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템플스테이’ 2002년 이후 누적 600만 명 방문
누적 방문자 6,444,127명, 이중 외국인 총 695,507명(11%) 김천 직지사 시작 템플스테이, 현재 전국 150개 사찰 확대 1호 템플스테이 직지사, BTS RM 방문후 全세계 관심 급증 송언석 의원, “템플스테이 글로벌 힐링 프로그램 성장해야”
김철억
기자 / 1633호 입력 : 2023년 05월 28일
|
 |
 |
 |
 |
 |
|
|
 |
|
↑↑ 송언석 의원 |
| 송언석 의원(국힘 김천, 사진)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2년 시작한 불교 문화 체험 프로그램인 ‘템플스테이’의 누적 방문자 수가 600만 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까지 템플스테이 누적 방문자는 644만 4,127명으로 이중 내국인이 574만 8,620명이었고, 외국인은 11%에 해당하는 69만 5,507명으로 집계됐다. 참가자 규모는 2002년 이후 지속 증가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년과 2021년에는 참가자 수가 급감해 각각 23만 8000여 명과 25만 8000여 명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코로나19로부터 일상을 회복하면서, 2022년 기준 참가자 수는 42만 9,390명으로 예년의 80% 수준을 회복했다.
템플스테이를 운영하는 전국 사찰 수도 꾸준히 증가했다. 대한민국 1호 템플스테이 사찰인 김천 직지사를 비롯해 2002년 33개 사찰로 시작했으나, 2023년 현재 150개 사찰로 확대됐다.
눈에 띄는 점은 외국인 참여자 수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해 왔다는 것이다. 2002년 6,518명에 불과했던 외국인 참가자는 2018년 7만 7,091명으로 12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상을 회복하면서 외국인 참가자도 다시 증가해 2022년에는 3만 8,599명의 외국인이 우리 불교의 템플스테이를 다녀갔다.
특히, 지난해 7월 방탄소년단(BTS) 멤버 RM이 경북 김천 직지사 템플스테이를 다녀간 후 김천 직지사가 BTS 팬클럽인‘아미’의 성지로 회자되면서 전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다.
김천에 위치한 직지사는 우리나라에서 템플스테이를 최초로 시작한 1호 사찰로, 김천 직지사는 신라 눌지왕 2년(418년) 아도 화상이 창건한 천년 고찰이며, 사명대사가 출가한 유서 깊은 곳이다. 최근 5년간 2만 명이 넘는 참가자가 ‘김천 직지사 템플스테이’를 다녀갈 정도로 국내 최고 수준의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다.
송언석 의원은 “템플스테이는 1,700년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공간에서 수행자의 일상을 경험하는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이다”며 “일상생활에서의 육신과 정신의 쉼이 필요한 내·외국인에게 한국의 진정한 아름다움과 내면의 평온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전했다.
또한, “김천 직지사가 최근 전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은 우리 불교의 템플스테이가 전 세계적인 힐링 프로그램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며 “김천 직지사에서 시작한 템플스테이가 글로벌 힐링 불교문화 체험 프로그램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철억 기자 |
|
|
사람들
지난 13일 부구감리교회가 성금 1,800만 원을 울진군에 기탁했다.
|
지난 8일, 청송 부남 새마을회가 산불 피해 이재민을 돕기 위한 성금 모금활동과 ‘사랑의
|
군위 의흥면사무소가 14일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관내 농가를 방문하여 농촌 일손돕기 지
|
군위 의흥 지호3리는 지난 13일, 마을입구에서 전통 장승 제막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
경주 구황동 소재 명운사 주지 덕화 스님이 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본 영덕군민을 돕기 위
|
대학/교육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파워풀대구페스티벌서 스타일링 봉사 |
청도 금천초, 교실로 찾아오는 맞춤형 학폭예방교육' |
대구대 DU난임대응센터, '난임 원인 규명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
계명 문화대, 제2기 외국인 홍보대사 임명식 |
호산대 간호대학, ‘미국 간호사 되기’ 글로벌 특강 성료 |
DGIST, 반도체 산업 개방형 혁신 관한 연구 세계적 권위 학술지 게재 |
정홍문 대구보건대 교수,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우수회원 공로상 |
대구한의대, 호치민기술대에 화장품 전공 운영 지원·협력 강화 |
대구공업대 사회복지경영계열대공봉사단, '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어버이날'행사 지원 |
청도교육청, 예술교사 수업 및 평가 역량강화 연수 |
칼럼
레밍(Lemming)은 아무런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심리를
|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대학/교육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파워풀대구페스티벌서 스타일링 봉사 |
청도 금천초, 교실로 찾아오는 맞춤형 학폭예방교육' |
대구대 DU난임대응센터, '난임 원인 규명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
계명 문화대, 제2기 외국인 홍보대사 임명식 |
호산대 간호대학, ‘미국 간호사 되기’ 글로벌 특강 성료 |
DGIST, 반도체 산업 개방형 혁신 관한 연구 세계적 권위 학술지 게재 |
정홍문 대구보건대 교수,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우수회원 공로상 |
대구한의대, 호치민기술대에 화장품 전공 운영 지원·협력 강화 |
대구공업대 사회복지경영계열대공봉사단, '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어버이날'행사 지원 |
청도교육청, 예술교사 수업 및 평가 역량강화 연수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