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7-07 17:00:50

독립운동의 뿌리‘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17년 11월 17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지난 10월 추석에 대통령이 안동 하회마을을 방문하여 “재조산하와 징비의 교훈을 되새깁니다.” 라는 방명록을 남겼다.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1597년에 정유재란이 재발되어 이듬해인 1598년에 7년 전쟁이 끝나고 다시는 국난을 겪지 말아야 한다는 징비록을 남겼지만, 1627년 정묘호란과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났고 1910년에는 치욕적인 일제식민시대까지 맞이하였으나 그 때마다 백성의 이름으로 의병이 일어나 지금까지 이 나라를 지켜낸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1592.4.13. 20만 왜군이 부산포에 상륙하면서 임진왜란이 시작되자 천하태평시대의 조선관군은 연전연패하고 한 달 만에 수도가 함락되고 임금이 피난길에 오르자 조선팔도에서 의병이 봉기하였다. 나라도 관군도 백성들을 지켜줄 수 없었기 때문에 각 지역의 유생들을 중심으로 결사항전의 의병활동이 불타오르기 시작했다. 5월 초유사(招諭使)로 임명된 김성일(金誠一)은 각 지역의 유림에 초유문을 보내어 창의(倡義)를 독려했다. 특히 김성일은 퇴계 이황의 고제(高弟)로 안동은 그의 영향력이 매우 컸다. 이어 중순에는 김성일에 주청에 의해 안집사(安集使)에 임명된 김륵(金玏)이 안동 지역에 와서 소모활동(招募活動)을 시작했다. 이리하여 6.11 예안에서 김해(金垓)를 대장으로 삼고 열읍에 포고하여 향병을 조직하고 훈련하였으며 전군수 조목(趙穆), 전현감 금응협(琴應夾), 김부윤(金富倫) 등은 군량미를 내놓았다. 퇴계선생의 고제(高弟)인 월천(月川) 조목(趙穆)이 69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의병 논의에 적극 협력하였으며 40여명이나 군량미를 내놓아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받았다고 한다. 8.5 김성일의 초유문을 받은 진사 배용길(裵龍吉)이 안동지역 사림에 전하였고 8.9 퇴계선생을 모신 여강서원에 모여 창의를 준비하였으며 1592.8.20. 본격적인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이 창설되었다. 안동, 예안, 의성, 의흥, 군위 등의 의병이 안동 일직현에 모여 김해(金垓)를 대장으로 하여 모든 의병을 통합하고 그 이름을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으로 하였다.그 후에 좌부장 이정백, 우부장 배용길, 본진정제장 김윤사, 류복기 등 조직을 재정비하고 경상하도와 영주(당시지명은 영천)지역의 부대도 통합하여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은 명실공히 경상좌우도의 모든 의병을 아우르는 1만 병력의 대규모 부대가 되었고 일직 운산역에서 행군할 때는 그 행렬이 10리에 뻗쳤으며 이를 본 주민들은 모두가 그 위용에 놀랐다고 한다. 당시 전국 의병 3만명의 1/3이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 이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엄청난 의병부대가 조직되었다는 것을 경상도순찰사, 병마사, 안동부사 등에게 알리고 관군과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연합작전으로 왜적을 토벌하였다고 한다.김해는 1592년 9월부터 왜군의 출몰이 잦은 서쪽지방을 방어하기 위하여 풍기, 영주, 예안, 봉화, 안동의 향병을 지휘하여 왜병의 총공세를 차단하였으며, 특히 경상좌우도가 분기하고 영남과 충청을 연결하는 전략상 매우 중요한 문경세제 인근의 당교(상주 함창)에 주둔하고 있는 왜병들을 야습하고 진천뢰까지 사용하여 많은 왜적을 살상하고 큰 피해를 입혔다. 이듬해까지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은 당교와 그 인근에서 왜적과 전투를 계속하며 많은 전과를 올렸으며, 왜군들의 군량미 조달을 위한 곡창지대 전라도로의 진격을 막아냈다고 한다.김해를 대장으로 한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은 다음해인 1593년 6월까지 서울에서 철수하여 남하하는 왜적들을 섬멸하여 백성들의 원한을 갚고자 대구, 선산, 인동, 상주, 양산 등지의 왜적들을 끝까지 추적하였으며, 왜군이 경주로 내려오자 김해 대장은 부대를 경주로 옮겨 이광휘 부대와 연합작전으로 경상좌도의 모든 의병부대를 총 지휘하여 왜군을 크게 물리쳤다고 한다. 이렇게 왜군을 남쪽 끝까지 토벌하던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은 6월 19일에 김해 대장이 경주 진중에서 갑자기 순국하면서 귀향하게 되었다고 한다.그의 나이 향년 39세로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 김해(金垓) 대장이 죽으면서 남긴 절명시(絶命詩)는 필자의 눈시울을 뜨겁게 적시고도 눈물이 마르지 않는다.百年存社計 六月着戎衣 爲國身先死 思親魂獨歸 이 몸 사직을 구하기 위해 6월에 갑옷을 입었어라. 나라를 위하다가 몸이 먼저 죽으니 아버님 그리워 넋만 홀로 돌아가노라.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은 와룡 오천 김해, 이하 이형남, 임동 수곡 류복기ㆍ복립 형제(2016.10.8. 안동충의역사체험관 기산충의원 개원), 풍천 구담 김윤명ㆍ윤사 형제 등 온 백성들과 수많은 가문들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쳤으며, 특히 서애 유성룡, 월천 조목, 학봉 김성일 등 덕망이 높은 유학자들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몸소 실천한 충효정신은 우리 후손들이 엄숙한 자세로 이어받아야 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안동열읍향병(安東列邑鄕兵)’은 임란 300년 후에 다시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으로 승화하여 이 나라 대한민국을 재건하였으며, 반만년을 이어온 민족의 혼으로 자손만대에 찬연히 빛날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영덕 강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4일 70세 이상 어르신 15명을 대상으로 무병장수를 
군위 불자봉사회가 지난 6일 군위읍 찾아가는보건복지팀 요청으로 군위읍 거주 홀몸 어르신  
한마음 상주사랑장학회가 장학금 2680만 원을 상주교육지원청에 기탁, 이를 오는 14일  
상주시 북문동이 지난 3일 부원 8통 마을쉼터에서 찾아가는 마을평생교육강좌 종강식을 가졌 
한국주택금융공사 울산지사는 지난 4일 경주시청을 방문하여 경주시 지역 내 어려운 이웃을  
대학/교육
대구시-영진전문대, 포항 찾아 외식 창업 현장 교육  
경북대병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 선정 ‘연구비 96억 확보’  
영남대병원, 경북-캄보디아 핵심의료인력 연수 참여  
강은희 대구 교육감,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우수’  
iM금융그룹 황병우 회장, 인구문제 캠페인 동참  
대구 보건대 직업이음센터, ‘중장년 다시이음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계명문화대, 올 상반기 해외파견 프로그램 통합 발대식  
국립경국대·삼호개발㈜, ‘건설산업 발전과 실무형 인재 양성’ 맞손  
대구 한의대, 일반인 대상 ‘비비크림 제조 실습 교육’ 성료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칼럼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대학/교육
대구시-영진전문대, 포항 찾아 외식 창업 현장 교육  
경북대병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 선정 ‘연구비 96억 확보’  
영남대병원, 경북-캄보디아 핵심의료인력 연수 참여  
강은희 대구 교육감,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우수’  
iM금융그룹 황병우 회장, 인구문제 캠페인 동참  
대구 보건대 직업이음센터, ‘중장년 다시이음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계명문화대, 올 상반기 해외파견 프로그램 통합 발대식  
국립경국대·삼호개발㈜, ‘건설산업 발전과 실무형 인재 양성’ 맞손  
대구 한의대, 일반인 대상 ‘비비크림 제조 실습 교육’ 성료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