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가 늙어가고, 이러다간, 한반도의 인구가 소멸하다는 위기감이 곳곳에 감지된다. 인구는 그 규모, 구성, 동태 등과 같은 특성으로, 경제 성장·건강·교육·가족 구조·범죄 유형·언어·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준다. 인류 사회의 거의 모든 면들이 인구 추세에 관련된다. 인구가 준다는 것은 국력이 줄고 나중엔, 경제 성장도 절벽과 맞닥트린다.
인구절벽을 보면, 통계청의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8월 한 달간 출생아 수는 2만 1758명이었다. 1년 전보다 524명(-2.4%) 감소했다. 국내 출생아 수는 2016년 4월부터 77개월 연속으로 동월 기준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의 ‘2021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2020년 출생아 수는 26만 5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 1800명(4.3%) 줄었다. 이는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였다. 출생아 수는 2016년까지 40만 명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2017년 30만 명대로 감소했다. 2020년 처음으로 20만 명대로 주저앉았다.
통계청의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출생아 수는 2만 441명이었다. 작년 같은 달보다 8.6%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2016년 4월 이후 76개월째 매달 동월 기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지난 9월 통계청의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고령인구 구성비)이 올해 17.5%에서 2070년 46.4%로 28.9%포인트 커진다. 한국 고령인구 구성비는 2069년 46.4%가 된다. 한국은 2070년 기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고령인구가 생산연령 인구를 웃돌게 된다.
지난 14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방소멸 시대의 인구감소 위기 극복 방안’에 따르면, 대구와 경북의 지방소멸이 가속화했다. 대구를 포함한 모든 광역시가 초고령 지역으로 진입한다. 초고령화 지역으로 진입한 경북과 전남이 지방소멸 위험 단계로 분류됐다. 비수도권의 나머지 도(道)지역과 일부 광역시는 지방소멸 ‘주의’단계로 분류됐다.
지방소멸 주의 단계에 포함된 대구와 부산의 경우, 지방소멸의 진행 속도가 전국 평균보다 가팔랐다. 연구원은 대전·광주·인천도 지방소멸 주의로 분류됐다. 하지만 전국 수준에 비해 진행 속도가 느렸다. 정상 단계와 유사한 수준을 보인다는 점에서 대구·부산과는 다르다. 시·도별 지방소멸 위험지수를 보면 전국 평균이 0.81이었다. 대구는 0.76이었다. 지방소멸 위험지수는 가임기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이다. 산출 값이 1.0이하면 인구소멸 ‘주의’단계다. 0.5 이하면 인구소멸 ‘위험’단계다. 연구원은 또 상대적으로 고령화 수준이 낮은 인천·울산 등이 6년 내 초고령 지역이 된다. 수도권과 광역시는 8년 이내 초고령 지역으로 진입한다. 연구원은 지역 간 인구 이동 특성을 고려해 개발한 ‘K-지방소멸지수’의 전국 228개 시·군·구의 인구 변화에 따르면, 지방소멸 위험도가 높은 ‘소멸 위기’지역은 59곳에 달했다. 이 중 소멸 ‘우려’ 50곳(21.9%)이었다. 소멸 ‘위험’은 9곳(3.9%)이었다.
소멸 위험지역에 경북은 울릉·봉화·청송·영양, 경남 의령, 전남은 신안·구례, 인천 옹진, 강원 고성 등이다. 이들 지역 지표는 전국 평균(1.0)의 절반(0.5)에도 못 미쳤다. 연구원은 인구 감소가 비수도권 군 단위 지역뿐 아니라 수도권과 광역시로 확대한다. 수도권과 광역시도 빠른 속도로 지방소멸을 향해 간다고 경고했다.
지난 6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에 따르면, 5월말 기준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는 949만 6887명으로 집계됐다. 1000만 명이 처음 깨진 것은 2016년 5월말이다. 당시 999만 5000여 명을 기록했다. 이후 50만 명이 더 줄어 들었다.
수도권의 쏠림 현상도 인구에선 지방과 다름없다. 인구문제는 단기 처방으론 안 된다. 적어도 50년 정도의 단위로 전국의 지자체가 모여, 인구의 증가를 풀어야만 한다. |
|
|
사람들
김천시 봉산면 예지1리(이장 김호열)는 지난 8월 29일, 주민 주도의 환경정화 활동을
|
영천시는 1일 김선근 재경영천학사장이 200만원의 장학금을 영천시장학회에 기탁했다고 밝혔
|
영천시 남부동 청년회는 지난 30일, 관내 아동양육시설인 희망원을 방문해 아동들과 따뜻한
|
LG유플러스 경북공공고객팀이 1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지역 발전과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해
|
상주 화동명산포도영농조합법인이 지난 29일 조합 집하장에서 회원 150여 명이 참석, 2
|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국·우즈벡 ‘한국의 말·멋·맛 나눔’ 진행 |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과 석사과정생,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
청도교육지원청, 제34대 오홍현 교육장 취임 |
계명대, 재학생·교직원에 생성형 AI 풀패키지 무상 제공 |
국립 경국대 생물학과 대학원생,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
DGIST이종수 교수팀, 초고해상도 양자점 디스플레이 제작 '직접 광리소그래피'핵심 기술 개발 |
계명 문화대, ‘취업역량 plus+ 취얼업 캠프’ 성료 |
대구보건대 언어치료학과, ‘제13회 언어재활사 선서식’ |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국·우즈벡 ‘한국의 말·멋·맛 나눔’ 진행 |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과 석사과정생,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
청도교육지원청, 제34대 오홍현 교육장 취임 |
계명대, 재학생·교직원에 생성형 AI 풀패키지 무상 제공 |
국립 경국대 생물학과 대학원생,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
DGIST이종수 교수팀, 초고해상도 양자점 디스플레이 제작 '직접 광리소그래피'핵심 기술 개발 |
계명 문화대, ‘취업역량 plus+ 취얼업 캠프’ 성료 |
대구보건대 언어치료학과, ‘제13회 언어재활사 선서식’ |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