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7-07 06:24:33

그 누가 ‘春來不似春’이라고 했나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17년 03월 02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봄이다. 봄이라도, 꽃을 봐야 알짜 봄이다. 봄이면, 동백이 제일 먼저 봄이 왔다고 알려준다. 미당(未堂) 서정주는 ‘선운사(禪隕寺)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않았고/막걸릿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작년 것만 오히려 남았습디다’(禪隕寺 洞口) 시(詩)는 어차피 오독(誤讀)의 역사이니, 여기선 미당의 시심(詩心)이 자연의 순환보다 빨랐는가! 이렇게 읽어봤다. 어제까지 가만히 있던, 어느 골목길 어귀에서 메마른 그 가지에, 오늘 매화가 연두색깔 같은 하늘을 이고 꽃봉오리를 열어, 환한 ‘등(燈)불’을 켜들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동백이 가면, 매화가 온다. 매화가 간 그 빈자리엔 산수유가 바짝 따른다. 그리곤 개나리가 뒤를 잇는다. 그다음엔 벚꽃이다. 진달래가 흐드러지면, 철쭉이다. 자연의 순리는 꽃을 알리지만, 왠지 ‘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다.’ 동방규(東方虯) 소군원(昭君怨) 시의 한 구절은 이렇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와도 봄 같지 않구나’ 하지만 꽃은 피고만 있으니, 우리는 어쩌란 말인가. 피되, 말만 무성한, ‘票퓰리즘’의 잔치 꽃뿐이라서 그런가. 리영희의 말에 따르면, 옛날 공자(孔子)는 한 제자한테서 만약 제왕이 되면 제일 먼저 무엇을 하겠는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공자는 서슴지 않고 “바른말을 쓰도록 백성들을 가르치겠다”고 대답했다고 한다. 이른바 정명론(正名論)이다. 정명은 관념(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언어이다. 인식은 관념을, 관념은 개념을, 그리고 그 개념을 담은 용어가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로 상대방에게 관념표상을 일으켜 다시 그 과정을 반복한다. 제나라 경공이 이상적인 정치에 대해 묻자 공자는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라고 답했다.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는 것이다. 말하지 않아도 다 아는, ‘답지 않은 수많은 사람들’에 원인하여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는가. 공자의 정명에서, ‘이름값도 못한 이들’에게도 기인하는가. 지금의 시국을 읽으면,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 딱 들어맞다. 봄 같지 않은 이유가 또 있다. 언론매체를 봤다하면, ‘답지 않았다’는 그 소리뿐이다. 그 소리의 화자(話者)에 청자(聽者)는 괴롭다. 피로도만 높다. 이 탓에 또 국민들은 봄이 와도, 또 ‘춘래불사춘’이다. 정치의 ‘등촉(燈燭) 같은 봄꽃’이 아니다. 정치는 국민(또는 정치인들 끼리)들의 분출하는 갈등을 슬기롭게 조정해 타협과 설득함이다. 협상함이다. 그래서 정치는 말이 아닌, 고난도의 예술이다. 막스 베버는 ‘소명으로서의 정치’에서 전문 관료는 데마고그(demagogue/민중 지도자 또는 선동가)가 아니다. 관료가 정치적인 데마고그의 기능을 수행하려면, 대체로 나쁜 데마고그가 되고 만다. ‘답지 않은’사태에서, 나쁜 데마고그가 참 많았다. 임시정부 수립이후에서 지금까지 자칭(自稱) 타칭(他稱)의 수많은 정치인들이 이 나라에 오갔다. 그 중엔 시민항거로 조국의 땅에서 천수를 누리지 못한 정치인이 있었다. 비운과 불명예로 죽은 정치인도 있었다. 이때에 되레, 정치인들이 아닌, 독재에 항거한 민중영웅만 탄생시켰다. 자연은 우리들에게 봄을 가져다준다. 봄엔 또 꽃이 핀다. 피지만, 그렇지만은 않는 법인가 한다. ‘年年歲歲花相似(년년세세화상사)/해마다 피는 꽃은 다를 게 없지만/歲歲年年人不同(세세년년인부동)/ 해마다 꽃을 반기는 사람은 같지가 않구나.’(劉廷芝의 시 ‘대비백두옹 代悲白頭翁’) 그렇다. 때마다 정치 개화(開花)의 계절은 온다. 스스로 국민의 꽃이라고 우기는 정치인들이 오고 있지만, 꽃답지 않은(을) 정치인들이 많음에 따라, 해마다 꽃은 피건만, 국민들은 괴롭다. 꽃답지 않은(을) 정치인들이 지금 북새통을 벌이고 있다. 꽃의 은유로 말하자면, ‘화상사’(花相似)에다 ‘인부동’(人不同)일뿐이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거리가 없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소문난 정치판의 말잔치에 국민들은 먹을거리가 없기에, 날로 야윈다. 국민은 지금 배고프다. 일부 정치인들의 말을 들으면, 격식은 있으나 품격은 없다. 감동도 없는 모양새이다. 국민들은 격식보단, 감동을 먹고 싶다. 중국 남송시대의 애국시인 楊萬里(양만리)의 한작(寒雀)이란 시에 ‘참새가 뛰듯이 크게 기쁘다’는 뜻의 흔희작약(欣喜雀躍) 구절이 있다. 국민들은 봄볕과 봄꽃을 보면서 흔희작약하고 싶은 것을 정치인들은 왜 그토록 모르는가.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燕雀安知鴻鵠之志(연작안지홍곡지지)도 있다. 뜻은 ‘연작(제비와 참새)이 어찌 홍곡(기러기와 고니)의 뜻을 알겠는가.’ 정치판에 제비와 참새는 물러가라. 대붕(大鵬)을 은유하는 홍곡은 오거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상주 공검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함께모아행복금고 정기 기부에 동참한 연꽃식당에 사회복지공동 
경주시는 지난 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경주시 이·통장연합회 분기회의’를 열고, 하반기  
문경소방서(서장 민병관)는 지난7월4일 문경소방서 4층 대회실에서 신임 의용소방대원 임명 
대학교수를 은퇴한 뒤 농촌에서 과일 농사를 짓고 있는 김성애 씨가 지난 4일 관내 경로당 
영천시는 4일 서문육거리 일원에서 여름철 물놀이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캠페인을 실시했 
대학/교육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청도 유천초, '마음건강 및 자살예방' 행복 캠프  
대구대, 몽골 울란바토르에 ‘경북학당’ 개소  
‘제16회 대구 진로진학박람회’ 18일 엑스코서 팡파르  
대구보건대 사회복지학과, 캄보디아 현지 아동 대상 해외 자원봉사  
대구한의대-대구시교육청, 친환경 급식 연수 ‘성료’  
점촌초,, 채식 실천 캠페인 운영-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칼럼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대학/교육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청도 유천초, '마음건강 및 자살예방' 행복 캠프  
대구대, 몽골 울란바토르에 ‘경북학당’ 개소  
‘제16회 대구 진로진학박람회’ 18일 엑스코서 팡파르  
대구보건대 사회복지학과, 캄보디아 현지 아동 대상 해외 자원봉사  
대구한의대-대구시교육청, 친환경 급식 연수 ‘성료’  
점촌초,, 채식 실천 캠페인 운영-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