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綠潮)현상은 연례행사다. 2012년에는 남조류가 두텁게 발생한 낙동강을 두고, ‘녹조 라떼’라는 신조어보다, ‘녹조 시루떡’이 더 좋을 듯하다. 녹조현상은 수온, 햇빛, 영양염류, 유속 등 4가지 요인에 큰 영향을 받는다. 환경부에 따르면, 4대강 사업 이후 낙동강의 유속이 5배 이상 느려졌다. 낙동강 수계인 안동댐에서 떨어뜨린 물질이 하구언까지(총 334.4㎞) 도달하는 시간은 168.08시간이었다. 하지만 4대강 사업 이전인 31.42시간의 5.35배였다.
2013년 낙동강 본류에서 녹조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낙동강의 칠곡보, 강정고령보 및 창녕함안보를 대상으로 하천에 대한 조류경보제를 시범 운영했다. 녹조현상의 독성은 남조류 중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배나(Anabaena),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등 4종은 냄새 물질과 독소 물질을 배출한다. 구토, 설사, 두통, 고열, 간 종양 등이 발생한다.
지난 16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첫 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됐다. 경계가 발령되면, 정수 처리와 정수 ‘독소 분석’이 강화된다. 조류독소 분석 결과를 물환경정보시스템서 공개한다. 정수장에서도 활성탄 흡착 및 오존처리 등 정수장 고도처리를 강화한다. 원수와 정수 내에 ‘조류독소’와 ‘냄새물질’ 검사 주기를 강화한다. 조류독소란 말을 듣기만 해도, 끔찍하다.
녹조가 낙동강에 창궐할수록 정수장으로 들어오는 원수에선 냄새가 진동했다. 대구 수돗물 67%를 의존하는 낙동강 원수 자체에 대한 정수처리에 더해 여름에는 냄새 유발물질은 물론 녹조와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더 많은 정화 과정을 거친다.
지난 8일 대구지방환경청에 따르면, 강정고령 지점 유해남조류 측정 결과 7월22일 807cells/㎖, 7월29일 3945cells/㎖, 8월5일 2615cells/㎖로 나타났다. 지난 22일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이하 한수공)에 따르면, 지난 달 내린 집중 강우(408㎜)로 녹조 원인물질인 영양염류(인, 질소 등)가 안동댐 상류로 다량 유입됐다. 게다가 지속된 폭염으로 조류발생 최적조건이 형성됐다.
선성수상길 등 안동댐 상류 수역에 녹조가 발생했다. 현재 안동댐은 식수로 사용하고 있지 않아, 환경부의 조류 경보제 대상은 아니다. 한수공은 자체적으로 조류경보제 기준을 준수, 대표지점 조류농도를 측정해 맞춤형 ‘녹조 선제대응 체계 구축’에 나섰다. 현재 안동지사는 도산서원, 선성수상길 인근에 수면 포기기 30대를 설치해, 녹조 성장을 억제한다. 녹조제거선 및 소규모 녹조제거 설비를 운영하며, 녹조를 제거한다. 조류 차단막 3개를 구축해, 댐 하류로 녹조 확산을 막았다. 안동권지사는 대구지방환경청, 안동시와 협력해, 유역 내 방치 축분 비가림 조치도 완료했다. 댐 상류 비점오염 저감사업 등 근본 대책 마련을 위한 기관별 협력체계도 강화했다. 이 같은 노력 결과 댐 상류 지역에서 발생한 녹조가 용수를 공급하는 댐 하류 쪽으로는 확산되지 않고, 농도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일 안동댐 앞 759cells/㎖, 예안교 8만 7310cells/㎖이었던 녹조 농도는 지난 19일 측정 결과 안동댐 앞 139cells/㎖, 예안교는 2만 8591cells/㎖로 크게 감소했다. ‘감소는 녹조가 있다’는 말에 진배없다. 이때의 진배없다는 우리가 먹는 물을 뜻한다고 해도, 또 진배없다. 감소했단 말로 녹조로부터 안전이 아닌, 독성을 감추려고 해도, 녹조 독성은 사람은 물론 모든 생명체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녹조독성은 생명을 갉아먹는다. 감소는 안심의 대상이 아니다. 감소는 안심이란 말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감소는 독소가 그대로 있다는 말이다.
한수공 안동권지사 관계자는 궁극적으로 댐 유역 물 환경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 안동댐에 녹조가 창궐하자 회전식 수차를 돌려서만, 될까. 올해는 유독 더웠다. 비도 왔다하면, 폭우였다. 경북도와 안동시 그리고 한수공 등 관계기관은 물을 자연 그대로 살리길 바란다. |
|
|
사람들
성주 가천면이 3일, 본격 여름철폭염에 대비해 관내 경로당을 대상으로 방문 점검을 실시했
|
김천 대신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2일 정기회의를 가졌다.
|
의성가온마을학교 학생이 지난 27일 30만 9,000원을 의성 산불피해 지정기탁 모금회에
|
영주 평은면이 생활형 공공서비스로 ‘평은행복우산’ 대여서비스를 운영한다.
|
군위 새마을부녀회가 지난 1일 생활체육공원에서 개최된 ‘군민화합한마당축제’에서 방문객을
|
대학/교육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대구 한의대, 제41기 청도여성대학(이서면) 수료식 ‘성료’ |
문경교육지원청, 학교로 찾아가는 교직원 연수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과장 부임 |
대구보건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건산업기술대학II 교원 초청 연수 ‘성료’ |
영남이공대 사이버보안과, 전국 해킹·보안 경진대회 잇단 수상 |
대구한의대 부총장단, 대학 발전기금 3000만 원 기부 |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복지부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
칼럼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
■“전통은 여전히 지금을 위로한다 ”
어머니가 만들어주시던 냉국 한 그릇을 입에
|
대학/교육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대구 한의대, 제41기 청도여성대학(이서면) 수료식 ‘성료’ |
문경교육지원청, 학교로 찾아가는 교직원 연수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과장 부임 |
대구보건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건산업기술대학II 교원 초청 연수 ‘성료’ |
영남이공대 사이버보안과, 전국 해킹·보안 경진대회 잇단 수상 |
대구한의대 부총장단, 대학 발전기금 3000만 원 기부 |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복지부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