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은 황장목(금강송)의 고장이다. 울창하게 자란 아름드리나무는 인간과 더불어 산다. 이런 나무는 사람으로 치면, 허파와 같다. 이곳에 산불이 났다고 하면, 수십 년 또는 수백 년이나 가꾼, 나무가 순식간에 잿더미로 변한다. 울진군은 나무의 고장이기도하지만, 여기에 비례적으로 산불의 고장이다. 게다가 지금은 기후재난 시대다. 바닷물이든 땅이든 펄펄 끓는다. 이런 탓에 불이 났다고 하면, 걷잡을 수가 없는 지경에 도달한다.
2019년 고성, 2022년 강원 동해안, 2023년 강릉 경포에서 연이어 산불이 발생했다.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연평균 567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여의도 면적의 14배에 달하는 4,004㏊(헥타르·4,004만㎡)의 산림이 소실됐다. 산불 원인으로는 입산자 실화가 186건(33%)에 달했다. 한순간 부주의와 실수로 애써 가꾼 산림이 순식간에 잿더미가 됐다. 복구하려면 짧게는 40년, 길게는 100년이란 긴 세월과 큰 비용이 투자된다.
지난 6월 감사원의 ‘산사태·산불 등 산림 재난 대비 실태’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에 설치된 산불 감시용 CCTV 1446대 중 645대는 ‘자동 회전’기능이 없었다. 이 기능이 있는 801대도 고정된 채로 운용됐다. 수백억 원의 혈세를 들여, CCTV를 설치했지만, 제한된 시야만 감시하는 탓에 ‘무용지물’이나 다름없었다. CCTV로 포착된 화면을 살펴보는 전담 인력도 배치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CCTV가 불이 난 곳을 향하고 있었지만, 산불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결국 최근 3년간 산불 1684건서 CCTV에 발견된 경우가 6건(0.4%)에 불과했다.
산불을 진화하려고 도입한 ‘헬기 골든타임제’도 유명무실했다. 이 제도는 산불 신고 접수부터 헬기가 물을 뿌리기까지 6단계로 나눈다. 최종 단계까지 50분 안에 마칠 수 있게 한다. 실제로는 신고 접수가 아니라, 출동 지시부터 물 투하까지 4단계만 50분으로 관리됐다. 그러면서도 국회에는 6단계가 50분 만에 완료된 것처럼 허위 보고했다.
지난 2022년 3월 난데없는 산불로 서울 면적의 30%에 달하는 1만 8,463㏊ 산림을 잃은 울진군서 추진한 산림복원사업의 일설에 따르면, 엄나무를 식재해 놨다는 얘기를 듣고, 산을 찾아갔으나. 심은 흔적은 있었다. 식재한지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았는데 전부 고사했다. 산주가 요구한 묘목이 아닌, 엉뚱한 묘목이 식재된 경우가 있는가 하면, 식재한 묘목이 90% 이상 고사한 사례가 빈번했다. 묘목을 공급하고 식재를 담당하는 회사가 ‘엉터리’가 아니냐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울진군에 따르면, ‘더 이상 울진군에 산불은 없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산불로부터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산불 예방에 초점을 맞췄다. ICT 플랫폼을 구축했다. 드론스테이션을 도입했다. 첨단 과학기술 기반 산불감시체계를 구축·운영한다. ICT플랫폼을 구축해, 산불감시 카메라 영상을 AI가 활용·분석해, 다채널 모니터링이 어려운 인력감시의 한계를 극복한다.
분석은 딥러닝 기반 실시간 영상분석 기술이 적용돼, 연기(smoke), 불꽃(fire), 안개(fog) 등 6가지 분석 인자를 토대로 오탐률을 최소화 해, 산불여부를 판단한다.
SMS알람 기능으로 산불 상황을 전파해, 신속하게 대응한다. 관내 14개 소 산불감시 영상을 안전 재난과 CCTV통합관제센터로 연계한다. 재난관리부서에서도 산불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산불감시 영상을 경북 산불재난종합상황실로 연계해, 영상공유 및 AI분석에 활용한다. 다중 감시체계를 구축해, 산불예방 대책을 한층 더 강화했다.
울진군은 산불감시 영상 연계(공유) 및 ICT 플랫폼 활용으로 산불감시체계를 고도화했다. 유관기관 상황 공유 및 협업체계 강화로 산불 대응력도 향상될 것으로 전망한다. 영농 부산물 파쇄 지원 등 다양한 산불예방 정책도 도입했다. 손병복 울진 군수는 산불로부터 걱정 없는 울진군을 추구한다. 산불예방은 인간의 허파까지 건강하게 지킨다. 울진군은 더욱 노력을 다하길 바란다. |
|
|
사람들
포항시와 영주시는 지난 29일 영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사)전국한우협회 포항시지부와 영주시
|
김천 지좌동 바르게살기협의회가 지난 28일, 무실 경로당을 찾아 어르신께 건강한 비빔밥을
|
김천 양금동 바르게살기위원회가 지난 28일 양금로와 황금시장 일원을 중심으로 추석맞이 환
|
구미 선주원남동 주민자치위가 지난 30일 선주초등 강당에서 ‘건빵박사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
상주 계림동이 청사 외벽에 감성 포토존을 마련해 딱딱한 청사 이미지를 탈피하고 주민 누구
|
대학/교육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
DGIST 장경인 교수팀, 뇌 깊은 부위까지 정밀 약물 전달 무선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
대구한의대, 칠곡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함께 ‘위생지킴이’교육 |
정기현 국립경국대 교수,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우수연구자상’ |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칼럼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대학/교육
경북대병원·협력업체, 부정부패 ‘제로’ 상생 간담회 |
계명대 동산의료원, 스마트 병원 국제인증 ‘첫 비수도권’ |
DGIST 장경인 교수팀, 뇌 깊은 부위까지 정밀 약물 전달 무선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
대구한의대, 칠곡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함께 ‘위생지킴이’교육 |
정기현 국립경국대 교수,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우수연구자상’ |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