 지난해 1월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고독사의 형태로 사망한 사람은 지난해 총 2,536명이었다. 3년 전인 2016년(1,820명)보다 40% 가까이 늘었다. 연도별로는 2019년 1,145명(45.1%), 2020년 6월 기준 388명(42%) 등 65세 이상 노인의 고독사가 매년 40% 이상이었다. 위 같은 어르신의 문제해결에서, 경북도는 100세 장수시대를 대비해, 경북도내 100세 이상 어르신 거주현황을 조사했다. 경북도내 100세 이상 어르신은 685명(2021년 5월말 기준)으로 전체 경북도 인구 263만 3,000명 대비 0.03%, 65세 이상 어르신 58만 3,958명 대비 0.12%에 해당한다. 2010년 말 100세 이상 인구수 469명, 경북도 인구수 대비 0.02%, 노인 인구수 대비 0.11%이다. 2015년 말 100세 이상 인구수 685명, 경북도 인구수 대비 0.03%, 노인 인구수 대비 0.12%이다. 10년 전 대비 100세 이상 노인 인구가 216명, 46%로 증가했다. 경북도 인구 및 노인 인구 수 대비 각각 0.01% 증가했다. 23개 시·군 중 100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가장 많은 곳은 울릉군으로 14명, 0.58%로 나타났다. 영양군이 18명 0.29%, 문경시 61명 0.28%로 나왔다. 100세 이상 인구수가 가장 많은 곳은 포항시 69명, 경주시 67명, 문경시 61명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토대로 100세 이상 어르신의 생활실태와 외부환경, 의식주 등을 조사한다. 건강하게 노후를 보내는 이들의 공통점 연구, 건강100세 시대의 대내외 환경을 분석한다. 경북도는 올해 처음 ‘경북100세 행복플랜 추진단’을 구성했다. 어르신 복지 5개 분야별로 주요 대학 간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한다. 활기차고 안정적인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한 노인 일자리 사업 4만 9,180개, 돌봄이 필요한 취약 어르신 4만 9,643명에 대한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 결식 어르신 점심 제공 등 돌봄 사업으로 사회 안전망 확대에 노력한다. 전국 유일 경로당 행복 도우미 사업으로 경로당 이용 어르신 대상 여가, 건강, 교육, 복지 등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노인 복지시설 확충 및 기능 보강사업 추진 등 생애 어르신 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실시한다. 경북도는 달라진 UN 연령구분에 맞게, 65세 이상 어르신을 노인이 아닌, 활동력 있는 중년이라는 인식으로 활기찬 노후 생활 영위를 위한 다양한 복지정책을 추진한다. 노인 복지문제는 이들이 우리시대의 어른이라는 점에서, 접근해야한다. 지금의 젊은이들도 미래엔 누구든 노인이 된다. 노인 복지는 장래 자기의 복지로 되돌아온다. ‘경북100세 행복플랜 추진단’은 여기에다 방점을 찍어, 어르신들의 복지에 접근하길 바란다. |
|
|
사람들
영덕 남정면이 지난 16일 장사해수욕장에서 ‘2025 남정면민 화합 노래자랑’을 개최했다
|
㈜이텍솔루션이 19일 영양군청을 방문,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장학금 100만 원을 기탁
|
성주군이 지난 18일 읍 청진동해장국감자탕에서 ‘임산부 배려 할인업체 현판식’을 개최했다
|
성주 수륜면이 지난 18일 계정1리 닭목경노당에서 별고을 찾아가는 이동 빨래방을 운영했다
|
고령 재향군인회가 지난 18일 을지연습 근무자를 격려하기 위해 군청을 방문, 을지연습으로
|
대학/교육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