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은 코로나 대역질이 전 국토를 강타한 공포의 한 해였다. 국민건강, 국가경제, 심지어 나의 시 창작까지 사정없이 짓밟았다. 시인의 시심(詩心)은 저항정신이다. 평소 단시(短詩)가 명시(名詩)라고 역설(力說)(!)하는 필자(나)는 올해는 화끈한 단시(短詩)를 재수가 없어, 한 편도 못 만났지만, 몇 해 전(2017년)에 낸 김시종 39시집 ‘아버지’에서 내가 아끼는 단시(短詩) 7편을 발굴하여, 망나니 코로나 대역질 땜에 신음하는 이 땅의 민초(民草)들이 읽고 제발 위안을 받으셨으면 한다. 내가 시 창작을 하는 것은 내 문명(文名)을 떨치기 위함이 아니요, 국민들께 사는 보람과 기쁨을 드리기 위해서다. 이 땅의 주인장이신 국민 제현(諸賢)께 심신의 상처가 조속히 치유가 되고, 새로운 삶의 활력소가 용솟기를 두 손 모아 비노이다. 밝아오는 새해(2021년)는 진정 복(福)된 해가 꼭 되소서. 이제 김시종 시인의 단시(短詩) 속으로 들어가 봅시다.
● 김시종 단시선(金市宗 短詩選)
명쾌한 시 부활절에 죽은 자는 부활하지 못한다. 부활절 삶은 달걀이 병아리가 될 수 없듯이…· (2017.4.16.)
동해바닷가에서 파도가 종일 흰 이빨을 갈면서, 24시간 육지를 향해 상륙작전을 감행하고 있다. 끈질긴 파도의 공격에도 좀 채 육지는 함락되지 않네요. (2017.2.14. 영덕 병곡) 여심(女心 여자 나이 8세나, 80세나 동갑(同甲)이다. 여자의 몸이 나이를 먹지, 여자의 마음은 나이를 먹지 않는다. 젊은 여자의 호소보다, 늙은 여자의 애소가 더 감성적이다. (2017.2.3.) 효묘(孝猫) 고양이는 지극한 효자동(孝子童)이다. 아기울음 끊어진 농촌에서, 밤마다 아기울음을 자지라지게 울어, 꼬부랑 할매를 새댁시절로 회춘(回春)케 한다. (2017.2.7.)
신(神)의 은총 나에게 눈물의 참뜻을 깨우쳐 주시려고, 내가 세상에 태어나기도 전에 우리 아버지를 압수해 가시다. (2017.3.7.)
근황(近況) 무질서한 나라일수록 줄서기를 좋아한다. 문(門) 앞에 줄을 서서 문(文)이 보이지 않는다. 문(文) 앞에 줄을 서서 문(門)이 보이지 않는다. (2017.3.22.)
눈 오는 날 날리는 눈발을 타고 구원형(재종형)이 오신다. 어깨에 장작 다발을 멘 구원형이 오신다. 내 어린 날 겨울은 너무 추웠다. 아버지가 안 계신(죽고 없는) 우리집엔 늘 쌀독 밑바닥이 보이고, 겨울밤에도 아랫목은 냉돌이었다. 겨울이 더욱 추운 우리집에 구원형님은 올 때마다 장작 한 다발을 메고 오셨다. 형님이 가져오신 장작 덕분에 그 날 밤은 등이 따뜻했다. 지금 구원형님은 눈 이불을 덮고, 이천호국원에서 긴 잠을 주무신다. 내 마음속의 난로 옆에는 나와 구원형님이 따뜻한 표정으로 노변정담을 웃으며 나눈다.
(덧말) 재밌게 읽으셨습니까? 감사합니다. 김시종사룀 |
|
|
사람들
김천시 봉산면 예지1리(이장 김호열)는 지난 8월 29일, 주민 주도의 환경정화 활동을
|
영천시는 1일 김선근 재경영천학사장이 200만원의 장학금을 영천시장학회에 기탁했다고 밝혔
|
영천시 남부동 청년회는 지난 30일, 관내 아동양육시설인 희망원을 방문해 아동들과 따뜻한
|
LG유플러스 경북공공고객팀이 1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지역 발전과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해
|
상주 화동명산포도영농조합법인이 지난 29일 조합 집하장에서 회원 150여 명이 참석, 2
|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국·우즈벡 ‘한국의 말·멋·맛 나눔’ 진행 |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과 석사과정생,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
청도교육지원청, 제34대 오홍현 교육장 취임 |
계명대, 재학생·교직원에 생성형 AI 풀패키지 무상 제공 |
국립 경국대 생물학과 대학원생,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
DGIST이종수 교수팀, 초고해상도 양자점 디스플레이 제작 '직접 광리소그래피'핵심 기술 개발 |
계명 문화대, ‘취업역량 plus+ 취얼업 캠프’ 성료 |
대구보건대 언어치료학과, ‘제13회 언어재활사 선서식’ |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국·우즈벡 ‘한국의 말·멋·맛 나눔’ 진행 |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과 석사과정생,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
청도교육지원청, 제34대 오홍현 교육장 취임 |
계명대, 재학생·교직원에 생성형 AI 풀패키지 무상 제공 |
국립 경국대 생물학과 대학원생,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
DGIST이종수 교수팀, 초고해상도 양자점 디스플레이 제작 '직접 광리소그래피'핵심 기술 개발 |
계명 문화대, ‘취업역량 plus+ 취얼업 캠프’ 성료 |
대구보건대 언어치료학과, ‘제13회 언어재활사 선서식’ |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