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1 20:27:18

문경새재 주막 이야기

이만유 전 문경시문화관광해설사회 회장
오재영 기자 / 1593호입력 : 2023년 03월 27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문경새재 주막

   
酒-주막 표시등

옛날 길 떠난 나그네가 머물다 가는 주막은 술과 밥을 파는 주점이고 식당이면서 여관을 겸한 복합 휴게소라 할 수 있다. 주막은 외딴 곳에 한 두집이 있기도 하지만, 나그네가 많이 다니는 길목에는 여럿이 모여 주막거리나 주막촌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 문경지역에서도 유곡역 주막촌, 문경새재와 돌고개 주막거리 등이 있었으며, 한양에서 과거시험이 있는 시기에는 성시(成巿)를 이루었고 특히, 술청에는 팔도 사람들이 모여 북새통이 되기도 하였다.

주막은 임진왜란 후 조령원(鳥嶺院)·동화원(桐華院) 등 관설(官設) 원(院)의 기능이 쇠퇴하고 참(站)마다 참점(站店)을 설치하여 여행자에게 숙식을 제공하였는데, 조선 후기(19세기)에는 영남대로 등 큰길에는 10∼20리 간격으로 사설 주막이 많이 생겼다. 주막에는 나그네의 눈에 쉽게 띄도록 현대의 광고판 같은 주막 고유의 표시로 ‘酒(주)’자를 문짝 등 잘 보이는 곳에다 써 붙이거나 처마 끝에 등을 달기도 하였고 술을 거르는 데 쓰는 도구로 싸리나 대오리로 만든 둥글고 긴 통 모양인 ‘용수’를 장대에 달아 지붕 위로 높이 올려 두기도 하였다.

주막은 쉼터의 역할을 하면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정보를 교류하는 장소이기도 하였다. 특히 주막에서 제일 큰 방인 ‘봉놋방’에는 입담 좋은 사람들이 밤이 깊도록 팔도 이곳저곳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소식을 전해주는 이야기꽃이 피는 곳이었다. 

주막에서는 술이나 밥은 돈을 받지만 잠은 공짜로 잘 수 있었는데 침구는 제공하지 않았다. 특실이라 할 수 있는 작은 방은 지체 높은 양반 손님이 차지하고, 봉놋방에는 일반 백성들이 잠을 자는데 먼저 들어 온 사람이 좋은 아랫목 자리를 차지하고 그다음 들어온 사람들은 비어 있는 공간을 찾아 몸을 뉘었는데 때에 따라서는 남녀노소 구분 없이 한방에서 잠을 자기도 했다. 

그러다 보니 ‘복 없는 년은 봉놋방에 가서 자도 고자 옆에 눕는다’라는 재미있는 속담이 생기기도 하였다. 가끔 눈웃음치는 주모가 큰 엉덩이를 흔들면서 요염한 모습으로 과객을 호리는 ‘색주가’처럼 변질한 주막도 있었다고 하며, 주막 주변에는 나그네를 상대하는 ‘들병이’들도 있었다고 한다. 또 ‘내외주점(안방술집)’이라 해서 여염집 아낙네가 살길이 막연하여 차린 술집으로 문을 사이에 두고 술꾼에게 순배(巡杯)로 술을 파는 술집이 생기기도 하였다.

특별한 예로 민정을 살피는 관리들이 묵기도 하였는데 이긍익(李肯翊)이 지은 ‘연려실기술’에 정승 맹사성(孟思誠)이 고향 온양에서 상경하다가 용인의 주막에서 하룻밤을 지내면서 시골 선비와 ‘공 당 놀이’를 한 이야기가 있기도 하였다. “무슨 일로 서울 가는공?”, “과거 보러 간당”, “그럼 내가 급제시켜 줄공?”, “실없는 소리 말당”한 후 헤어지고 며칠 뒤 맹사성이 과장(科場)에서 그 시골 선비 곁에 슬며시 다가가 “어떤공?”하니 그가 정승인지 알아보고 얼굴빛이 하얗게 되어 “죽어지이당”했다는 이야기다.

조선팔도 고갯길의 대명사인 문경새재 제 1관문과 제 2관문 사이 교귀정 못미처에도 나그네들에게 술과 밥을 팔고 잠자리를 제공하던 옛 주막터에 주막이 한 채 들어서 있다. 조선 시대 풍속화가 혜원 신윤복과 단원 김홍도가 그린 ‘주막’이란 그림을 모델로 설계하여 1983년 11월 ‘조국순례 자연보도사업’의 일환으로 복원하였다고 한다. 

주막에서 외상술도 먹었는데 글을 모르는 주모가 외상장부 대신 부엌 벽이나 기둥에다가 자기만 알 수 있는 그 사람의 생김새와 옷차림 그리고 외상 내용을 칼로 그어 표시해 두었다. 지금이야 신용카드를 사용하지만, 한때는 단골 술집에서 현금이 없으면 손가락으로 긋는 시늉을 하거나 “그어두세요”하는데, 이 ‘긋는다’가 바로 옛날 주모에게서 비롯된 것이란다.

문경새재 주막은 삶의 애환과 체취가 오롯이 남아 있는 곳으로, 한 가난한 선비와 마음씨 고운 주모의 인간미 넘치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조금 늦은 나이에도 청운의 꿈을 이루기 위해 준비했던 과거시험에 낙방(落榜)하고 실의와 지친 몸을 이끌고 귀향하는 선비가 험한 문경새재를 넘게 되었다. 

노잣돈도 다 떨어진 상황에서 며칠을 굶다시피 해 몹시 배가 고팠다. 배에서는 연신 꼬르륵꼬르륵 소리가 나고 허기가 져 쓰러질 형편에 처했다. 마침 주막에는 장작불 위 가마솥에 국밥이 끓고 있었다. 바람결에 묻혀오는 구수한 국밥과 달콤한 막걸리 냄새에 견딜 수 없는 허기를 느꼈다. 그러나 수중엔 무일푼, 양반 체면에 구걸할 수도 없어 망설이면서 몇 차례 그 옆을 왔다 갔다 하다가 한번 사정이나 해봐야지 하면서 주모에게 다가갔다.

그런데 빈손으로 가기도 뭣해서 주막 앞에 깨어진 사기그릇을 하나 주워 엽전처럼 동그랗게 다듬어서 그걸 들고 갔다. “주모! 내 어디 어디 사는 누구인데 지금 노잣돈도 다 떨어지고 배가 몹시 고프니 이 ‘사금파리’를 어음이라 생각하고 외상 국밥 한 그릇만 주시오. 내 선비로서 명예와 자존심을 걸고 다음에 꼭 갚으리다. 부탁하오”하니, 초라하나 의젓한 선비를 본 주모는 안타까운 마음에 선뜻 “예, 드리지요. 어서 이리로 앉으십시오.”하고는 큰 그릇에 따뜻한 국밥과 막걸리 한 사발을 내어 주었다.

선비는 게 눈 감추듯 음식을 먹고는 “주모! 고맙소! 내 다음에 이 길을 다시 올 때 꼭 들리도록 하겠소”하고 가는 길을 재촉했다. 그리곤 1년 후 한양에 갈 일이 생겨 문경새재를 넘으면서 그 주모를 찾았다. 

그를 알 듯 모를 듯 그러나 반가이 맞아주는 주모의 손을 잡고 “내 그때 태어난 이후 이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밥과 술을 먹었소. 주모 참 고마웠소”하고는 그때 음식값의 몇 배를 주고 떠났다고 한다. 그때 그 동그란 ‘사금파리 어음’이 발굴되어 옛정을 듬뿍 담고 ‘옛길박물관’에 전시되어 문경을 찾아온 관광객의 마음을 따뜻하게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김천시 봉산면 예지1리(이장 김호열)는 지난 8월 29일, 주민 주도의 환경정화 활동을  
영천시는 1일 김선근 재경영천학사장이 200만원의 장학금을 영천시장학회에 기탁했다고 밝혔 
영천시 남부동 청년회는 지난 30일, 관내 아동양육시설인 희망원을 방문해 아동들과 따뜻한 
LG유플러스 경북공공고객팀이 1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지역 발전과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해  
상주 화동명산포도영농조합법인이 지난 29일 조합 집하장에서 회원 150여 명이 참석, 2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국·우즈벡 ‘한국의 말·멋·맛 나눔’ 진행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과 석사과정생,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청도교육지원청, 제34대 오홍현 교육장 취임  
계명대, 재학생·교직원에 생성형 AI 풀패키지 무상 제공  
국립 경국대 생물학과 대학원생,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DGIST이종수 교수팀, 초고해상도 양자점 디스플레이 제작 '직접 광리소그래피'핵심 기술 개발  
계명 문화대, ‘취업역량 plus+ 취얼업 캠프’ 성료  
대구보건대 언어치료학과, ‘제13회 언어재활사 선서식’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대구 교육청, 미국·우즈벡 ‘한국의 말·멋·맛 나눔’ 진행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과 석사과정생,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청도교육지원청, 제34대 오홍현 교육장 취임  
계명대, 재학생·교직원에 생성형 AI 풀패키지 무상 제공  
국립 경국대 생물학과 대학원생,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DGIST이종수 교수팀, 초고해상도 양자점 디스플레이 제작 '직접 광리소그래피'핵심 기술 개발  
계명 문화대, ‘취업역량 plus+ 취얼업 캠프’ 성료  
대구보건대 언어치료학과, ‘제13회 언어재활사 선서식’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