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옥 시인이 1970년 초에 나(김시종)를 보고, 김시종 씨는 무슨 소재(素材)든지 쓰면 다 시(詩)가 되는 특이한 시인이라고 칭찬에 인색(!)한 김상옥 시인 선생님이 감탄(?)을 하셨다. 그런 시인이 김시종 시인 말고 또 한사람 우리 시단(詩壇)에 있는데 박덕매(朴德梅) 여류시인이라 했다. 박덕매 여류시인은 미모하고는 거리가 먼 건강한 사람으로 시 세계도 건강(튼실)했다. 무슨 소재든 시(詩)로 만들려면 남(독자)의 눈치를 보지 말고, 자기 나름대로 걸죽(?)한 끼를 아낌없이 발휘해야 생동감 나는 맛깔스런 시(詩)를 건질 수 있다. 아무리 고상한 사람이라고 자처하는 사람도, 하루 최저 한번은 뒷간(측간)에 가서 큰 것을 배설해야 한다. 그 때만은 악취를 향기로 착각해야 덜 불행하다. 배변은 인간에게 쾌감을 하사하기 위한 신의 가장 큰 배려일 수도 있다. 설사가 나서 자주 측간을 찾는 것도 못할 일이요, 심한 변비에 걸려 자연스럽게 배설을 못하고 핀셋으로 항문을 접근하는 일도 지극한 난사(難事) 중 난사가 아닐까. 건강의 적절한 정의는 4쾌(四快)다. 쾌식(快食), 쾌면(快眠), 쾌변(快便), 쾌사(快事)다. 쾌식(快食)은 보리밥이라도 꿀맛이라서 식사를 한 그릇 뚝딱 비우고, 쾌면(快眠)은 밤에 잠자리에 누우면 코를 베가도 모를 정도로 깊은 잠을 푹 자는 것이다. 쾌변(快便)은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작은 집(뒷간)에 가서 큰 것·작은 것을 시원히 비우는 일이다. 쾌사(快事)는 낮일(직장)·밤일(침실)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건강을 정의한 것보다 필자가 말하는 사쾌(四快)야 말로 건강의 바로미터일 터이다. 필자가 시인 박성철 교수에게 보내드린 필자시집의 ‘인간적’이란 시가 생각나서 박시인이 잠결에 웃어대다가 놀라 잠을 깬 박교수의 영부인에게 박성철 교수가 점촌의 김삿갓 김시종의 시 ‘인간적’을 이실직고(以實直告)하여 박성철 시인의 영부인도 폭소했다는 에피소드를 남겼다. 걸죽한 김시종 시인의 ‘인간적’이란 시 속으로 들어가 볼까나. (시) 인간적 / 김시종 똥 누는 일은 거룩한 일이다. 새벽 예불은 안 가는 이도 식전측간(厠間)은 가는 법이다. 변비에 걸려 안간힘 쓰기 전엔 똥 누는 일이 거룩한 줄 모른다. 향내 나는 예불보다 거룩한 줄 모른다. 방귀 뀌는 일은 성스런 일이다. 대수술을 마치고 방귀를 기다린다. 칠년대한(七年大悍)에 비 기다리듯 온 식구가 며칠째 밤 새워 방귀를 기다린다. 방귀를 뀌는 것은 거룩한 일이다. 성인도 방귀를 뀔 때가 가장 인간적인 순간이다. (백화문학) <덧말> 김시종의 시를 읽기 전에 시(詩)를 읽었다고 말씀도 마세요. 필자의 시편들은 애독자들을 행복의 나라로 곧바로 안내해준답니다. (망언다사) |
|
|
사람들
김천시 봉산면 예지1리(이장 김호열)는 지난 8월 29일, 주민 주도의 환경정화 활동을
|
영천시는 1일 김선근 재경영천학사장이 200만원의 장학금을 영천시장학회에 기탁했다고 밝혔
|
영천시 남부동 청년회는 지난 30일, 관내 아동양육시설인 희망원을 방문해 아동들과 따뜻한
|
LG유플러스 경북공공고객팀이 1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지역 발전과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해
|
상주 화동명산포도영농조합법인이 지난 29일 조합 집하장에서 회원 150여 명이 참석, 2
|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국·우즈벡 ‘한국의 말·멋·맛 나눔’ 진행 |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과 석사과정생,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
청도교육지원청, 제34대 오홍현 교육장 취임 |
계명대, 재학생·교직원에 생성형 AI 풀패키지 무상 제공 |
국립 경국대 생물학과 대학원생,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
DGIST이종수 교수팀, 초고해상도 양자점 디스플레이 제작 '직접 광리소그래피'핵심 기술 개발 |
계명 문화대, ‘취업역량 plus+ 취얼업 캠프’ 성료 |
대구보건대 언어치료학과, ‘제13회 언어재활사 선서식’ |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국·우즈벡 ‘한국의 말·멋·맛 나눔’ 진행 |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과 석사과정생,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
청도교육지원청, 제34대 오홍현 교육장 취임 |
계명대, 재학생·교직원에 생성형 AI 풀패키지 무상 제공 |
국립 경국대 생물학과 대학원생,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
DGIST이종수 교수팀, 초고해상도 양자점 디스플레이 제작 '직접 광리소그래피'핵심 기술 개발 |
계명 문화대, ‘취업역량 plus+ 취얼업 캠프’ 성료 |
대구보건대 언어치료학과, ‘제13회 언어재활사 선서식’ |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