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8-31 16:18:01

어른이 되어보니...

조정희 휴피부관리실 원장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1885호입력 : 2024년 06월 28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 조정희 휴피부관리실 원장
19세 이상이 된 자를 어른이라고 한다. ‘19금’서 벗어난다. 투표권, 자기 명의 휴대폰 개통, 은행비대면 계좌개설 등과 같은 많은 것들을 법이 허용한다. 사회가 성인됨에 도움을 준다. 게다가 일정 부분 사회생활서 자유를 누린다. 자유에 따른 의무도 진다. 난 어른이 된지 30년이 지났다. 나이만 어른이 되었지, ‘진짜 어른’이 되었을까?

오래된 사진첩을 열어보면, 지금 보다 훨씬 어린 내가 어른인 척하고 폼을 잡고 있다. 그쯤부터 내가 최선을 다해 살았다면, 책임감 있는 어른이 되었다고 생각했을 텐데, 지금 되돌아보니, 어른 된 스스로에게 살수록 자신이 없다.

뭐 그리 좋을 것도, 특별할 것도 없는데, 왜 그리 어른이 되고 싶어 했을까? 하지만 준비도 되지 않았는데, 세월을 어영부영하다, 어른이 되고 말았다. 막연한 기대와 설렘으로 어른이 되니, 생각지도 못한 역할을 수행해야 했다. 나보단 타인을 위한, 선택도 해야 했다. 점점 고민해야 하는 것들도 많아졌다. 많은 것을 양보하고, 포기도 해야 했다. 어른이기에 손해를 봤다는 느낌(?)이 들 때도 가끔 있었다.

요즘엔 나이 들수록 중심을 잡고 사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대단한 일인지 실감한다. 살아가는 순간순간마다 선택의 기로에 설 때도 있다. 선택에 따른 결과의 책임을 온전히 혼자서 져야 한다. 가끔 타인의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앞날을 알 수 없는 미래에 오늘의 선택이 잘못된 선택이 되진 않을까?, 나쁜 영향을 주진 않았을까? 두렵기만 하다

중심을 잡는다는 건, 나의 확고한 주관이 나의 생각과 행동에 매우 중요하게 발현되는 것이다.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않고서, 고른 상태를 의미하는 밸런스와는 조금 다른 의미이기도 하다.

이제 어느 곳에서든 나의 의견과 목소리가 무게가 있는 나이가 되었다. 청소년기에 접어든 아이들에게 나의 판단과 선택이 평가 받기도 하니, 조심스럽기만 하다.

어른의 기본은 좀 막연하지만, 사회가 폭 넓게 인정하는 좋은 사람이 않을까? 내 이야기보다 타인의 이야기에 집중해서 들어줘야 한다.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다른 의견도 존중해 줘야 한다. 나와 다른 의견을 조율하면, 답답하고 어려운 어른이 아니라, 소통이 가능한 친구 같은 좋은 어른이 될 수 있을 게다.

20대 어른, 30대 어른, 40대 어른... 이렇게 보면, 다양한 어른이 있다. 세대에 따른 부담감이 줄어들어, 어른에 대한 책임과 평가의 기준이 달라지고 어른의 모습도 다양해진다.

소위 ‘꼰대’는 자신의 경험을 일반화하여 그것만이 옳다고 주장하며 남을 가르치려 드는 어른을 말한다. 소통이 힘들고 고집스럽고 답답한 어른 같아, 참 듣고 싶지 않은 말이다. 그러다 조금만이라도 무게감을 내려놓으면, 아래도 위도 아닌, 어중간하지만 확실한 위치에서, ‘무겁고도 가벼운 어른’이 되고 말게다.

60대, 70대...들은 어른이란 꼬리표를 달고 얼마나 힘들었을까? 어른의 수고로움이 눈에 선하다. 무한한 의무와 책임을 지고 높은 잣대로 어른다운 어른을 강요당했을 것이다.

‘나’라는 존재 보단, 어른다워야 한다는 것들에 발목 잡혀 과연 행복했을까? 감히 행복을 꿈꾸기라도 했을까? 젊은 세대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 했을 뿐인데, 고집스럽다고 외면당한 건 아닐까?

‘어른답다’에선 어른의 정답은 없다고 본다. 어른이기 전에 단점도 있고 실수도 할 수 있는 것을 인간으로 이해하면, 서로 다른 세대를 이해하기 쉽지 않을까?

때론 나도 이해받고, 남도 이해하며 어른다운 어른을 강요받는 것 보다, 한 인간으로 존중받으며 조금 더 따뜻하고 깊은 어른이 되고 싶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포항시와 영주시는 지난 29일 영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사)전국한우협회 포항시지부와 영주시 
김천 지좌동 바르게살기협의회가 지난 28일, 무실 경로당을 찾아 어르신께 건강한 비빔밥을 
김천 양금동 바르게살기위원회가 지난 28일 양금로와 황금시장 일원을 중심으로 추석맞이 환 
구미 선주원남동 주민자치위가 지난 30일 선주초등 강당에서 ‘건빵박사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상주 계림동이 청사 외벽에 감성 포토존을 마련해 딱딱한 청사 이미지를 탈피하고 주민 누구 
대학/교육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DGIST 장경인 교수팀, 뇌 깊은 부위까지 정밀 약물 전달 무선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대구한의대, 칠곡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함께 ‘위생지킴이’교육  
정기현 국립경국대 교수,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우수연구자상’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칼럼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대학/교육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DGIST 장경인 교수팀, 뇌 깊은 부위까지 정밀 약물 전달 무선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대구한의대, 칠곡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함께 ‘위생지킴이’교육  
정기현 국립경국대 교수,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우수연구자상’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