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종헌 대구 정책총괄단장이 동인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 설명회를 열고 대구시의 ‘2050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황보문옥 기자 |
|
대구시가 오는 2030년까지 13조 원을 투입, 탄소중립 이행을 통해 탄소중립 도시로 대전환을 시도한다다.
이종헌 대구 정책총괄단장이 14일 오전 동인청사에서 설명회를 열고 '2050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했다. 2018년 기준 897만 톤인 대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오는 2030년까지 45%, 2040년까지 70%로 감축하고 2050년에는 순배출량 '0'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대구는 탄소중립 5대 대표과제로 △산업단지 지붕 태양광 프로젝트 추진 △Green Mobility(그린 모빌리티) 구축 △탄소중립 시민실천활동인 '탄소줄이기 1110'실시 △중수도 시스템 구축 △Forest(포레스트)대구 프로젝트 추진 등으로 설정하고 오는 2030년까지 13조 원을 투입 할 계획이다.
이종헌 단장은 “탄소중립과 관련이 큰 대경통합신공항 개발 등 거대 프로젝트가 가시화되면 사업비가 더 늘어날 수 있고, 탄소중립 관련 신기술 개발 동향에 따라 사업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대구는 매립장, 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 가스 자원화, 친환경 탄소중립 산단 조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걷고 싶은 도로' 조성 등을 추진 할 방침이다.
홍준표 시장은 “폭염을 도시 열섬 완화의 기회로 삼았던 경험과 선견지명을 살려 창의적이고 혁신적 탄소중립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며, “선언과 구호로서의 탄소중립이 아니라 도시 대전환과 재도약의 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월 대구시는 탄소중립 기본조례 제정으로 제도적 기반을 갖췄으며 탄소중립을 시정 아젠다로 삼아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