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히터 규모 5의 울산 지진으로 국민적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진에 취약한 대구지역에서 규모 6의 지진이 일어날 경우 60여만명의 사상자와 36조원의 보수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됐다.이는 국민안전처가 지난해 4월 지진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예측 연구자료를 토대로 계산한 결과다.연구 자료에 따르면 대구지역에서 지진 발생시 예상 보수비용은 규모 6일 때 36조5800억원, 규모 6.5일 때 120조 6300억원, 규모 7일 때 182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지진 피해로 기업의 재고 등 손실비용은 1724억원(규모 6)~1조3212억원(규모 7 기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지진 규모에 따른 부상자 수는 3500명(규모 6)~59만6500명(규모 7), 사망자 수는 1명(규모 6)~4844명(규모 7)으로 예측됐다. 학계에서는 아직까지 한반도 내륙에서 규모 6~7 이상의 지진 발생 가능성 여부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이때문에 대구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와 국민안전처 등은 지진 발생시 대응시스템 구축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기초 데이터 구축을 위한 목적으로만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지역의 한 지질 전문가는 "지진이 발생할 때마다 언론보도 등으로 관심이 집중되면서 불안감만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다"면서 "현실적으로 지금의 과학기술로는 지진 발생 시기 등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한 만큼 지나친 우려 보다는 지진 발생시 대피 등 대처 요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대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한편 2004년 이후 전국에서 관측된 613차례의 지진 중 리히터 규모 4~4.9는 8차례, 5 이상은 2차례다.대구·경북지역에서는 2004년 이후 12년 동안 129차례 지진이 관측됐는데 규모 4~4.9 1차례, 5 이상 1차례다.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년 이래 대구지역에서 발생한 10차례의 지진 중 2004년 4월26일 오후 1시29분 대구 서남서쪽 40km 지점의 리히터 규모 3.9가 가장 크다. 대구지역에서 리히터 5~6 규모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공공시설물은 절반 가량, 민간 건축물은 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일본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지진 보다 훨씬 약한 규모에도 대구의 공공시설물 2곳 중 1곳, 민간 건축물 4곳 중 3곳이 견딜 수 없는 셈이다.6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개정된 건축법에 맞춰 내진 기능을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공공시설물 1358곳 가운데 내진설계가 된 곳은 47.8%인 512곳이다.공공시설물 중 3층 이상, 연면적 500㎡ 이상 건축물 446곳 가운데 338곳, 도로시설물 129곳 중 96곳, 도시철도시설 191곳 가운데 112곳, 폐수종말처리시설 6곳 중 5곳, 수도시설 160곳 중 90곳은 내진기능을 갖추지 않았다.단독주택의 경우 내진적용 대상 3만6616곳 중 26%인 9490곳, 공동주택은 1만3430곳 중 40%인 5342곳, 학교는 1181곳 중 32%인 381곳, 공공업무시설은 451곳 중 25%인 114곳만 내진기능을 갖추고 있다.대구시는 공공시설물의 내진 보강을 강화하고 지진이 발생할 경우 시설물의 안정성 확인과 피해평가 등을 위해 2018년까지 지자체 청사 등 12곳에 지진 가속도계 설치할 계획이다.또 민간건축물의 내진 보강을 유도하기 위해 내진설계 의무대상이 아닌 민간 건축물이 내진 보강을 하거나 신축, 대수선을 할 때 취득세와 재산세를 감면해 주고 있다. 대구/예춘호 기자 sm1113@hanmail.net |
|
|
사람들
울진 매화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9일 소외 계층 이웃을 위한 ‘5월 마음담은 김치반찬
|
㈜에이아이정보기술 이상돈 대표가 지난 9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고향사랑기부제에 360만 원
|
영양 수비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영양산나물 먹거리 한마당 기간에 먹거리부스를 운영,
|
영천교육지원청은 지난 9일, 영천여자고등학교 정문에서 등교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 금
|
상주 낙동면이 지난 9일 화산1리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준공식을 열었다.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