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구미 대둔사 경장<사진>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난해 12월 31일 지정 예고했다. 대둔사 경장(經欌 경전을 넣어두는 장)은 뒷면에 쓰인 명문을 통해 인조 8년(1630)에 제작한 사실을 알려주는 불교목공예품으로 제작 시기뿐 아니라 제작자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례로 주목을 받은 작품이다. 특히, 조선후기 목공예품 중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알 수 있는 작품은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대둔사 경장은 좌측 경장의 뒷면과 밑면에 제작 시기와 제작자, 용도 등을 두루 알려주는 기록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목공예 연구에 기준이 되는 등 미술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아울러 규모가 크고 조형적으로 우수해 조선후기 불교목공예의 편년과 도상연구의 기준이 될 수 있어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평가다. 또 좌우 경장의 문짝 안쪽에 각각 2구씩 그려진 사천왕상 배치를 통해 원래부터 한 쌍으로 제작돼 대웅전의 불단 좌우에 놓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수리되고 개채된 부분은 있지만 제작 당시의 문양과 채색 기법을 대부분 상실하지 않고 간직하고 있어 당시의 채색기법 연구 및 선묘불화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사천왕도는 17세기 선묘불화의 유일한 사례로 주목된다. 구미 대둔사는 구미시 옥성면 옥관리 소재 전통사찰로, 446년 화상 아도(阿道)가 창건했으며, 1231년(고종 18) 몽고족의 침략으로 불타버린 뒤, 충렬왕 때 왕자 왕소군(王小君)이 출가, 중창했다. 1606년(선조 39) 사명대사가 중건해 승군이 주둔한 호국사찰로 국가문화재 보물 3점을 보유한 사찰이다. 구미시(시장 장세용)는 국가문화재 지정을 계기로, 그 동안 일반인에 잘 알려지지 않은 구미 문화재의 숨은 가치를 재조명하고, 전시·교육·체험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용사업을 통해 구미시민의 역사와 정체성 정립에 역량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김철억 기자 |
|
|
사람들
경북남부보훈지청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13일 신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학생들과 함
|
영천시농업기술센터 축산과 직원들은 13일 농번기 일손 부족에 작은 힘을 보태고자, 청통면
|
영천시 영화초등학교 총동창회에서 지난 12일 경북지역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을 위해
|
경주시 성건동 청년회는 지난 9일, 가정의 달을 맞아 지역 내 경로당 9개소를 방문해 어
|
전국한우협회 예천군지부는 13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한우 국거리 130팩을 기부했다.
|
대학/교육
대구공업대 사회복지경영계열대공봉사단, '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어버이날'행사 지원 |
청도교육청, 예술교사 수업 및 평가 역량강화 연수 |
경산 교육지원청, '학교체육진흥지역위원회 1차 협의회' 개최 |
영진전문대 파크골프경영과, ‘재학생 파크골프대회’ 성료 |
계명문화대, ‘서울국제푸드&테이블웨어박람회’서 전원 수상 |
영남이공대, ‘서울국제푸드앤테이블웨어 박람회’서 대상 |
국립경국대 축구동아리 ‘SPEED’, 창단 30년 만 전국대회 첫 우승 |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대학/교육
대구공업대 사회복지경영계열대공봉사단, '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어버이날'행사 지원 |
청도교육청, 예술교사 수업 및 평가 역량강화 연수 |
경산 교육지원청, '학교체육진흥지역위원회 1차 협의회' 개최 |
영진전문대 파크골프경영과, ‘재학생 파크골프대회’ 성료 |
계명문화대, ‘서울국제푸드&테이블웨어박람회’서 전원 수상 |
영남이공대, ‘서울국제푸드앤테이블웨어 박람회’서 대상 |
국립경국대 축구동아리 ‘SPEED’, 창단 30년 만 전국대회 첫 우승 |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