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령군청에서 '빅테이터로 본 고령관광' 분석 결과보고회 개최<경북문화관광공사 제공> |
| 경북문화관광공사(이하 공사)가 28일 고령군청에서 ‘빅데이터로 본 고령관광’ 분석 결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의 관광여건 분석 진단과 함께 최근 3년간 고령을 방문한 관광객 대상 설문 조사 및 관광 종사자 인터뷰,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통해 도출된 고령 관광 활성화 방안을 공유하였다.
빅데이터 분석결과 고령군 방문객 수는 코로나19 이후에도 지속 증가 추세였다. 22년도 내비게이션 검색 최고순위를 골프장이 차지하였고 관광지출액 중 여가서비스업(골프장) 비중이 54.0%로 경북 평균 17.2%에 비해 매우 높아 골프장이 고령의 주요 방문 목적으로 나타났다.
관광객 설문에서는 고령 연상키워드로 ‘대가야’, ‘딸기’ 순으로 언급되었으며, 가장 만족한 관광지는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28.4%)’, 만족한 이유로는 ‘역사’, ‘아이’ 키워드가 다수 등장했다.
고령군 방문횟수는 ‘5회 이상(24.2%)’이 2위, 방문 이유는 ‘거주지와 가까워서(41.8%)’가 1위를 차지하여 인근 대구에서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고령을 자주 방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공사에서는 관광콘텐츠 차별성과 인지도 제고 및 일상관광 활성화 전략방안으로 지역특화 콘텐츠 강화 등 3개의 관광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지역특화 콘텐츠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가야금 버스킹, 인터랙티브 도보투어, 능멍 열기구, 자전거 이용객 편의시설 ‘고령 라이브 헤븐’ 등을 제안했다.
△관광 홍보·마케팅 전략으로는 ESG 연계 자전거길 완주 기부캠페인, 대가야축제 연계 파크골프대회 등을 제시했다.
△지역상생 및 인구감소 대응을 위해서는 고분군 주말 야외 시네마 ‘로얄 가야 시네마’, 고령군 스토리 맛집 지도, 고령군 관광 캐릭터 고고스트링밴드 활용 가족단위 투어버스 개발 등의 사업을 도출했다.
공사 김성조 사장은 “코로나를 지나며 변화된 관광 트렌드를 파악하고 빠르게 관광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 분석 및 지역 맞춤형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경북 시·군 및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관광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여 더 많은 관광객이 경북을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사에서 2년째 이어오고 있는 ‘빅데이터로 본 경북관광’ 사업은 올해 상주, 영양, 영주를 추가로 분석 할 예정이며 현재 2024년 참여 시·군을 모집하고 있다. 현재까지 발간된 보고서는 공사 홈페이지(www.gtc.co.kr) 자료실에서 볼 수 있다. 김경태 기자 |
|
|
사람들
영천시 중앙동 청년회는 지난 26일, 불경기로 어려움이 많은 관내 저소득층을 위해 100
|
영덕 새마을회가 지난 26일 김장용 배추의 모종을 심는 행사를 펼쳤다.
|
영덕읍 소재 상하수도 공사업체 ㈜청수기업이 지난 26일 김광열 군수를 만나 산불 이재민과
|
영천 화북 새마을협의회와 부녀회는 지난 25일, 관내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집수리 봉
|
청송 진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26일, 지역의 홀몸어르신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행
|
대학/교육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