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은 황장목(금강송)의 고장이다. 울창하게 자란 아름드리나무는 인간과 더불어 산다. 이런 나무는 사람으로 치면, 허파와 같다. 이곳에 산불이 났다고 하면, 수십 년 또는 수백 년이나 가꾼, 나무가 순식간에 잿더미로 변한다. 울진군은 나무의 고장이기도하지만, 여기에 비례적으로 산불의 고장이다. 게다가 지금은 기후재난 시대다. 바닷물이든 땅이든 펄펄 끓는다. 이런 탓에 불이 났다고 하면, 걷잡을 수가 없는 지경에 도달한다.
2019년 고성, 2022년 강원 동해안, 2023년 강릉 경포에서 연이어 산불이 발생했다.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연평균 567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여의도 면적의 14배에 달하는 4,004㏊(헥타르·4,004만㎡)의 산림이 소실됐다. 산불 원인으로는 입산자 실화가 186건(33%)에 달했다. 한순간 부주의와 실수로 애써 가꾼 산림이 순식간에 잿더미가 됐다. 복구하려면 짧게는 40년, 길게는 100년이란 긴 세월과 큰 비용이 투자된다.
지난 6월 감사원의 ‘산사태·산불 등 산림 재난 대비 실태’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에 설치된 산불 감시용 CCTV 1446대 중 645대는 ‘자동 회전’기능이 없었다. 이 기능이 있는 801대도 고정된 채로 운용됐다. 수백억 원의 혈세를 들여, CCTV를 설치했지만, 제한된 시야만 감시하는 탓에 ‘무용지물’이나 다름없었다. CCTV로 포착된 화면을 살펴보는 전담 인력도 배치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CCTV가 불이 난 곳을 향하고 있었지만, 산불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결국 최근 3년간 산불 1684건서 CCTV에 발견된 경우가 6건(0.4%)에 불과했다.
산불을 진화하려고 도입한 ‘헬기 골든타임제’도 유명무실했다. 이 제도는 산불 신고 접수부터 헬기가 물을 뿌리기까지 6단계로 나눈다. 최종 단계까지 50분 안에 마칠 수 있게 한다. 실제로는 신고 접수가 아니라, 출동 지시부터 물 투하까지 4단계만 50분으로 관리됐다. 그러면서도 국회에는 6단계가 50분 만에 완료된 것처럼 허위 보고했다.
지난 2022년 3월 난데없는 산불로 서울 면적의 30%에 달하는 1만 8,463㏊ 산림을 잃은 울진군서 추진한 산림복원사업의 일설에 따르면, 엄나무를 식재해 놨다는 얘기를 듣고, 산을 찾아갔으나. 심은 흔적은 있었다. 식재한지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았는데 전부 고사했다. 산주가 요구한 묘목이 아닌, 엉뚱한 묘목이 식재된 경우가 있는가 하면, 식재한 묘목이 90% 이상 고사한 사례가 빈번했다. 묘목을 공급하고 식재를 담당하는 회사가 ‘엉터리’가 아니냐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울진군에 따르면, ‘더 이상 울진군에 산불은 없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산불로부터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산불 예방에 초점을 맞췄다. ICT 플랫폼을 구축했다. 드론스테이션을 도입했다. 첨단 과학기술 기반 산불감시체계를 구축·운영한다. ICT플랫폼을 구축해, 산불감시 카메라 영상을 AI가 활용·분석해, 다채널 모니터링이 어려운 인력감시의 한계를 극복한다.
분석은 딥러닝 기반 실시간 영상분석 기술이 적용돼, 연기(smoke), 불꽃(fire), 안개(fog) 등 6가지 분석 인자를 토대로 오탐률을 최소화 해, 산불여부를 판단한다.
SMS알람 기능으로 산불 상황을 전파해, 신속하게 대응한다. 관내 14개 소 산불감시 영상을 안전 재난과 CCTV통합관제센터로 연계한다. 재난관리부서에서도 산불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산불감시 영상을 경북 산불재난종합상황실로 연계해, 영상공유 및 AI분석에 활용한다. 다중 감시체계를 구축해, 산불예방 대책을 한층 더 강화했다.
울진군은 산불감시 영상 연계(공유) 및 ICT 플랫폼 활용으로 산불감시체계를 고도화했다. 유관기관 상황 공유 및 협업체계 강화로 산불 대응력도 향상될 것으로 전망한다. 영농 부산물 파쇄 지원 등 다양한 산불예방 정책도 도입했다. 손병복 울진 군수는 산불로부터 걱정 없는 울진군을 추구한다. 산불예방은 인간의 허파까지 건강하게 지킨다. 울진군은 더욱 노력을 다하길 바란다. |
|
|
사람들
성주 가천면이 3일, 본격 여름철폭염에 대비해 관내 경로당을 대상으로 방문 점검을 실시했
|
김천 대신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2일 정기회의를 가졌다.
|
의성가온마을학교 학생이 지난 27일 30만 9,000원을 의성 산불피해 지정기탁 모금회에
|
영주 평은면이 생활형 공공서비스로 ‘평은행복우산’ 대여서비스를 운영한다.
|
군위 새마을부녀회가 지난 1일 생활체육공원에서 개최된 ‘군민화합한마당축제’에서 방문객을
|
대학/교육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대구 한의대, 제41기 청도여성대학(이서면) 수료식 ‘성료’ |
문경교육지원청, 학교로 찾아가는 교직원 연수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과장 부임 |
대구보건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건산업기술대학II 교원 초청 연수 ‘성료’ |
영남이공대 사이버보안과, 전국 해킹·보안 경진대회 잇단 수상 |
대구한의대 부총장단, 대학 발전기금 3000만 원 기부 |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복지부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
칼럼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
■“전통은 여전히 지금을 위로한다 ”
어머니가 만들어주시던 냉국 한 그릇을 입에
|
대학/교육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대구 한의대, 제41기 청도여성대학(이서면) 수료식 ‘성료’ |
문경교육지원청, 학교로 찾아가는 교직원 연수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과장 부임 |
대구보건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건산업기술대학II 교원 초청 연수 ‘성료’ |
영남이공대 사이버보안과, 전국 해킹·보안 경진대회 잇단 수상 |
대구한의대 부총장단, 대학 발전기금 3000만 원 기부 |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복지부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