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산샛강생태공원 둘레길 전경.<구미시 제공> |
| 코로나19의 장기화 여파로 ‘코로나블루’를 치유하는 비대면 국내 관광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이에 구미시(시장 장세용)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는 안심 힐링도보여행을 위한 ‘구미의 걷기 좋은 길 9선’을 선정하고 구미시 최초의 걷기 안내지도를 제작했다. 구미의 걷기 좋은 길은 ▲역사와 함께 걷는 강변길 ▲가족과 함께할 수 있는 생태공원길 ▲사색과 명상의 숲길 3개의 테마로 구성됐다. 각 코스별 거리와 시간, 길과 관련된 문화재, 편의시설 등의 정보가 한 장의 지도로 만들어져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했다.
◆역사와 함께 걷는 강변길 첫 번째 테마는 시 전역을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을 바라보며 흙길의 투박하지만 순수한 자연 본연의 멋을 느낄 수 있는 코스로 매학정 버드나무길, 송당정사 강변나루길, 삼열부 승마길이다. 한편 낙동강 제방길은 구미시가 전국 최초로 조성한 승마길로 옛길을 재현하고 정비해 걷기에도 좋고 자전거 타기도 좋은 곳이다.
◆가족과 함께하는 생태공원길 두 번째 테마는 가족과 함께 소풍가는 기분을 낼 수 있는 생태공원길로 금오산올레길, 지산샛강 생태공원길, 동락공원 희희낙락길, 마제지 둘레길이다. 금오산올레길 주변에는 구미성리학역사관, 예갤러리, 탄소제로교육관, 금리단길 등 흥미로운 볼거리가 넘쳐난다. 지산샛강 생태공원은 여름이면 연꽃이 만개하여 초록으로 물든 수변을 걸을 수 있다. 동락공원 희희낙락길은 낙동강을 옆에 끼고 걸을 수 있는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 있다. 마제지 둘레길은 천생산산림욕장까지 둘러볼 수 있어 트레킹과 등산의 두 가지 매력을 즐길 수 있다.
◆사색과 명상의 숲길 세 번째 테마는 푸르고 짙은 녹음속에서 사색과 명상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숲길로써 해평임도 천년여행길, 선산뒷골 명상의 길이다. 해평임도 천년여행길은 숲의 새소리, 바람소리와 함께 편안하게 몸과 마음을 치유하면서 트레킹을 즐길 수 있다. 선산뒷골체육공원에서 옥성자연휴양림으로 이어지는 선산뒷골 명상의 길은 다양한 수종의 나무와 야생화의 아름다움을 즐기면서 걸을 수 있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위드 코로나 시대에 일상이 무너지고 힘든 요즘, 이 한 장의 지도를 통해 걷기 좋은 길을 널리 알려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계기가 되고, 앞으로도 변화하는 관광트렌드에 대응하는 관광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철억 기자 |
|
|
사람들
대한불교조계종 하교사 신도회가 지난 14일 김천 양금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 저소득층을
|
김천 남면이 지난 14일, 농번기를 맞아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과 농가를
|
경산 서부1동 바르게살기위원회가 지난 14일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산불 피해 이재민을 돕
|
소천면이 지난 12일 영농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농촌 일손 돕기에 나
|
의성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4일, 취약계층 100가구를 대상으로 이불 세탁 봉사활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 ‘불타는 숲에서 탈(脫) 산불의 숲으로’ 연구·정책 포럼 |
DGIST, 산사태 실시간 감지 고성능 ‘압전섬유 센서’ 개발 |
대구한의대, 제2회 총장배(배드민턴, 다트, 족구) 대회 ‘성료’ |
영진전문대, 사회복지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무료 교육과정 개설 |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파워풀대구페스티벌서 스타일링 봉사 |
청도 금천초, 교실로 찾아오는 맞춤형 학폭예방교육' |
대구대 DU난임대응센터, '난임 원인 규명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
계명 문화대, 제2기 외국인 홍보대사 임명식 |
호산대 간호대학, ‘미국 간호사 되기’ 글로벌 특강 성료 |
DGIST, 반도체 산업 개방형 혁신 관한 연구 세계적 권위 학술지 게재 |
칼럼
레밍(Lemming)은 아무런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심리를
|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 ‘불타는 숲에서 탈(脫) 산불의 숲으로’ 연구·정책 포럼 |
DGIST, 산사태 실시간 감지 고성능 ‘압전섬유 센서’ 개발 |
대구한의대, 제2회 총장배(배드민턴, 다트, 족구) 대회 ‘성료’ |
영진전문대, 사회복지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무료 교육과정 개설 |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파워풀대구페스티벌서 스타일링 봉사 |
청도 금천초, 교실로 찾아오는 맞춤형 학폭예방교육' |
대구대 DU난임대응센터, '난임 원인 규명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
계명 문화대, 제2기 외국인 홍보대사 임명식 |
호산대 간호대학, ‘미국 간호사 되기’ 글로벌 특강 성료 |
DGIST, 반도체 산업 개방형 혁신 관한 연구 세계적 권위 학술지 게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