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7-07 17:00:50

그리운 중대장님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17년 11월 09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서정주'푸르른 날' 중에서저를 소개할 때 빠지지 않는 이력 하나가'우정의 무대'입니다. 귀에 익지 않은 분들이라면'진짜 사나이' 옛날 버전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는'그리운 어머니'입니다. 1990년대에 군대생활을 하신 분이라면'작은별 악단'이 연주하던 음악을 기억하실 겁니다. "엄마가 보고플 때 엄마사진 꺼내놓고 엄마 얼굴 보고나면 눈물이 납니다." 가족생각에 눈물 흘리는 병사들이 화면에 가득했습니다. 구성내용은 이렇습니다. 자식을 군대에 보낸 어머니들이 부대에 면회를 신청합니다. 부대가 제공한 후보자들 중 사연이 곡진한 병사 하나를 제작진이 가려냅니다. 해당 병사에겐 사전에 통보하지 않습니다. 엄선된 어머니는 사전교육을 철저히 이수합니다. 어머니는 무대 뒤에서 작가와 함께 대기하며 인터뷰 연습을 합니다. 진행자(뽀빠이 이상용)는 노련한 질문으로 병사들의 애간장을 태웁니다. 혹시라도 어머니가 자식의 이름을 부르면 이건 그야말로 대형사고입니다. 아들이 여덟 살 때까지 이불에 지도를 그렸다, 엄마랑 목욕탕에 갔다가 입장을 제지당했다는 식의 에피소드를 끌어내는 게 진행자의 역할입니다. 어느 지점까지 어머니와의 대화가 이어지면 병사들이 무대에 뛰어오릅니다. 한결같이 '우리 어머니가 확실합니다'고 '절규'하는 병사들의 천연덕스러운 표정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진짜 아들 한 사람 빼고는 모두 거짓말을 한 셈인데 그걸 가지고 대한민국군인들의 도덕성을 질책하는 시청자는 단 한 사람도 없었습니다. 그만큼 간절했고, 그만큼 애절했기 때문입니다.드디어 모자 상봉의 시간이 다가옵니다. 떡 바구니를 들고 어머니가 등장하면 진짜 아들은 초고속으로 어머니 품에 안깁니다. (간혹 보초를 서다가 급히 연락 받고 달려오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리얼했습니다.) 그때의 배경음악은 '어머님 은혜'입니다. "나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기르실 때 밤낮으로 애쓰는 마음~". 간단한 안부를 주고받은 후 주임상사(지금은 원사)가 휴가증을 건네줍니다. 뽀빠이는 아들에게 어머니를 업으라고 주문하고'고향 앞으로'를 함께 외치면 프로는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평범한 어머니가 평범한 아들을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프로그램이 감동을 줄 수 있었던 건 이곳이 대한민국이기 때문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KBS에는 유명 연예인이 평범한 사람을 찾아달라고 의뢰하는 TV프로가 있었습니다. 십몇 년 방송되는 동안 단 한 번도 빚쟁이를 찾아달라고 요구한 사례는 없었습니다. 대부분 첫사랑이나 은사님을 찾습니다. 그래서 제목도 'TV는 사랑을 싣고'입니다. 상대를 찾는 과정이 사뭇 극적입니다. 두 사람이 처음 연을 맺은 곳에서부터 추적이 시작됩니다. 의뢰자의 초등학교 생활기록부가 자연스럽게 노출됩니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연예인은 그리운 사람을 만난다는 일념하에 사소한 수모 정도는 각오합니다. 여기에서도 음악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의뢰인이 세 번 그리운 사람의 이름을 부르면 바로 이 음악과 함께 첫사랑, 혹은 은사님이 커튼을 열고 등장합니다. 그 음악의 제목이 바로 '사랑의 힘'(The Power Of Love)이었습니다. 사랑은 세월을 이기는 힘이 있나봅니다.만약 제가 저 프로에 출연한다면 누구를 찾아달라고 부탁할까 생각해본 적이 있습니다. (물론 제가 유명한 사람이 되는 게 선행조건이지만 그래도 상상은 자유입니다.) 저는 기억의 심연에서 전춘식(全春植)이라는 이름 석 자를 건져 올렸습니다. 이분은 저의 첫사랑도 아니고 은사님도 아닙니다. 스물여섯 늦은 나이에 연무대 육군훈련소에 입소할 당시 제가 소속된 30연대 4중대 중대장이었던 분입니다. 그분의 자기소개가 인상적이었습니다. "나는 전춘식 대위다. 내 이름이 봄 춘(春)에 심을 식(植)인데 여러분도 청춘의 시기에 좋은 것들을 심기 바란다." 그날 이후 저는 어려움이 생길 적마다 자주 이 말을 떠올렸습니다. "지금은 심어야 할 때다. 심어야 나중에 거둘 수 있다. 뿌린 대로 거둔다는 말은 진리다."‘우정의 무대'를 연출한 덕분에 저는 군부대에 이따금 강사로 초대받습니다. 이번엔 바로 제가 훈련받던 육군훈련소를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30연대 4중대 막사에서 기념사진을 찍으면서 자연스럽게 전춘식 대위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일어났습니다. 촘촘한 행정전산망 덕분에 전춘식 대위가 지금 청주에 살고 계신다는 정보를 접하게 된 것입니다. 심지어 휴대전화 번호까지 알게 되었습니다. 그 후의 이야기는 짐작하신 대로입니다.전춘식 대위를 37년 만에 뵙게 될 줄은 정말로 몰랐습니다. 세쌍둥이 손자를 둔 초로의 신사는 연신 저에게 고맙다고 했습니다. 제가 고마운데 오히려 그분이 감사하다고 말하는 것이 죄송할 정도였습니다. 살아있으니 만날 수 있었고,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으니 반가울 수 있었던 겁니다. (물론 저의 비상한 기억력도 한몫했습니다.)문화재단의 대표로 일하는 저는 이번 만남을 통해 뜻밖에도 문화의 역할을 상기했습니다. 문화는 '심는(植) 것'이고 그 시기는 '봄(春)이 적당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제 때에 심고 잘 기르면 추수감사절은 반드시 옵니다. 전춘식 대위와의 감격적 상봉에서 제가 덤으로 얻은 교훈입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영덕 강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4일 70세 이상 어르신 15명을 대상으로 무병장수를 
군위 불자봉사회가 지난 6일 군위읍 찾아가는보건복지팀 요청으로 군위읍 거주 홀몸 어르신  
한마음 상주사랑장학회가 장학금 2680만 원을 상주교육지원청에 기탁, 이를 오는 14일  
상주시 북문동이 지난 3일 부원 8통 마을쉼터에서 찾아가는 마을평생교육강좌 종강식을 가졌 
한국주택금융공사 울산지사는 지난 4일 경주시청을 방문하여 경주시 지역 내 어려운 이웃을  
대학/교육
대구시-영진전문대, 포항 찾아 외식 창업 현장 교육  
경북대병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 선정 ‘연구비 96억 확보’  
영남대병원, 경북-캄보디아 핵심의료인력 연수 참여  
강은희 대구 교육감,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우수’  
iM금융그룹 황병우 회장, 인구문제 캠페인 동참  
대구 보건대 직업이음센터, ‘중장년 다시이음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계명문화대, 올 상반기 해외파견 프로그램 통합 발대식  
국립경국대·삼호개발㈜, ‘건설산업 발전과 실무형 인재 양성’ 맞손  
대구 한의대, 일반인 대상 ‘비비크림 제조 실습 교육’ 성료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칼럼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대학/교육
대구시-영진전문대, 포항 찾아 외식 창업 현장 교육  
경북대병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 선정 ‘연구비 96억 확보’  
영남대병원, 경북-캄보디아 핵심의료인력 연수 참여  
강은희 대구 교육감,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우수’  
iM금융그룹 황병우 회장, 인구문제 캠페인 동참  
대구 보건대 직업이음센터, ‘중장년 다시이음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계명문화대, 올 상반기 해외파견 프로그램 통합 발대식  
국립경국대·삼호개발㈜, ‘건설산업 발전과 실무형 인재 양성’ 맞손  
대구 한의대, 일반인 대상 ‘비비크림 제조 실습 교육’ 성료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