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 인구가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를 산출하기란, 참 힘든 일이다. 그러나 인구가 줄어, 한국의 어느 지자체는 점차 소멸단계로 들어선다는 것은 상당히 우려된다. 인구는 한 나라에 사는 사람의 총원이다. 인구의 규모, 인구 구성, 인구 동태 등과 같은 인구의 특성은 경제 성장·건강·교육·가족 구조·범죄 유형·언어·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준다. 인구는 출생·사망·인구 이동의 3요소에 따라 변화된다.
한국은 인구 이동으로 어느 지역의 인구가 준 것은 아니다. 결혼 적령기 젊은이들이, 결혼서부터 출산을 하지 않는 것에 원인했다. 경북도는 이들의 결혼을 위한 대책을 시의 적절하게 그때마다 대책을 쏟아냈다. 말하자면, 할 만큼 다했다. 이도 안 되면, 인력으로 안 된다는 것으로 봐야한다. 젊은이들 스스로에게 맡겨야한다.
지난 12일 통계청의 ‘2024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해야 한다는 것은 52.5%이었다. 2년보다 2.5%포인트(p) 상승했다. 지난 5일 경북도에 따르면, 저출생 극복 실행과제 진도율이 91%를 보였다. 사업 추진 성과가 속속 나타났다. 저출생 극복을 위한 100대 실행 과제 진도율은 91%이었다. 추경으로 투입된 예산(1100억 원) 집행률은 79%를 보였다.
지난 7일 통계청의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해 229개 시·군·구서 65세 이상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보다 많은 시·군·구는 211개(92.1%)였다. 전년도 209개(91.3%) 대비 2개 증가했다. 인구가 늙어간다는 증거다. 늙은 만큼 비례해, 젊은 인구가 증가하지 않으면, 인구가 줄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지난 25일 경북도에 따르면, 저출생 극복을 위해 ‘학생부터 어르신’까지 전 세대에 걸쳐, 인구교육을 한다. 결혼·출산·가족생활에 대한 공동체성 회복 등 합리적 가치관 형성을 지원한다. 경북도 저출생 극복에 꼭 필요한 사회 인식 및 문화를 개선한다.
경북도는 이날 도청서 보건복지부, 경북교육청, (사)인구와 미래 정책연구원 등과 ‘경상북도 인구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경북 특색형 인구 교육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이철우 경북 지사,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 임종식 경북 교육감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보건복지부의 인구 위기 대응 인구교육 추진 지원 사업과 연계 추진된다. 사업비는 국비를 지원받는다.
경북도는 저출생 극복을 핵심 ‘교육과제로 선정’했다. ‘유·초·중·고·대학생’, 지역주민, 민간단체 등에 현재의 심각한 인구 위기 상황을 공유한다. 저출생 극복을 위한 사회 인식 변화를 이끈다. 결혼과 출산을 꺼리는 것의 개선 등에 중점을 뒀다. 협약기관 간 협력서, 경북 특색형(저출생 극복형) 인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한다. 학교 교육과정(인구교육 교과목)을 운영·확대한다. 경북지역 인구 특성과 환경 변화를 고려한 전 세대 인구 교육을 확산한다. 경북 특색형 학교, 지역사회 인구교육 시범모델 수립 등을 추진한다.
이와 관련, 이철우 경북 지사는 경북내 현장을 돌며 대학생, 미혼남녀, 양육 부모, 난임 가족 등 다양한 정책 수요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는다.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교육이 어렸을 때부터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경북도가 중앙부처와 손잡고 가족과 공동체에 대한 합리적 가치관 형성을 지원한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인구교육으로 결혼과 양육 등에 대한, 보다 긍정적 인식을 가질 것이다.
‘유·초·중’의 인구교육을 하려면, 교과서가 있어야한다. 교사도 있어야한다. ‘유·초·등에게 출산·인구교육은 성교육’이다. 또한 어르신은 노인을 말한다면, 이분 들에게도 출산교육을 한다는 말인가를 묻는다.
지금은 예전보다는 성이 조숙했다. 이건 경북의 문제가 아니다. 교육부의 교과과정 문제로부터, 풀어야한다. 지금까지는 유·초등 학교에서, 성 교육을 금기시했다. 이에 궁금한 학생들은 교육·사회적 합의가 도출하지 않은 유혹에 스스로 빠진 것도 숨길 수가 없다. ‘유·초등의 성교육’은 더 신중할 것을 촉구한다. |
|
|
사람들
성주 가천면이 3일, 본격 여름철폭염에 대비해 관내 경로당을 대상으로 방문 점검을 실시했
|
김천 대신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2일 정기회의를 가졌다.
|
의성가온마을학교 학생이 지난 27일 30만 9,000원을 의성 산불피해 지정기탁 모금회에
|
영주 평은면이 생활형 공공서비스로 ‘평은행복우산’ 대여서비스를 운영한다.
|
군위 새마을부녀회가 지난 1일 생활체육공원에서 개최된 ‘군민화합한마당축제’에서 방문객을
|
대학/교육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대구 한의대, 제41기 청도여성대학(이서면) 수료식 ‘성료’ |
문경교육지원청, 학교로 찾아가는 교직원 연수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과장 부임 |
대구보건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건산업기술대학II 교원 초청 연수 ‘성료’ |
영남이공대 사이버보안과, 전국 해킹·보안 경진대회 잇단 수상 |
대구한의대 부총장단, 대학 발전기금 3000만 원 기부 |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복지부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
칼럼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
■“전통은 여전히 지금을 위로한다 ”
어머니가 만들어주시던 냉국 한 그릇을 입에
|
대학/교육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대구 한의대, 제41기 청도여성대학(이서면) 수료식 ‘성료’ |
문경교육지원청, 학교로 찾아가는 교직원 연수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과장 부임 |
대구보건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건산업기술대학II 교원 초청 연수 ‘성료’ |
영남이공대 사이버보안과, 전국 해킹·보안 경진대회 잇단 수상 |
대구한의대 부총장단, 대학 발전기금 3000만 원 기부 |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복지부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