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세금을 전 국민이 자진 납부하는 것은 이 돈으로 나라살림을 보다 잘 살기 위함이다. 때문에 세금을 내지 않으면, 나라 살림이 어려워진다. 이런 이유로 헌법 제38조는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진다. 이렇게 명문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세금을 내지 않는 일부 국민도 있다.
지난 2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방세 체납자 9099명과 지방행정 제재·부과금 체납자 1175명 등 1만 274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공표된 정보는 체납자 성명과 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 세목, 납부 기한 등이다. 올해 고액·상습 체납자 수는 작년보다 5.6% 늘었다. 지방세 체납자는 서울 1800명, 경기 2645명이었다. 전체의 48.9%를 차지했다. 개인과 법인 상위 10위 체납자의 주요 체납 세목은 지방 소득세, 취득세 등이었다.
최고액 체납자는 경기 용인의 김 모(47) 씨였다. 지방소득세(5건) 106억 5700만 원을 내지 않아 불명예 기록 1위에 올랐다. 이 같이 세금을 내지를 않을 동안에 관계기관은 도대체 무엇을 했는가가 궁금하다. 당국의 게으름을 질책한다. 체납에도 권력자가 있다는 말인가를 묻는다. 보통의 경우엔 이렇게 세금을 내지 않으면, 당국은 득달같이 덤벼들 것이다.
지난 4일 경산시에 따르면, 11월 말까지 정당한 사유 없이 지방세를 3회 이상, 30만 원 이상 체납한 사업자에 대해 영업정지 또는 허가 취소를 포함한 관허사업 제한을 추진한다. 여기서 정당한 사유란 무엇인가. 좀 배우고 싶을 지경이다. 관허사업 제한은 행정법상 의무를 위반하거나, 불이행한 자에게 인·허가를 거부해, 의무 이행을 간접적으로 강제하는 수단이다. 지난 9월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방세를 1년 이상, 1000만 원 이상 체납해 명단공개 대상이 된 체납자는 4만 1932명이었다. 10년 이상 장기 체납 인원은 1만 7927명(43%)이었다.
지난 20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재·부과금에 대한 고액·상습 체납자 506명(개인 334, 법인 172)의 명단을 경북 누리집과 경북 도보, 위택스(지방세 납부 사이트)에서 공개했다. 명단 공개제도는 고액·상습 체납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한다. 자진 납부를 유도한다. 매년 11월 셋째 주 수요일 전국 동시에 공개한다.
공개 대상자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성실 납부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간접제재 방식이다. 명단공개 대상자는 올 1월 1일 기준으로 체납 기간 1년 이상, 체납액 1,000만 원 이상 체납자다. 공개 범위는 체납자 성명·상호(법인명, 법인 대표자), 연령, 직업(업종), 주소, 체납액의 세목·납부 기한 등이 포함된다. 경북도는 2006년부터 고액 체납자 명단을 공개했다. 2024년 현재까지 명단을 공개한 체납자는 총 3,155명(개인 2,280, 법인 875)이다.
올해 신규 공개하는 체납자는 총 506명(개인 334, 법인 172)이다. 신규 공개된 체납자 현황에 따르면, 지방세는 총 447명(212억 원)이다. 개인은 287명(112억 원)이다. 법인은 160개 업체(100억 원)이다. 지방행정 제재·부과금은 총 59명(35억 원)이다. 개인 47명(19억 원), 법인 12개 업체(16억 원)다.
전체 체납액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0만 원 미만 체납자가 283명으로 전체 5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3,000만~5,000만 원이 98명이다. 5,000만~1억 원 80명, 1억 원 이상은 45명이다. 지방세 체납자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119명 27%로 가장 많았다. 도·소매업 72명, 건설·건축업 71명, 부동산업 60명 등 순이다. 체납 사유별로는 부도·폐업 177명, 담세력 부족 153명, 납부 태만 59명 등 순이다.
연령별 분포로는 20대가 4명(1%), 30대 22명(7%), 40대 68명(20%), 50대 103명(31%), 60대 이상이 137명(41%)이다. 경북도는 체납소명 기회를 부여했다. 박시홍 경북 세정담당관은 행정으로 제재한다. 이 같이 많다면, 행정처분만으로 될까. 강력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생계형은 세금복지 차원에서, 납부할 때까지 기다려주길 바란다. |
|
|
사람들
성주 가천면이 3일, 본격 여름철폭염에 대비해 관내 경로당을 대상으로 방문 점검을 실시했
|
김천 대신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2일 정기회의를 가졌다.
|
의성가온마을학교 학생이 지난 27일 30만 9,000원을 의성 산불피해 지정기탁 모금회에
|
영주 평은면이 생활형 공공서비스로 ‘평은행복우산’ 대여서비스를 운영한다.
|
군위 새마을부녀회가 지난 1일 생활체육공원에서 개최된 ‘군민화합한마당축제’에서 방문객을
|
대학/교육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대구 한의대, 제41기 청도여성대학(이서면) 수료식 ‘성료’ |
문경교육지원청, 학교로 찾아가는 교직원 연수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과장 부임 |
대구보건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건산업기술대학II 교원 초청 연수 ‘성료’ |
영남이공대 사이버보안과, 전국 해킹·보안 경진대회 잇단 수상 |
대구한의대 부총장단, 대학 발전기금 3000만 원 기부 |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복지부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
칼럼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
■“전통은 여전히 지금을 위로한다 ”
어머니가 만들어주시던 냉국 한 그릇을 입에
|
대학/교육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대구 한의대, 제41기 청도여성대학(이서면) 수료식 ‘성료’ |
문경교육지원청, 학교로 찾아가는 교직원 연수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과장 부임 |
대구보건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건산업기술대학II 교원 초청 연수 ‘성료’ |
영남이공대 사이버보안과, 전국 해킹·보안 경진대회 잇단 수상 |
대구한의대 부총장단, 대학 발전기금 3000만 원 기부 |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복지부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