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포스텍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박규영 교수 |
| 포스텍은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박규영 교수<사진>가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니켈 기반 니켈산리튬(LiNiO2, 이하 LNO) 소재에 얇은 막을 덧씌워 이차전지의 수명을 늘리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LNO 소재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 소재인 리튬코발트산화물(LiCoO2, 이하 LCO) 소재에서 코발트를 니켈로 대체한 소재다.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과 음극은 배터리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양극은 주로 용량과 사용 시간을 좌우한다.
양극 소재에 코발트 대신 니켈을 이용하면 가격을 20% 이상 낮추고 에너지 밀도를 30% 이상 높일 수 있다. 밀도가 높을수록 에너지를 많이 담을 수 있어 배터리 용량이 늘어난다.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콩고 등에서 공급되는 코발트는 채굴 과정에서 아동 노동 착취 등의 문제가 제기돼 니켈을 사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져왔다. 다만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LNO 소재는 수명이 짧아 그간 상용화되지 못했다.
연구팀은 LNO 소재를 사용할 때 표면에서 산소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산소가 입자의 구조를 뒤틀리게 해 소재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으로 연구됐다.
이에 연구팀은 LNO 소재의 표면에 ‘꿈의 소재’로 잘 알려진 그래핀을 덧씌워 산소 발생을 차단해 수명을 2배 이상 늘리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성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최근 호 표지 논문(Back cover)으로 선정됐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박규영 교수는 “이 연구성과를 활용하면 코발트를 없앤 LNO 소재의 상용화를 매우 빠르게 앞당길 수 있다”며 “향후 전기차 가격을 낮추고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뉴시스 |
|
|
사람들
제22회 상주 한국여성농업인 어울한마당 행사가 지난18일 농업기술센터 대강당에서 시장,
|
형곡2동에서는 지난 18일 어린이집 미래로 사회적협동조합(대표 김선중)이 지역 안전을 위
|
해평면은 지난 18일 해평자연밥상(대표 박선재)에서 해평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민간위원장 배
|
의성 비안 행복기동대(대장 이기학)가 지난 14일 관내 취약계층 독거 어르신 가정에 에어
|
영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난 18일, ’은장비봉사단‘ 장은도 회장이 지역 장애인들의 복지
|
대학/교육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