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4-26 16:10:30
기고
  최종편집 :
출력 :
우리 마을 녹색길 지킴이
길은 문화와 역사, 우리의 삶이 담겨있는 그릇이다. 잠시 멈추고 뒤돌아볼 틈도 없이 빠르게 직선으로만 내달리는 현대인들이 자연 속에서 ‘느리게 걷기’를 통해 사색하고, 소통하고,
오재영 기자 : 2023년 01월 30일
겨울철 3대 화재 위험 전기제품 사용법
최근 강추위가 지속되고 집 밖은 찬바람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두꺼운 외투를 입지 않으면 돌아다니기가 힘들 정도로 날이 추워지고 자연스럽게 집집마다 전기장판을 꺼내 사용하는
황원식 기자 : 2023년 01월 28일
조선의 명당 ‘연주패옥(連珠佩玉)’과 ‘말무덤’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은 신라 말 도선비기(道詵秘記)로 유명한 도선(道詵)에 의해 비롯되어 고려 때 크게 유행하였으며 지형(地形)이나 방위(方位), 산세(山勢)·지세(地勢)·수세
오재영 기자 : 2023년 01월 25일
올해 설 명절 선물은 주택용 소방시설로!
동 장군이 매섭게 기세를 부리는 겨울철이다. 매년 겨울철에는 추운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각 가정에서는 겨울철 난방용품의 사용 빈도가 는다. 이러한 난방용품들은 겨울철 추운 방 안
김형삼 기자 : 2023년 01월 19일
중년 이후 필수 혈압 체크 하셨나요?
고혈압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혈압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하는데, 혈액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해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낼 때 가장
황보문옥 기자 : 2023년 01월 16일
나라를 구한 ‘문경새재 성황신’
성황신(城隍神)은 민속 신앙에서 토지와 마을을 수호하는 신이다. 성황당(城隍堂)은 성황신을 모신 당(堂)으로 지역에 따라 서낭당, 서낭신으로도 부르는 데 국어사전에는 서낭당과 서
오재영 기자 : 2023년 01월 16일
주택용 소방시설, 명절에 안전을 선물하세요
코로나-19로 힘든 생활이 이어지는 가운데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이 다가왔다. 맛있는 음식, 평소 만나지 못했던 가족과의 만남 등 행복한 명절이 생각난다.하지만 이런 안전하고 행복
오재영 기자 : 2023년 01월 10일
올해 설 명절은 주택용소방시설로 효도하세요
찬바람에 아직도 몸이 움츠러드는 겨울이지만 곧 다가올 설 명절에 마음이 푸근해진다.안전과 더불어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요즘 이번 명절엔 비싼 선물세트보다
김승건 기자 : 2023년 01월 09일
역사를 바꾼 토끼 이야기
2023년 계묘년(癸卯年)은 ‘검은 토끼의 해’다. 육십 간지의 40번째로 계(癸)는 흑색, 묘(卯)는 토끼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토끼는 온순하고 지혜롭고 꾀가 많아 예로부터 매
오재영 기자 : 2023년 01월 09일
겨울철 가스취급을 안전하게
예천군에서는 지난 해 12월 24일 18시 40분경 보문면 미호리에서 부탄가스가 폭발하여 4명이 부상당하는 사고가 발생 했다. 이날 사고는 동결된 부탄가스를 녹이기 위하여 등유
황원식 기자 : 2023년 01월 08일
‘똑똑 112’를 아시나요?
작년도 경북경찰청에 112로 접수된 신고 총건수는 약 87만 5000여 건이다. 21년도 신고 건수와 비교해 보면 가정폭력은 9,166건으로 5.4% 증가, 데이트 폭력은 2,1
김철억 기자 : 2023년 01월 05일
문경의 진산 주흘산(主屹山)
문경을 지켜주는 영산(靈山), ‘우두머리 의연한 산’이란 뜻을 지닌 주흘산은 문경의 진산(鎭山)이다. 진산은 도읍지(都邑地) 또는 각 고을 뒤에 있는 큰 산으로 나라나 고을의 난
오재영 기자 : 2023년 01월 03일
겨울철 3대 화재 위험 전기제품 사용법
집 밖은 찬바람이 기승을 부리고 두꺼운 외투를 입지 않으면 돌아다니기가 힘들 정도로 날이 추워지고 자연스럽게 집집마다 전기장판을 꺼내 사용하기 시작한다. 
황원식 기자 : 2023년 01월 01일
어르신, 올겨울 낙상·한랭질환 조심하세요
최근 관내에서 80대 할아버지께서 집 앞에 전날부터 내린 눈을 치우다가 빙판길에서 미끄러져 낙상과 저체온증으로 인근 병원으로 이송된 일이 있었다.
정의삼 기자 : 2022년 12월 28일
문경 연가 ‘문희(聞喜)의 노래’
지금 대한민국에는 시인도 많고 시집도 많이 출판되고 있으나 사람들이 시를 안 읽고, 시집이 인기가 없고, 유명서점 시집 코너가 한쪽 구석에 초라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상황에
오재영 기자 : 2022년 12월 26일
급변하는 세계경제 속 지역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지난 2018년 촉발된 미국·중국 무역전쟁은 두 강대국을 중심으로 세계 공급망을 양분화시켰고,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시작된 EU-러시아 간 에너지 공급 문제 및 최근 OP
황보문옥 기자 : 2022년 12월 25일
공사장화재 주범은 ‘작은 용접 불씨’
최근 건축공사 현장이 늘어나고 공사장 용접작업 중 불티에 의한 화재로 피해가 계속 발생되고 있다.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6~2020년) 용접작업 중 불티에 의한
황원식 기자 : 2022년 12월 24일
설마하는 부주의가 화재 부른다
2022년 한 해가 저물어 가는 요즘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마스크 착용 의무가 착용 권고로 전환됨에 따라 그동안 묶여있던 불안함이 조금씩 해소되어 많은 국민이 크리스마스와
정의삼 기자 : 2022년 12월 24일
‘모두가 이득 행복이 가득’ 한 윈·윈터 페스티벌, 모두의 축제로!
김난도 서울대 교수는 2023년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의 트렌드를 표현하는 사자성어로 ‘교토삼굴(狡免三窟)’을 꼽았다. 꾀 많은 토끼는 3개의 굴을 준비한다는 뜻
황보문옥 기자 : 2022년 12월 22일
용접·불티 화재 작은 실천 부터
매년 공장·공사장 등에서 용접·불티로 인한 화재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용접작업 시 사소한 부주의로 발생한 불티는 불이 잘 붙는 가연물에 착화해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정의삼 기자 : 2022년 12월 20일
   [1] [2] [3] [4] [5] [6] [7] [8] [9]  [10]       
사람들
영천시 사랑의열매 나눔봉사단은 지난 21일 단원 및 내빈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4월 정 
영천시는 지난 23일, 남부동 통장협의회에서 영남지역 산불 피해 성금 480만원을 기탁했 
지난 22일 정나눔봉사단체가 청송 파천면 지경리경로당에서 산불 피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양군청 공무직으로 구성된 공공연대노동조합영양지부와 영양환경미화원노동조합<사진>이 산불  
4050 수도권 산악회가 지난 23일 영양군청을 방문해 산불피해 성금 550만 원을 기부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래직업교육센터’ 개관  
청도Wee센터, 동산초 '집단상담 프로그램'  
영남이공대, 아산스마트팩토리마이스터고와 '일학습병행' 맞손  
대구보건대, 중장년층 대상 ‘직업이음과 함께하는 나만의 경력 설계’ 성료  
계명문화대, KOICA·우즈벡 고용빈곤퇴치부와 MOU  
영진전문대 반려동물과, 전국 반려견 대회 우수 성과  
서구, 건강마을만들기 건강리더 양성교육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현대그린푸드 취업설명회’  
호산대–주택관리공단, 공공임대주택 입주민 지원 ‘맞손’  
계명문화대, 식품제조업소 역량강화 지원사업 2년 연속 선정  
칼럼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엔트로피(Entropy)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정보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만리장성(萬里長城)은 2000년 전 진시황부터 북방의 흉노족이나 몽골족 유목민의  
벗(friend)이란 비슷한 나이에 친하게 사귀는 사람이다. 우도(友道)는 벗을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래직업교육센터’ 개관  
청도Wee센터, 동산초 '집단상담 프로그램'  
영남이공대, 아산스마트팩토리마이스터고와 '일학습병행' 맞손  
대구보건대, 중장년층 대상 ‘직업이음과 함께하는 나만의 경력 설계’ 성료  
계명문화대, KOICA·우즈벡 고용빈곤퇴치부와 MOU  
영진전문대 반려동물과, 전국 반려견 대회 우수 성과  
서구, 건강마을만들기 건강리더 양성교육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현대그린푸드 취업설명회’  
호산대–주택관리공단, 공공임대주택 입주민 지원 ‘맞손’  
계명문화대, 식품제조업소 역량강화 지원사업 2년 연속 선정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