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드보복’ 피해가 점점 현실화되면서 노동계도 잔뜩 긴장하고 있다.중국이 3월부터 자국민의 한국관광을 금지하면서 국내 호텔과 면세점업계는 매출이 ‘반토막’ 나고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여행상품을 판매하는 여행사나 관광가이드들은 하루하루 피가 마르고 있다. 이것은 엄살이 아니다. 관광산업 피해가 2년 전 메르스 사태 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비명이 쏟아지고 있다. 실제로 국내 M호텔은 중국인을 상대로 판매한 객실수가 지난해 3월과 4월 각각 3902실, 4566실에서 올들어 같은 기간 1236실과 201실로 많게는 20분의 1까지 쪼그라들었다. 서울의 P호텔도 사정은 마찬가지. 올해 1~2월 판매실적은 2683실로 전년 대비 84%에 불과했고 올 3~6월 전망치에 따르면 지난해의 15% 수준인 1682실로 뚝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지방호텔들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부산의 L호텔은 중국정부의 관광금지로 기존 예약분 151실이 갑자기 날아가 버렸다.전주의 L호텔도 중국인 관광객에게 판매한 객실 수가 지난해 4월 634실, 5월 1618실, 6월 1230실로 증가하다가 사드배치를 발표한 7월 939실로 감소하더니 12월에는 63실로 급감했다. 올해도 1월 159실, 2월 41실에 그쳐 판매수익은 회복될 기미를 안 보인다.문제는 사드보복으로 인한 매출, 수익 감소가 노동자들의 생존권 위협으로 직결된다는 점이다.사드 직격탄을 맞은 호텔업계에서는 본격적으로 임금협상을 시작하기도 전에 벌써부터 임금 동결 혹은 삭감 얘기가 기정사실처럼 흘러나온다. 한 호텔업체의 노조 간부는 “기업에서는 이익이 나는만큼 분배를 하는데 지금 상황에서는 분배는커녕 임금을 삭감하려고 들 것”이라며 “정부에서 빨리 대책을 마련해 노동자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하소연했다.면세점업계에서 일하는 아르바이트생이나 비정규직의 고용불안은 더 심하다. 모 면세점의 노조 간부는 “면세점에 입점한 중소업체에서는 이미 인원감축, 급여동결이나 삭감 등 고용불안이 발생하고 있다”며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다. 한국 사회에서 농수산업 다음으로 취약한 저임금 업종이 음식·숙박이나 관광산업이라고 한다. 사드 피해가 장기화될 경우 가뜩이나 열악한 관광산업 노동자들의 삶이 파탄날 수도 있다. 노동계 안팎에서는 중국 정부보다 한국 정부를 더 원망하는 기류도 감지된다. 사드배치가 이뤄지기 전에 충분히 피해를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했어야 했는데 반대여론 짓누르는데만 급급해 더 큰 화를 부른 것 아니냐는 것이다. 중국발 사드보복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관광업종 근로자들은 해고통지서가 날아오는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국가안보도 결국 국민의 평안한 삶을 보장하자는 것인데, 그 때문에 노동자들의 생계가 풍비박산 나는 걸 방관해선 안된다. 뉴시스 |
|
|
사람들
상주 공검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함께모아행복금고 정기 기부에 동참한 연꽃식당에 사회복지공동
|
경주시는 지난 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경주시 이·통장연합회 분기회의’를 열고, 하반기
|
문경소방서(서장 민병관)는 지난7월4일 문경소방서 4층 대회실에서 신임 의용소방대원 임명
|
대학교수를 은퇴한 뒤 농촌에서 과일 농사를 짓고 있는 김성애 씨가 지난 4일 관내 경로당
|
영천시는 4일 서문육거리 일원에서 여름철 물놀이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캠페인을 실시했
|
대학/교육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
청도 유천초, '마음건강 및 자살예방' 행복 캠프 |
대구대, 몽골 울란바토르에 ‘경북학당’ 개소 |
‘제16회 대구 진로진학박람회’ 18일 엑스코서 팡파르 |
대구보건대 사회복지학과, 캄보디아 현지 아동 대상 해외 자원봉사 |
대구한의대-대구시교육청, 친환경 급식 연수 ‘성료’ |
점촌초,, 채식 실천 캠페인 운영- |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칼럼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
대학/교육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
청도 유천초, '마음건강 및 자살예방' 행복 캠프 |
대구대, 몽골 울란바토르에 ‘경북학당’ 개소 |
‘제16회 대구 진로진학박람회’ 18일 엑스코서 팡파르 |
대구보건대 사회복지학과, 캄보디아 현지 아동 대상 해외 자원봉사 |
대구한의대-대구시교육청, 친환경 급식 연수 ‘성료’ |
점촌초,, 채식 실천 캠페인 운영- |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