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만(25·LA 에인절스)이 3경기 연속 장타를 때리는 등 멀티출루(1경기 2출루 이상) 활약을 펼쳤다. 오승환(34·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은 우천으로 경기가 취소되면서 하루 휴식을 취했다.최지만은 26일(한국시간)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의 코프먼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6 메이저리그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경기에 1루수 겸 7번 타자로 선발 출전해 4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시즌 타율은 종전 0.170에서 0.175(57타수 10안타)로 올랐다.최지만은 팀이 3-0으로 앞선 1회초 2사 1루 상황에서 첫 타석에 들어섰다.상대 선발 투수 이안 케네디를 상대한 그는 3구째 시속 77마일(약 123㎞) 너클 커브를 받아쳐 우익수 오른쪽으로 빠지는 2루타로 연결시켰다. 최지만은 카를로스 페레스의 내야 안타로 3루까지 진루했지만 조니 지아보텔라가 삼진으로 물러나 홈을 밟지는 못했다.3회 2사 1루 때는 중견수 플라이로 물러났다. 최지만은 팀이 4-2로 리드하던 6회에 케네디의 7구째를 때렸다. 타구는 3루수 정면으로 향했다. 3루수 체슬러 커스버트가 공을 잡지 못하고 놓치면서 출루에 성공했다. 최지만의 타구는 안타가 아닌 야수 실책으로 기록됐다. 이후 2루까지 진루했지만 후속 타선 불발로 득점에는 실패했다.최지만은 8회 1사후 마지막 타석에선 유격수 땅볼로 돌아섰다.에인절스는 이날 캔자스시티를 6-2로 꺾고 3연패에서 탈출했다. 전날 세이브 상황과 관계없이 마운드에 올라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낸 오승환은 우천으로 미국 뉴욕주 뉴욕 시티필드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뉴욕 메츠와의 원정경기가 취소돼 하루 휴식을 취했다.취소된 경기는 오는 27일 더블헤더로 진행될 예정이다. 오승환은 올 시즌 50경기서 2승1패4세이브 평균자책점 1.79를 기록 중이다. |
|
|
사람들
포항시새마을회는 지난 11일 포스코퓨처엠 노동조합, 창립 37주년을 기념해 기부받은 백미
|
상주 모동면이 지난 10일 인구 증가를 위해 한국미래농고와 중모중을 각각 방문해 인구증가
|
영양 수비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0일, 면 행정복지센터에서 ‘건강한 여름나기 보양식
|
울진읍이 지난 10일 연호정 일대에서 ‘깨끗한 울진읍 만들기’환경정화 캠페인을 실시했다.
|
군위 새마을후원회가 지난 10일 회원 10여 명과 군위읍 사직1리 경로당을 방문, 대청소
|
대학/교육
한국폴리텍대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발달장애인 위한 재능기부 봉사활동’ |
대구보건대–대구 중구보건소, 보건의료 교육서비스 체계 구축 ‘맞손’ |
대구한의대, 베트남 호치민기술대 교수·학생 초청 연수 프로그램 |
DGIST, 오픈이노베이션 글로벌 중심 학술대회 ‘세계 석학 대거 참여’ |
점촌고, EBS 입시 전략 캠프로 교과세특 강화 |
문경 Wee센터, 학생 마음건강 사례회의 및 협의회 |
문경교육지원청, 오미마을학교 교사 심폐소생술 교육 |
대구대, 하계 해외봉사단 몽골 파견 |
계명문화대 공연음악학부, 박태준 기념 한국가곡 콩쿨서 최우수상 등 |
대구한의대 한약개발학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과 ‘맞손’ |
칼럼
7월 5일 오후 포항 구룡포항에 있는 대게 식당에서 초등 동문 팔순 파티가 있었다
|
■정성이 담긴 한 접시
음식은 때때로 말보다 깊은 마음을 전하기도 한다. 특히
|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
대학/교육
한국폴리텍대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발달장애인 위한 재능기부 봉사활동’ |
대구보건대–대구 중구보건소, 보건의료 교육서비스 체계 구축 ‘맞손’ |
대구한의대, 베트남 호치민기술대 교수·학생 초청 연수 프로그램 |
DGIST, 오픈이노베이션 글로벌 중심 학술대회 ‘세계 석학 대거 참여’ |
점촌고, EBS 입시 전략 캠프로 교과세특 강화 |
문경 Wee센터, 학생 마음건강 사례회의 및 협의회 |
문경교육지원청, 오미마을학교 교사 심폐소생술 교육 |
대구대, 하계 해외봉사단 몽골 파견 |
계명문화대 공연음악학부, 박태준 기념 한국가곡 콩쿨서 최우수상 등 |
대구한의대 한약개발학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과 ‘맞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