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괴롭힘(일명 갑질)’은 일명, 땅콩회항 사건, 백화점 모녀사건, 경비원 폭행 사건, 간호사들의 태움 문화 등 피해자들을 극단적 선택에 이르기까지 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고용부의 유명 포털사이트 직원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52.7%)이 최근 6개월 내 직장 내 괴롭힘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비단 해당 유명 포털사이트만의 문제일까?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직장 내 괴롭힘은 사회 여러 분야에 만연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직장 내 괴롭힘이란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어 흔히들 대수롭지 않다고 생각하는 폭언, 따돌림, 험담, 강요, 차별, 사적 업무지시 등이 모두 이에 해당 된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하루 중 제일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 어디인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직장에서 동료들과 보내는 시간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이런 직장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일터가 아닌 전쟁터가 되어서는 안되겠다. 출범 4주년을 맞은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2016년 촛불광장의 민주주의를 직장의 민주주의로 확장한다는 목표로 2017년 11월 출범했다. ‘직장 내 괴롭힘’ 문제를 의제화해 2019년 입법을 이끌었고 4년간 ‘을(乙)’들의 고민을 10만건이나 상담했다고 한다.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 시행되었다고는 하나 법령만으로 근절하는 데 한계가 있다. 법적 처벌이 두려워서가 아닌 동료 간 행복한 직장 생활을 위해 개개인의 의식 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누구나 상대와 환경에 따라 ‘갑’이 되고 ‘을’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하고,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직원 간 서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성숙한 직장 문화가 정착된다면 누구나 출근길이 행복해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
|
사람들
영덕 남정면이 지난 16일 장사해수욕장에서 ‘2025 남정면민 화합 노래자랑’을 개최했다
|
㈜이텍솔루션이 19일 영양군청을 방문,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장학금 100만 원을 기탁
|
성주군이 지난 18일 읍 청진동해장국감자탕에서 ‘임산부 배려 할인업체 현판식’을 개최했다
|
성주 수륜면이 지난 18일 계정1리 닭목경노당에서 별고을 찾아가는 이동 빨래방을 운영했다
|
고령 재향군인회가 지난 18일 을지연습 근무자를 격려하기 위해 군청을 방문, 을지연습으로
|
대학/교육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